머리카락, 오염의 단서: 2021 베니스건축비엔날레

환경에 관한 관심이 지속되는 가운데, 머리카락으로 환경 오염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프로젝트가 소개되어 주목받고 있다. 런던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스페인 리서치 스튜디오 파레이드(Pareid)의 데보라 로페즈(Deborah Lopez)와 하딘 샤벨(Hadin Charbel)는 2021 베니스건축비엔날레 스페인관에서 머리카락으로 방콕의 환경 오염도를 측정한 데이터로 제작한 인터렉티브 3D 지도 ‘톡시-카토그래피(toxi-cartography)’를 선보였다. 이 지도는 파레이드가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 ‘폴리클(Follicle)’의 일부로, 모발에서 발견되는 독성과 환경의 상관 관계를 보여준다.

파레이드, ‘톡시-카토그래피’, 2021. ⓒ Pareid

머리카락을 건축 자재로 사용하기 위해 2019년부터 시작했던 이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에서 디자이너들은 머리카락이 도시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결과를 토대로 2019년, 심한 스모그로 인해 학교가 모두 폐쇄되었던 방콕을 첫 번째 연구 도시로 선정하여 2019 방콕디자인워크에서 머리카락으로 만든 파빌리온을 설치하였고, 연구를 위해 소량의 머리카락을 기부할 수 있는 행사를 진행했다.

(좌) 파레이드, ‘폴리컬’, 2019. (우) 기부 받은 머리카락. ⓒ Pareid

기부 받은 머리카락으로 진행된 연구 결과, 고속도로 인근 거주자의 머리카락에서 독성 물질인 ‘비소’의 양이 많이 나오는 등, 특정 환경과 특정 금속의 상호 연관성이 발견되었고, 이를 통해 ‘톡시-카토그래피’가 만들어졌다.

3D 지도 ‘톡시-카토그래피’와 함께, 우측의 머리카락으로부터 반대편의 머리카락의 오염도를 분석하는 연구 과정이 연결되어 프로젝트 ’폴리클’ 전체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오브제 또한 베니스건축비엔날레 스페인관에서 만나볼 수 있다.

프로젝트 ‘폴리클’ 오브제, 2021. ⓒ Pareid

Foll-icle.com
futurearchitectureplatform.org

ⓒ designflux.co.kr


박지민

손으로 느껴지는 감각이 좋아 만들기 시작했고, 만드는 것이 좋아 디자인을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시작했던 디자인은 만드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재미를 느끼게 합니다. 만드는 것을 넘어서 현재는 타자치는 제 손의 감각도 즐기고 있습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8-13 | 알루미늄 아이맥

2007년은 아이맥이 처음으로 알루미늄 몸체를 갖게 된 해입니다. 형태 면에서 G5부터 이어져 온 모니터 형태의 일체형 디자인을 이어가되, 재질 면에서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과 완전히 단절하고 알루미늄으로 넘어왔습니다. 올해 애플 자체 프로세서인 애플 실리콘을 탑재한 새 아이맥이 등장하기 전까지, 은색 알루미늄 바디와 검은색 배젤 그리고 전면 하단 로고가 아이맥 하면 떠오르는 모습이었습니다. 아직은 기존의 인텔 아이맥과 색색의 실리콘 아이맥이 공존하고 있지만, 머지 않아 과거의 것이 될 ‘그’ 아이맥의 시작으로 돌아가봅니다.

2011-07-27 | V&A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

V&A의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가 올해로 5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1972년 시작된 이래, 영국의 주요 일러스트레이션 공모전으로 자리잡은 행사입니다. 처음에는 도서만을 대상으로 했던 공모전 시상 부문은 현재 북 커버, 북 일러스트레이션, 저널리즘 일러스트레이션 세 가지로 확대되었고, 학생 부문도 별도로 시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V&A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 2011년도 수상작을 되돌아봅니다. 

2010-08-06 | 빌 재너, “예술가의 손”

강남 하림타워를 파고 흐르는 곡면의 벽을 설계한 곳은 벡 그룹이지만, 그것을 구현한 곳은 재너입니다. 2009년 <와이어드>는 금속 엔지니어링과 제작의 스페셜리스트라 할 재너의 대표 빌 재너를 소개했습니다. 각종 건축물에서 미술 작품에 이르기까지, “예술가의 손”이 되어 그들의 비전을 실현하는 재너의 작업을 만나봅니다. 

2011-06-14 | 패러디자인

2011년 SFMOMA는 자신의 소장품 가운데 패러(para-)라는 접두사로 묶어낼 수 있는 디자인, 그러니까 소장품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체로 '기타'로 분류되던 디자인들을 추려 전시를 열었습니다. 이름하여 ‘패러디자인’ 전은 디자인의 규범과 관습에 의문을 제기하는 저 너머의 디자인, 정상적인 것과는 떨어져 있는 디자인 100여 점을 선보인 자리였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