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8-27 | ‘대즐’ 무늬의 귀환

Editor’s Comment

선박 보호를 위한 전쟁용 위장무늬가 요트의 장식이 되어 귀환했습니다. 이름하여 ‘대즐 위장’이 등장한 것은 제1차 세계대전 때입니다. 영국의 미술가 노먼 윌킨슨이 발명한 이 무늬는 대조적인 색상의 기하학적 도형들이 이루는 과감한 패턴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보통의 위장 무늬가 주변 환경과의 동화를 도모한다면, 대즐의 목표는 시각을 교란하는 데 있습니다. 바다 위에서 바다를 흉내내는 대신, 적이 나를 보더라도 타격을 어렵게 하는 것이죠. 배의 크기, 이동 속도, 항해 각도 등 공격에 필요한 정보를 오로지 시각에 의존해 파악하던 당시에, 대즐은 유효한 위장술이었다고 합니다. 바로 이 대즐 무늬가 12대의 한정판 요트에 재등장했습니다. 일러스트레이션과 타이포그래피의 결합으로 장식의 매혹적인 지평을 연 디자이너 마리안 반체스[1]에 의해서요. 

지지난 주 소개했던 ‘월페이퍼* 핸드메이드’ 컬렉션 가운데에는 요트도 포함되어 있다. 레이저 퍼포먼스 사의 ‘레이저 요트(Laser Sailboat)’가 그것이다. 이 요트는 그래픽 디자이너, 마리안 반체스(Marian Bantjes)가 디자인한 과감한 그래픽으로 뒤덮여 있다. 그녀는 “바람, 물 등등과 어울리는 유기적인 형태를 피했다”고 말한다. 물과는 관계 없는 착시의 그래픽을 만들기 위해 그녀가 참조한 것은, 바로 대즐(dazzle) 위장무늬 패턴이다. 

에드워드 와즈워스(Edward Wadsworth), ‘리버풀 건선거(dry dock)에 정박된 대즐 무늬 함선들’, 1919 
via Wikimedia Commons

대즐 또는 래즐 대즐(razzle dazzle)이라고도 불리는 이 위장무늬는 세계 1, 2차 대전 해군이 채택했던 패턴을 뜻한다. 당시의 배들은 대조적인 컬러의 기하학적 무늬를 입고 있었다. 과연 이것이 위장이라는 목표에 타당할까 싶을 정도로 과감한 패턴이지만, 실제로 대즐이 취한 전략은 은폐라기 보다 혼란을 유도하는 것이었다고. 마리안 반체스는 요트에 바로 이 군사적 무늬를 다시 가져왔다. 

마리안 반체스의 그래픽을 입은 ‘레이저 요트’는 12대만 한정 생산되었으며, 가격은 한화로 1,800만원 수준으로, <월페이퍼*> 홈페이지를 통해 판매되고 있다. 

www.bantjes.com

via core77

ⓒ designflux.co.kr


[1] 표기 수정: 마리안 반티에스 -> 마리안 반체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3-22 | 〈포브스〉 선정 산업디자인계 ‘취향생산자’ 10인

“〈포브스〉지 선정”이라는 표현이 이번에는 정말입니다. 2007년 〈포브스〉는 산업디자인 분야에서 취향을 만들어내 선도하는 사람들 10인의 명단을 선정했는데요. 신진이라 할 만한 인물들과 이미 거물이라 할 인물들이 고루 섞인, 15년 전의 명단을 다시 만나봅니다. 

2009-06-29 | 하비에르 마리스칼, 삶을 그리다

“전위적인 디자인을 시도했는데, IOC에 가장 높은 수익을 안긴 올림픽 마스코트가 되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스코트 ‘코비’의 이야기입니다. 귀엽겠다고 애쓰지 않는데 친근하게 마음을 끌고, 너무 단순한가 싶으면서도 미묘합니다. 정면과 측면이 공존하는 얼굴처럼요. 2009년 오늘의 소식은 코비의 디자이너 하비에르 마리스칼의 회고전입니다.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열린 전시로, 그래픽과 일러스트레이션에서 가구, 인테리어에 이르는 마리스칼의 세계를 조망했습니다. 2013년에는 한국에서도 그의 전시회가 열렸지요.

2007-06-07 | 2012 런던 올림픽 로고 공개

2012 올림픽을 5년 앞둔 2007년, 런던 올림픽의 로고가 공개되었습니다. 울프 올린스가 디자인한 이 로고는 영국 하면 떠오르는 어떤 상징과도 결별한 채, 2012라는 숫자를 도형 삼아 뉴 레이브 스타일을 보여줍니다. 반응은 차가웠습니다. 게다가 로고의 홍보 영상이 감광성 간질을 유발하는 사태도 벌어졌죠. 하지만 로고는 꿋꿋이 버텨, 5년 뒤 올림픽 현장을 장식했습니다. 

2011-10-04 | 이리스 판 헤르펀: ‘카프리올레’ 컬렉션

“테크광들의 알렉산더 맥퀸.” 이리스 판 헤르펀의 2012 F/W 컬렉션을 두고 <패스트 컴퍼니>가 선사한 표현입니다. 실제로 알렉산더 맥퀸에서 인턴 생활을 한 적이 있음을 생각하면 또 재미 있는 표현이지요. 2010년 패션에 3D 프린팅 기술을 접목한 의상들을 선보였던 그가 본격적으로 그 가능성을 펼쳐보였던 2011년의 ‘카프리올레’ 컬렉션을 다시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