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8-02 | ‘311 스케일’

Editor’s Comment

2011년 3월 11일의 일을 시각 형식으로 전합니다. 일본디자인센터가 연 웹사이트 ‘311 스케일’은 대지진으로 시작해 쓰나미, 원전 사고로 이어지는 재난의 정보를 그래프로 재현하여 보여줍니다. 그래프는 숫자의 중립적인 재현 방식이라 여겨지지만, 그렇다고 해석의 편향에서 자유로운 것은 아닙니다. ‘311 스케일’은 이 점을 인정하되, 정보를 극화하거나 의견을 덧붙이는 일을 피하며 최대한 정확하게 정보를 차분히 전달합니다. 반갑게도 ‘311 스케일’은 아직도 운영 중입니다. 오랜만에 방문해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3월 11일 일본 대지진을 시각 언어로 번역하다. 일본 디자인 센터(Nippon Design Center)가 웹사이트 ‘311 스케일(311 Scale)’을 열었다. 사이트는 그 날의 사건과 현재의 상황을 보여준다. 지진의 강도, 쓰나미의 파고, 대기중 방사능 농도, 전력의 사용량 및 최대 가능 생산량 등의 데이터가 그래프의 형식으로 재현되었다. 그래프들은 상황을 극화하지도, 의견을 제시하려고도 하지 않는다. 가능한 한 정보를 정확히 오롯이 전달하는 것이 311 스케일의 목표이다. “숫자들을 전적으로 중립적인 방식으로 시각화하여 재현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래프는 숫자를 다루기에 효율적인 시각 형식이다. 그러나 그래프 역시 다른 시각 형식들과 마찬가지로, 제 스스로의 형식이 빚어내는 편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311 스케일’은 그 점을 인정한 채로, 불필요한 것들을 덧붙이지 않는 방식으로 최대한 객관적인 관점을 제공하려 노력한다. “바라건대 감정에 휩쓸리지 않고 열린 관점에서 이 정보에 접근하면 좋겠다.” 311 스케일’의 바람이다. 

www.311scale.jp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러시아 군사 보급품 공급 인포그래픽

인포그래픽은 낯설고 복잡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3월 22일...

이케아 서핑 제품 컬렉션

가구 브랜드 이케아에서 세계 프로 서핑 연맹(World Surf League)과 협력하여 서핑 제품 컬렉션 ‘코세베리아(KÅSEBERGA)’를...

2010-07-14 | 스마트폰 데이터 소비 동향

지금으로부터 10여 년 전, 그러니까 스마트폰이 전체 휴대폰 시장의 1/4 정도를 차지했던 시절,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데이터 소비 동향은 어떠했을까요. 시장조사기관 닐슨이 미국 내 6만여 명을 대상으로 월별 데이터 소비 내용을 수집하여 분석했습니다. 데이터 소비량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세 배 이상 훌쩍 뛰었습니다. 90MB에서 298MB로 말이지요. 세월이 느껴지는 단위이기는 해도, 헤비 유저가 데이터 트래픽의 상당량을 차지하는 현상은 그때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군요.

2011-07-14 | 도시 별보기

도시의 밤은 너무 밝고, 그 밝음을 이겨낼 별은 많지 않습니다. 프랑스의 디자이너 오스카 레르미트는 그래서 도시의 밤에 인공의 별자리를 선사하기로 했지요. 직경 1mm도 되지 않는 가는 실과 태양광 LED 전구로 디자인한 전에 없던 별자리. 그렇게 레르미트는 ‘도시 별보기’로 런던의 밤에 새로운 별을 수놓았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