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7-22 | 지금 멕시코만은

Editor’s Comment

멕시코만 최악의 원유 유출 사건이 일어나고 3개월 후, 과연 수면 아래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었을까요. 2010년 7월, 천연자원보호협회가 심각한 바닷 속 상황을 담아 인터랙티브 인포그래픽을 공개했습니다. 디자인을 맡은 제이슨 비숍은 “수면에서 해저까지 잠수하듯 스크롤하여 내려가는 구성으로, 정보에 몰입할 수 있도록 했다”고 이야기합니다. 아쉽게도 2010년의 이 인포그래픽은 더 이상 볼 수 없지만, 대신 그로부터 10년 뒤의 현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4월 20일, 미국 멕시코만에서 작업하던 BP의 석유시추선이 폭발했다. 그 날 이후, 심해 유정은 막대한 양의 원유를 토해냈다다. 지난 주말 차단돔 시험 가동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으니, 사고 발생 석 달 만에 간신히 거둔 ‘진전’이다. 그러나 이미 수억 리터의 기름이 바다에 흘러 든 연후다. 풍부함을 자랑했던 멕시코만의 해양생태계에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천연자원보호협회(Natural Resources Defense Council)가 이번 원유 유출로 인한 생태계 파괴를 인포그래픽을 통해 설명한다. 수면에서 해저까지 스크롤로 화면을 내려가는 동안, 그 동안 “눈으로 볼 수 없었던” 바다 속 피해 상황이 이어진다. 부유하는 기름으로부터 시작해, 바다 속 물고기, 고래를 지나, 해저 산호초까지, 그래픽은 해양 생태계의 피해 양상을 하나하나 짚어 간다. 

인포그래픽의 디자인을 맡은 제이슨 비숍(Jason Bishop)은 심해 속으로 잠수해 들어가는 듯한 화면 구성으로, 보는 이들이 그래픽이 전하는 정보에 몰입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한다. 아래 천연자원보호협회 홈페이지에서 “멕시코만 사태의 수면 아래”를 살펴보시길. 

www.nrdc.or
https://www.nrdc.org/stories/how-deep-were-impacts-bp-oil-spill (2020년도 인포그래픽)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해양행 플라스틱으로 만든 에어론 체어

2021년 9월 1일, 허먼 밀러(Herman miller)에서는 앞으로 모든 에어론 체어(Aeron Chair)에 해양행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2010-07-06 | 알록달록 제스처 인터페이스 장갑

제스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근미래의 일상으로 앞당겨 보여주었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개봉한 것이 2002년의 일입니다.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 터치가 우세종이 되었고, 이어 음성이 말 그대로 ‘어시스턴트’로서 일상화된 지금, 허공의 제스처도 그렇게 될까요? AR 장비가 보편화된다면 그럴지도요. 12년 전 오늘의 뉴스는 저렴한 라이크라 장갑으로 제스처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MIT의 두 연구자의 작업입니다.

머리카락, 오염의 단서: 2021 베니스건축비엔날레

환경에 관한 관심이 지속되는 가운데, 머리카락으로 환경 오염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프로젝트가 소개되어 주목받고...

2006-11-10 | 세균 강박 사회를 위한 디자인

그 시절에는 “강박”이었을지 모르겠으나, 이제는 타당한 염려가 되었습니다. 공중위생과 거리두기 같은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2006년의 디자인들을 돌아봅니다. 어떤 것은 진도구에 가깝지 않은가 싶지만, 어떤 것은 팬데믹을 살아가는 지금 더욱 절실해 보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