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12 |〈뉴욕타임스〉의 비범한 간판

Editor’s Comment

2007년 <뉴욕타임스>는 근 100년 가까이 머물던 웨스트 43번가 229번지를 떠나 새 건물로 이사합니다. 렌초 피아노가 설계한 52층의 유리 타워로요. 이제부터 이곳이 <뉴욕 타임스>의 본사임을 알릴 대형 간판이 필요했습니다. 건물의 조형미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뉴욕의 까다로운 조닝 규정도 지킬 간판의 디자인 작업은 펜타그램의 몫이었습니다. ‘10,116 포인트 크기’의 로고가 어떻게 신축 타워의 파사드에 안착하였는지, 14년 전 오늘의 뉴스에서 만나봅니다. 

지난 주 뉴욕 8번가에 들어선 <뉴욕타임스>의 신축 본사 건물의 파사드 위로 대형 간판이 설치되었다. 이 신문사를 대표하는 프락투어(Fraktur) 서체로 쓰여진 이 간판의 디자인 및 설치 작업은 펜타그램이 맡아 진행했다. 사실 멀리서 보면 단순한 간판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실제로 이는 천여 개 가량의 조각들을 조립해 만든 것이다. 

<뉴욕타임스>는 1913년 이후로 줄곧 사용해 오던 예전 건물을 떠나 올 봄 현재의 신축 타워로 자리를 옮겼다. 이 초고층 타워는 렌초 피아노의 디자인으로, 그는 체사르 필리, 프랭크 게리, 노먼 포스터와 같은 쟁쟁한 경쟁자들을 제치고 <뉴욕타임스> 본사 신축 설계 공모에서 우승했다. 

피아노의 제안은 빌딩의 바닥부터 끝까지 유리벽으로 이루어진 타워였다. 이 유리성을 감싼 제 2의 피부는 하얀색 도자 막대로, 알루미늄 프레임에 부착되어 건물에 은은한 안개가 더해진 듯한 인상을 준다. 또한 이 도자 막대들은 직사일광의 열기에서 유리벽을 보호하고, 입사광을 건물 내부 벽에 반사하는 실용적인 역할도 수행한다. 

펜타그램은 건물 파사드의 조형미를 훼손하지 않는 동시에, 타임스퀘어의 독특한 구역화zoning 요건(이 지역의 고유한 특징들을 보존하기 위한 요건으로, 특히 간판 및 사인물 설치에 있어 엄격한 규정이 내려져 있다)을 준수하는 간판을 디자인해야 했다. 펜타그램 측의 표현을 빌면 “어떻게 하면 15피트 이상의 신문사 로고를 미니멀리스트 건축가의 빌딩 위에 설치할 것인가”의 문제라 할 수 있다. 그것도 건물 안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전망권을 훼손하지 않는 한도 안에서 말이다. 

해답은 간판을 잘게 쪼개는 것이었다. <뉴욕타임스> 로고에 등장하는 각각의 글자들을 래스터화하여 rasterized, 수평의 띠로 나눈 것이다. 총959개로 나뉜 각각의 조각은 건물 파사드의 도자 막대에 꼭 맞게 끼워지도록 제작되었다. 건물의 독특한 파사드 구조를 이용한 영리한 디자인 덕분에, 건물 바깥에서는 로고가 명백히 잘 보이지만, 건물 안에서까지 로고의 뒷면을 보아야 하는 일은 없게 되었다. 

참고로 <뉴욕타임스>는 본사 건축의 과정 및 관련 내용을 담은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렌초 피아노의 디자인 개요는 물론이고, 사진가 애니 라이보비츠가 촬영한 공사 현장의 다큐멘터리 사진 등등을 감상할 수 있다.

http://www.newyorktimesbuilding.com/
https://www.pentagram.com/work/the-new-york-times-building/story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센트럴파크 한복판에 등장한 황금 큐브

지난 2일, 뉴욕 센트럴 파크 한복판에 186kg의 황금 큐브가 설치되었다. 독일의 현대미술가 니클라스 카스텔로(Niclas...

2011-07-25 |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

1941년 독일이 불가침 조약을 깨뜨리며 소비에트를 침공하면서, 장장 4년의 독일소련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그 길고 참혹한 전쟁은 전선에서만 이뤄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선 뒤에서도 치열한 이미지 전쟁이 펼쳐졌지요. 2011년 시카고미술관에서 열린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는 포스터라는 매체를 통해 소비에트의 “대조국전쟁”의 또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식사의 즐거움을 담은 비둘기 테이블

디자이너 듀오 뮬러 반 세베렌(Muller Van Severen)과 아티스트 겸 쉐프인 라일라 고하르(Laila Gohar)이 협업을...

2009-06-24 | ‘놀 키즈’ 시리즈

놀이 자랑하는 20세기 모더니즘 고전 가구들이 어린이를 위해 몸집을 줄였습니다. 2009년 놀은 미스 반 데어 로에, 해리 버토이아, 에로 사리넨, 옌스 리솜 등 내로라하는 디자이너들의 가구를 어린이용으로 선보였는데요. 아이의 몸에 맞게 작아진 ‘바르셀로나 의자’, ‘다이아몬드 의자’ 등을 지금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