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12 |〈뉴욕타임스〉의 비범한 간판

Editor’s Comment

2007년 <뉴욕타임스>는 근 100년 가까이 머물던 웨스트 43번가 229번지를 떠나 새 건물로 이사합니다. 렌초 피아노가 설계한 52층의 유리 타워로요. 이제부터 이곳이 <뉴욕 타임스>의 본사임을 알릴 대형 간판이 필요했습니다. 건물의 조형미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뉴욕의 까다로운 조닝 규정도 지킬 간판의 디자인 작업은 펜타그램의 몫이었습니다. ‘10,116 포인트 크기’의 로고가 어떻게 신축 타워의 파사드에 안착하였는지, 14년 전 오늘의 뉴스에서 만나봅니다. 

지난 주 뉴욕 8번가에 들어선 <뉴욕타임스>의 신축 본사 건물의 파사드 위로 대형 간판이 설치되었다. 이 신문사를 대표하는 프락투어(Fraktur) 서체로 쓰여진 이 간판의 디자인 및 설치 작업은 펜타그램이 맡아 진행했다. 사실 멀리서 보면 단순한 간판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실제로 이는 천여 개 가량의 조각들을 조립해 만든 것이다. 

<뉴욕타임스>는 1913년 이후로 줄곧 사용해 오던 예전 건물을 떠나 올 봄 현재의 신축 타워로 자리를 옮겼다. 이 초고층 타워는 렌초 피아노의 디자인으로, 그는 체사르 필리, 프랭크 게리, 노먼 포스터와 같은 쟁쟁한 경쟁자들을 제치고 <뉴욕타임스> 본사 신축 설계 공모에서 우승했다. 

피아노의 제안은 빌딩의 바닥부터 끝까지 유리벽으로 이루어진 타워였다. 이 유리성을 감싼 제 2의 피부는 하얀색 도자 막대로, 알루미늄 프레임에 부착되어 건물에 은은한 안개가 더해진 듯한 인상을 준다. 또한 이 도자 막대들은 직사일광의 열기에서 유리벽을 보호하고, 입사광을 건물 내부 벽에 반사하는 실용적인 역할도 수행한다. 

펜타그램은 건물 파사드의 조형미를 훼손하지 않는 동시에, 타임스퀘어의 독특한 구역화zoning 요건(이 지역의 고유한 특징들을 보존하기 위한 요건으로, 특히 간판 및 사인물 설치에 있어 엄격한 규정이 내려져 있다)을 준수하는 간판을 디자인해야 했다. 펜타그램 측의 표현을 빌면 “어떻게 하면 15피트 이상의 신문사 로고를 미니멀리스트 건축가의 빌딩 위에 설치할 것인가”의 문제라 할 수 있다. 그것도 건물 안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전망권을 훼손하지 않는 한도 안에서 말이다. 

해답은 간판을 잘게 쪼개는 것이었다. <뉴욕타임스> 로고에 등장하는 각각의 글자들을 래스터화하여 rasterized, 수평의 띠로 나눈 것이다. 총959개로 나뉜 각각의 조각은 건물 파사드의 도자 막대에 꼭 맞게 끼워지도록 제작되었다. 건물의 독특한 파사드 구조를 이용한 영리한 디자인 덕분에, 건물 바깥에서는 로고가 명백히 잘 보이지만, 건물 안에서까지 로고의 뒷면을 보아야 하는 일은 없게 되었다. 

참고로 <뉴욕타임스>는 본사 건축의 과정 및 관련 내용을 담은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렌초 피아노의 디자인 개요는 물론이고, 사진가 애니 라이보비츠가 촬영한 공사 현장의 다큐멘터리 사진 등등을 감상할 수 있다.

http://www.newyorktimesbuilding.com/
https://www.pentagram.com/work/the-new-york-times-building/story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미완의 건축(세미 아키텍처)

도쿄의 스키마타(Schemata architects) 건축 사무소가 디자인한 무사시노 미술대학 실내디자인과 건물 16 ‘세미 아키텍처(Semi-architecture)’가 완성된...

2011-10-21 | 던지세요

어제에 이어 또 카메라 이야기입니다. 이번에는 ‘던지는’ 카메라죠. 베를린 공과대학에 재학 중이던 요나스 페일은 36개의 카메라 모듈을 내장한 공 모양의 카메라를 만들었습니다. 생김새가 지시하는 대로 카메라를 공중으로 던지면, 36개의 모듈이 동시에 사진을 촬영해 완벽한 파노라마 사진을 완성하죠.

사물이 말을 한다면 #2 꽃과 함께 피어나 꽃과 함께 지게 된 내 첫 번째 생

운명의 트럭 못~쓰는 냉장~고, 티브~이, 컴퓨~터, 에어~컨 삽니다. 공-일-공-팔-오-삼-팔-오-이…. 아침마다 들었던 이 소리에 나의 운명이 결정될지 몰랐다....

2010-07-14 | 스마트폰 데이터 소비 동향

지금으로부터 10여 년 전, 그러니까 스마트폰이 전체 휴대폰 시장의 1/4 정도를 차지했던 시절,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데이터 소비 동향은 어떠했을까요. 시장조사기관 닐슨이 미국 내 6만여 명을 대상으로 월별 데이터 소비 내용을 수집하여 분석했습니다. 데이터 소비량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세 배 이상 훌쩍 뛰었습니다. 90MB에서 298MB로 말이지요. 세월이 느껴지는 단위이기는 해도, 헤비 유저가 데이터 트래픽의 상당량을 차지하는 현상은 그때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군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