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7-06 | 영수증 다시 보기

Editor’s Comment

2011년 〈아이콘〉 매거진 97호에서 ‘다시 생각해 본’ 대상은 영수증입니다. 보통은 들여다 볼 일 없는 이 작은 종이 조각을, 런던의 디자인 컨설턴시 버그는 정보 매체로 보았습니다. 버그가 디자인한 가상의 식당 영수증에는 응당 담겨야 하는 정보 외에도, 꼭 필요하지 않아도 읽어볼 만한 거리들이 담겨 있습니다. 가령 당신이 먹은 음식이 하루 중 언제 가장 잘 나가는지, 영양성분은 어떤지, 또 식당 주변의 가볼 만한 전시 정보라던지요. 

그러고 보니, 버그의 영수증은 이듬 해 나온 그들의 대표작인 ‘리틀 프린터’를 연상시킵니다. 정말로 영수증용 감열지 위에 문자 메시지부터 할 일 목록, 뉴스, 십자말 풀이, 만화 등등을 내 마음대로 구성하여 출력할 수 있었던 작고 귀여운 커넥티드 프린터였지요. 참고로 버그는 2014년 문을 닫았고, ‘리틀 프린터’는 졸지에 디스커넥티드 기기가 되고 말았지만, 애용자들의 노력을 바탕으로 2019년 노드 프로젝트를 통해 부활하였습니다. 

생활 속 익숙한 디자인을 다시 생각해 보다. <아이콘 ICON>매거진의 ‘재고(Rethink)’ 는 매번 다른 디자이너의 ‘다른’ 디자인 제안을 소개하는 자리다. 이 코너를 통해 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 빌드(Build)의 말보로 담뱃갑, 비블리오테크(Bibliothèque)의 영국 여권 등 여러 가상의 디자인들이 등장하였다. <아이콘> 97호의 ‘재고’ 대상은 영수증이다. 디자인 컨설팅 회사 버그(Berg)가 영수증 다시 보기에 나섰다. 

영수증의 필요성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실제로 영수증을 들여다 보는 경우란 특별한 ‘문제’가 생겼을 때 정도이다. 버그는 일 없이도 재미있게 살펴볼 만한 영수증을 생각하였다. 버그는 ‘재고’ 코너를 통해 가상의 식당 영수증을 선보였다.

영수증의 상단에는 영수증 철을 위한 여백과 영수증의 핵심정보가 적혀 있다. 사용 일자, 사용 카드, 사용 금액 등의 기본 정보들이다. 덕분에 영수증을 정리한 뒤 영수증의 핵심 정보들을 빠르게 훑어 볼 수 있다. 그 아래로는 ‘부가적인’ 정보들이 이어진다. 반쯤은 재미있고 반쯤은 유용한 정보들로, 주문한 메뉴가 언제 가장 많이 팔리는지 또 주문한 음식의 칼로리와 하루 권장섭취량 대비 비율과 같은 내용들이다. “여전히 이 근처에 계실 건가요?” 라는 항목에서 알려주는 식당 근처의 전시회 정보도 흥미롭다.

영수증의 하단의 체크박스를 이용하면, 향후 영수증의 정보 구성을 맞춤화할 수 있다. 이벤트와 뉴스 정보는 물론 심지어 구글 캘린더 일정까지도 영수증을 통해 받아볼 수 있다. “영수증에서 종이 앱(paper app)으로.” 버그는  종이 영수증이라는 기존의 형태를 그대로 수용하면서, 동시에 유용한 정보 매체로서의 영수증을 제안하였다.

www.berglondon.com
www.iconeye.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8-23 | 레고를 든 건축가들

〈아이콘〉 매거진 098호는 ‘장난감’ 특집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기획이 진행되었습니다. 편집부는 런던의 유명 건축사무소 여러 곳에 ‘레고 아키텍처’ 세트를 안겨, 그것으로 새로운 건축 모형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과연 그 결과는 어땠을까요. 2011년 오늘의 소식에서 확인해보시죠.

2010-07-01 | 아디다스 월드컵 서체

2010년 남아공 월드컵을 위한 아디다스의 커스텀 서체 '유니티'. 디자인을 맡은 브라질의 디자이너 요마르 아우구스투는 월드컵 공인구인 ‘자블라니’에서 서체 디자인이 시작되었다고 말합니다. 공을 장식한 둥근 모서리의 삼각형을 기저로 그 위에 타이포그래피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말이지요. 축구공에서 출발한 2010 월드컵 서체 디자인을 되돌아봅니다.

2008-07-07 | 잔디 사진

헤더 애크로이드와 댄 하비는 자연을 매체로 삼은 작업으로 유명한 미술가 듀오입니다. 특히 잔디를 이용한 사진 작품들이 널리 알려져 있는데요. 청사진과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잔디의 감광성을 이용해 잔디판 위에 사진 이미지를 구현합니다. 2008년 두 사람은 윔블던 테니스 챔피언십의 광고 캠페인에 참여하여 잔디 사진들을 선보였습니다. 잔디 코트의 윔블던과 잔디 사진의 애크로이드 & 하비. 잔디는 그야말로 절묘한 매개체였습니다.

20년 후 구현된 디자인, 센토3(CENTO3)

건축가 아킬레 카스틸리오니(Achille Castiglioni)와 잔프란코 카발리아(Gianfranco Cavaglià)가 2001년에 디자인했던 필기구가 20년이 지난 후 센토3(CENTO3)라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