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6-15 | ‘세컨드 사이클’, 70년 전의 가구를 되살리다

Editor’s Comment

70년 전 태어나 오랜 시간 동안 곳곳에서 제 역할을 해온 가구들이 다시 생산자의 품으로 돌아와 ‘두 번째 주기’를 기다립니다. 오늘의 소식은 2007년 아르텍과 톰 딕슨이 전개한 ‘세컨드 사이클’입니다. 아르텍은 1935년 이후 150만 개 넘게 판매된 알바 알토의 ‘스툴 60’을 비롯해 그가 디자인한 가구들을 학교, 공장, 조선소, 플리마켓 등지에서 찾아내, 다시 ‘신제품’으로서 선보였습니다. 의자가 주를 이루었던 처음과 달리 현재는 비단 아르텍의 가구만이 아닌 유무명의 디자인 소품, 조명, 그림까지, 더 많은 오래된 물건들이 ‘세컨드 사이클’에 합류하였습니다. 

“그 어떤 것도 완전히 재탄생하진 않는다. 그러나 전적으로 사멸하는 것도 없다. 한때 존재했던 것은 언제나 새로운 형식으로 계속해서 나타나게 될 것이다.”

핀란드의 가구 브랜드 아르텍을 창시한 디자이너 알바 알토(Alvar Aalto)의 말이다. 그리고 2007년 아르텍이 공개한 ‘세컨드 사이클(2nd CYCLE)’ 라인이야말로 그 의미를 정확히 담아낸 컬렉션이 될 것이다. ‘2nd CYCLE’은 30년대의 빈티지 모더니즘 가구를 오늘에 되살려낸다. 

이것은 단순한 리메이크가 아니다. 아르텍이 1930년대 광범위하게 생산했던 의자들의 현 소재를 수색, 수집하여 이를 재판매하는 것이다. 실제로 ‘세컨드 사이클’의 의자들은 옛 공장, 조선소, 플리마켓 등에서 수집한 것들이다. 이 의자들이 살아온 수십여 년의 세월에 관해, 우리는 벗겨진 도장과 생채기와 같은 ‘낡음’의 자욱 속에서 그 역사를 유추할 수 있을 뿐이다. 어쩌면 그것은 알바 알토가 건축한 파이미오 요양소 어딘가에 놓여있었을지도 모른다. 

아르텍과 톰 딕슨은, 이 낡은 의자를 하나의 신제품으로 다시 한 번 소비자들 앞에 제시한다. 그것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도 아름다움을 잃지 않은, 혹은 오히려 그러한 세월 속에서 아름답게 변한 가구에 대한 신뢰를 판매하는 행위다. 그리하여 소비자들은 새 것 냄새 물씬한 신제품 대신, 중고품 자체를 ‘새롭게’ 구매하는 셈이 된다. 더 나아가 그것은 낡음에 배어있는 풍부한 장소들의 역사와 아르텍이 구축해온 디자인 유산을 구매하는 일이기도 하다. 

아르텍과 톰 딕슨의 ‘세컨드 사이클’은 디자인에 있어 재활용을 문자 그대로의 차원으로 복구시키는 동시에, 튼튼한 소재와 간결한 디자인의 가치가 시간을 초월할 수 있다는 명료한 진리를 다시 한 번 증명한다. 더불어 이 컬렉션은 최근 디자인 시장에 불어닥친 빈티지 소장의 트렌드와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도 기억에 담아둘 만하다. 

https://www.artek.fi/2ndcycle/en/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9-29 | 노마 바의 IBM 광고 일러스트레이션

이스라엘 출신의 일러스트레이터이자 그래픽 디자이너인 노마 바는 무엇보다도 ‘네거티브 스페이스’를 활용하기로 유명합니다. 2009년에 출간한 작품집의 제목도 <네거티브 스페이스>였을 정도로요. 대상과 배경이 서로 자리 바꿈하며 펼치는 이중주. 여기 IBM을 위한 광고 일러스트레이션에서도 노마 바의 장기가 유감 없이 발휘됩니다.

텍스트 인식 이미지 생성 AI ‘DALL-E 2’

인공지능 연구소 오픈AI(OpenAI)에서 텍스트를 인식하여 사실적인 이미지와 그림을 ‘창작’할 수 있는 AI 시스템, ‘달-이...

2009-04-19 | 브랜드로서 케이트 모스

2007년 패스트패션 브랜드 톱숍이 ‘케이트 모스’ 컬렉션을 발표합니다. 이를 위해 ‘브랜드 이름으로서의’ 케이트 모스를 위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필요해졌지요. 디자이너 피터 사빌과 타이포그래퍼 폴 반즈가 찾은 답은 반세기도 전에 태어난 오래된 서체, ‘알-브로’였습니다.

2011-10-19 | 타시타 딘의 ‘필름’

타시타 딘은 줄곧 필름을 매체로 활동해온 미술가입니다. “화가에게 물감이 필요하듯 내게는 필름이 필요하다”고 말할 정도로요. 2011년 그가 테이트 모던에서 선보인 ‘필름’은 위기에 처한 필름의 물질성과 특유함을 전면에 드러냅니다. 아날로그 매체로서의 필름을 찬미하는 기념비인 동시에 쇠락해가는 매체의 초상. <가디언> 리뷰는 이를 두고 “오마주이자 레퀴엠”이라 표현하기도 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