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04 | 토비아스 웡, 사망

Editor’s Comment

2010년 5월 30일 디자이너 토비아스 웡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갑작스런 비보는 충격과 안타까움을 남겼습니다. 전유를 방법론 삼아 이른바 ‘기생개념적’ 작업을 전개한 그를 두고 <뉴욕타임스>는 “뒤샹이 되고 싶은 디자이너”라 불렀습니다. 2002년 그는 제니 홀저에게 다가가 오른팔을 내밀며 “내가 원하는 것으로부터 나를 지켜줘”라는 그 유명한 문장을 적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그리고 그대로를 문신으로 새겨 몸에 남겼고요. 결국에는 그가 원한 것에서 그를 지킬 수 없었다는 사실이 안타까웠던, 토비아스 웡의 부고 소식입니다.

‘문신’, 2002, 제니 홀저 씀

지난 일요일[1], 디자이너 토비아스 웡이 세상을 떠났다. 올해 나이 35세. <뉴욕타임스>는 “맨해튼 검시국이 그의 사인을 자살로 판정했다”고 보도했다. 갑작스러운 소식에 그를 떠나 보내는 이들의 슬픔도 깊다. 여러 디자인 매체들이 그의 타계 소식을 전하며 애도를 표했다.  

토비아스 웡은 캐나다 밴쿠버 출신으로, 토론토 대학에 이어 쿠퍼 유니언에서 공부한 후, 뉴욕을 근거지로 삼아 활동해 왔다. 많은 이들이 그의 2001년작 ‘이것은 램프다(This is a Lamp)’를 기억한다. 필립 스탁의 의자를 조명으로 바꿔버린 이 작품을 기점으로, 그는 도발과 역설의 디자인을 계속해서 선보였다. 권총 모양으로 잘라 버린 카림 라시드의 책(<나는 세상을 바꾸고 싶다>), 기존의 아이폰에 노래와 주소록 등을 미리 담아 제 제품으로 삼아 버린 ‘cc폰’, 디자인 제품들로 가득 차 있으나 결코 들어갈 수 없었던 상점, ‘잘못된 가게(The Wrong Store)’…

그의 작업은 디자인에 대한 일반적인 상과는 잘 맞아 떨어지지 않는다. 차라리 우리가 디자인하면 떠올리는 상에 ‘대한’ 디자인을 하였다고 말하는 편이 나을지 모른다. 예술과 디자인의 구분이 그의 활동에 별 무소용이었듯, 디자인 주류와 주변의 경계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 자신의 말처럼 “모형이나 시제품을 만들지 않으며, 문제를 해결하지도 않고, 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물건도 분명 만들지 않는” 사람이 디자인 제도의 굵직한 축인 대형 전시 이벤트[2]의 디렉터가 되기도 했던 것이다.  

<코어77>은 토비아스 웡의 타계 소식을 전하는 기사에, 아릭 첸(Aric Chen)의 글을 인용해 실었다. 그가 동료이자 절친했던 친구였던 ‘토비’에게 보내는 송사이기도 하다. 

“작업을 통해 웡은 이제는 동시대 문화에서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들의 상당 부분이 탄생하는 데 기여했다. 다다 그리고 특히 플럭서스의 영향 아래, 그는 전유를 통해 작가성에 대해 질문을 던졌다. 그는 우리의 욕망과 부조리에 거울을 들이밀었고, 디자인과 예술, 귀중한 것과 시시한 것의 위계를 뒤집었으며, 협업과 큐레이팅을 창조적인 실천으로 재정의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기생개념적(paraconceptual)’[3]이라 부른 틀에서 작업하며, 웡은 우리가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디자인의 모든 것을 재평가하였다. 생산, 심리적 공명, 미학적 기준, 유통의 수단, 출처에 대한 애착, 맥락화, 제시 방식 모두를 말이다. 웡은 예리한 관찰자였고, 독창적인 정신의 소유자였으며, 뛰어난 장난꾸러기였고, 정확한 감각을 지닌 친구였다.”[4]

via core77

ⓒ designflux.co.kr


[1] 2010년 5월 30일

[2] 토비아스 웡은 아릭 첸과 공동으로 2008년과 2009년 100% 디자인 상하이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맡았다.

[3] 번역 수정: 패러콘셉추얼 -> 기생개념적

[4] 인용부 번역 전반 교정, 디자인붐 출처 기사 이미지 제거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6-08-31 | 자하 하디드의 자동차 디자인

자하 하디드가 자동차를 디자인한다면 어떠한 모습일까요. 그에 대한 대답을 아트 딜러 케니 샥터의 제안으로 태어난 ‘Z-카’ 콘셉트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수소로 달리는 물방울 모양의 삼륜차. 이 콘셉트카는 2008 서울디자인올림픽에서도 전시된 바 있지요. 하디드의 자동차 디자인은 이후 ‘Z-카 2’ 로까지 이어졌습니다.

2010-09-13 | 이베이 박스

팬데믹을 지나며 미국에서도 온라인 쇼핑 이용자가 크게 늘었습니다. 안전과 편의가 낳은 부작용 가운데 하나라면 포장 폐기물의 증가입니다. 배송이 유일한 판매 방식인 기업들은 그래서 전통적인 일회용 종이 박스 대신에 재사용 박스를 도입하기도 했죠. 2010년 이베이는 종이 박스이면서도 최소 5번의 재이용을 꾀하는 포장을 모색했습니다. 이름하여 ‘이베이 박스’는 그것이 이베이이기에 가능한 발상이었습니다. 구매자가 판매자가 되기도 하고 판매자가 구매자가 되기도 하는 곳이었으니까요. 하지만 12년이 지난 지금은 이베이 박스 홈페이지 링크도, 이베이 그린 팀의 홈페이지 링크도 갈 곳을 잃었습니다.

세계 최초, ‘시애틀 NFT 뮤지엄’

세계 최초로 NFT 작품만 전시하는 뮤지엄, 시애틀 NFT 뮤지엄(Seattle NFT Museum, SNFTM, 시애틀 벨타운)이...

2010-08-11 | 미소니, 케네스 앵거와 만나다

〈스콜피오 라이징〉으로 유명한 실험영화 감독 케네스 앵거와 이탈리아의 패션하우스 미소니가 만났습니다. 러닝타임 2분 30초의 짤막한 캠페인 필름 〈미소니 바이 앵거〉의 크레딧이 올라올 때, 온통 미소니로 끝나는 이름들을 마주하게 됩니다. 2010년 그해, 미소니 일가는 봄/여름 위르겐 텔러에 이어 가을/겨울 케네스 앵거의 카메라 앞에 서며, ‘직접’ 브랜드 홍보의 전면에 섰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