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Friendly : How the Hidden Rules of Design Are Changing the Way We Live, Work, and Play

User Friendly : How the Hidden Rules of Design Are Changing the Way We Live, Work, and Play
Cliff Kuang, Robert Fabricant / MCD(2019)

<유저 프렌들리>라는 400쪽이 넘는 책부터 시작해 보련다. 한때 무슨무슨 프렌들리 식의 말이 유행했던 터라 이 책 제목도 은유적인 표현인 줄 알았다. 그런데 디자이너들이 아는 그 ‘유저 프렌들리’ 얘기다. 저자들도 UX 디자이너 경력이 제법 있는 사람들이니 허투루 쓰진 않았을 게다. 이 책은 ‘user-friendly’라는 개념이 어떻게 등장했고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우리의 일상에 얼마나 깊숙이 개입하고 있는지 다룬다.

그렇다고 유저 프렌들리를 비평적으로 접근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유저 프렌들리의 역사성, 그러니까 1920년대, 2차 대전, 현재에 이르기까지 상황에 따라 전개된 개념의 발전(?)을 여러 사례와 인물들(헨리 드레이퍼스부터 조너선 아이브까지)을 언급하면서 설명한다. 특히, 프로그 디자인(Frog design)의 사례가 자주 언급되는데 공동저자인 Robert Fabricant가 프로그의 크리에이티브 부사장이었기 때문일 것 같다.

사실, “friendliness”가 갖는 의미는 사용자와 기기 사이의 관계를 쾌활하게 표현한 긍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이기도 하지만 한쪽에서는 사용자를 어린아이 취급하는 것이라는 비판적인 평가도 있다. 아무튼 저자들은 사용자 친화적인 디자인이 단지 버튼이나 디지털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하는 데 많은 지면을 할애한다. 쓰리마일 섬의 사고 사례에 대해 도널드 노먼의 저서와 그를 인터뷰한 내용을 담지만 사용자 경험 디자인이 ‘error’에만 국한되지 않음을 설명한다.(개인적으로는 이 부분이 참 마음에 든다)

프렌들리의 대상이 사람들의 행동임을 강조하는 아래 문장이 이 책의 핵심일 것 같다.

..User-friendliness is simply the fit between the objects around us and the ways we behave… the bigger truth is that design doesn’t rely on artifacts…The truest material for making new things isn’t aluminium or carbon fiber. It’s behavior.(p.96)

UX 디자인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그 말이 어디서 왔는지 찾아보는 유익한 책임에 틀림없다. 이 분야와 (시간적으로나 물리적으로나) 거리가 먼 내게도 흥미로운 내용이다. 다만, 한때 유행한 ‘기업 프렌들리’라는 말이 불현 듯 떠올라 불편하긴 했는데 뭐 이 책의 저자들 잘못은 아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Articles

2011-09-14 | 디자인 마이애미/ 선정 올해의 디자이너

2011년 디자인 마이애미/가 꼽은 올해의 디자이너는 데이비드 아디아예입니다. 첫 회 자하 하디드 수상에 이어 여섯 명의 제품 디자이너들을 지나, 오랜만에 다시 건축가가 명단에 이름을 올린 셈이죠. 아디아예에게 수상 소식은 10년에 걸쳐 진행한 “한 대륙에 바치는 장대한 오마주”로서의 작업인 ‘어번 아프리카’가 마무리된 때에 이뤄진 터라 더욱 뜻깊었다고 합니다. 

2011-07-22 | 까르띠에 타임 아트

까르띠에의 대표적인 시계들이 취리히의 한 뮤지엄에 모였습니다. ‘까르띠에 타임 아트’는 1929년의 ‘토르튀’에서 최근의 ‘산토스 100 스켈레톤’에 이르기까지, 총 100여 점의 까르띠에 시계가 관람객을 맞이했습니다. 전시의 아트 디렉팅은 2009년 도쿄국립박물관에서 있었던 ‘이야기… 까르띠에 작품에 관한 기억들’로 이미 까르띠에와 인연을 맺었던 토쿠진 요시오카가 맡았습니다.

2011-08-23 | 레고를 든 건축가들

〈아이콘〉 매거진 098호는 ‘장난감’ 특집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기획이 진행되었습니다. 편집부는 런던의 유명 건축사무소 여러 곳에 ‘레고 아키텍처’ 세트를 안겨, 그것으로 새로운 건축 모형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과연 그 결과는 어땠을까요. 2011년 오늘의 소식에서 확인해보시죠.

2009-06-29 | 하비에르 마리스칼, 삶을 그리다

“전위적인 디자인을 시도했는데, IOC에 가장 높은 수익을 안긴 올림픽 마스코트가 되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스코트 ‘코비’의 이야기입니다. 귀엽겠다고 애쓰지 않는데 친근하게 마음을 끌고, 너무 단순한가 싶으면서도 미묘합니다. 정면과 측면이 공존하는 얼굴처럼요. 2009년 오늘의 소식은 코비의 디자이너 하비에르 마리스칼의 회고전입니다.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열린 전시로, 그래픽과 일러스트레이션에서 가구, 인테리어에 이르는 마리스칼의 세계를 조망했습니다. 2013년에는 한국에서도 그의 전시회가 열렸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