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4-30 | 벌들의 도움으로

Editor’s Comment

쾌속조형의 반대에 서 있는 완속조형의 사례. 혹은 동물의 힘을 빌린 디자인. 토마시 가브즈딜의 ‘벌들의 도움으로’는 일주일 동안 4만 마리의 꿀벌이 빚어낸 꽃병입니다. 하이테크와 대비되는 로우테크, 인간의 공예가 아닌 동물의 공예. 또 꽃을 매개로 한다는 점에서 벌과 꽃병은 멋진 한 쌍이기도 하지요.

일반적으로 RP(Rapid Prototype) 기술은 시제품이나 모델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지만, 특정한 경우 RP로 곧 완제품생산 단계를 대체하기도 한다. Material.MGX나 FRONT의 가구, 전등 등이 그러한 사례로 손꼽힌다. 이들은 복잡한 구조와 디자인조차 단 번에 소화하는 3차원 프린팅 기술의 힘을 극대화한 제품을 통해, 디자인 프로세스의 하이테크적 국면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토마시 가브즈딜(Thomáš Gabzdil)의 작업은 그와는 정반대 지점을 향해 있다. 그는 RP와는 정반대의 개념, 즉 ‘SP(Slow Prototype)’이라 부를 만한 디자인 과정을 통해 흥미로운 제품을 창조해냈다. 앞서 2007 밀라노 가구박람회 리뷰에서 잠시 소개했던 바, 그의 꽃병 ‘벌들의 도움으로(With a little help of the Bees)’는 4만여 마리의 벌들이 일주일에 걸쳐 부지런히 만들어낸 작품이다. 

토마시 가브즈딜은 왁스 시트로 꽃병의 기본 형상을 잡고, 벌들이 그 모양대로 집을 짓도록 모니터링했다. 벌들은 꿀과 밀랍으로 시트의 안쪽과 바깥쪽 모두에서 집을 지어가며 꽃병의 모양을 잡아나갔다. 디자이너가 한 일은 벌들이 본래의 디자인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방향을 잡아주는 것, 그리고 언제 이 꽃병을 벌들로부터 떼어낼 것인지 결정하는 일 정도였다. 소재의 생산과 제품의 생산 모두 벌이 도맡은 셈이다. 그렇게 하나의 꽃병이 완성되기까지 걸린 시간은 정확히 일주일이었다.

‘벌들의 도움으로’는 디자이너가 통제할 수 없는, 예측 불가능한 요소를 디자인 안에 도입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 하다. 가령 꽃병의 어느 부분이 좀 튀어나왔다고 해서 벌들에게 “여기를 좀 다듬어 달라”고 주문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디자인 과정에 동물을 참여시킨 시도는 예전에도 있었다 – 가령 FRONT의 ‘쥐 벽지(Rat Wallpaper)’는 쥐들이 벽지를 뜯어먹은 자욱을 ‘문양’화 한 제품이다. 

기술과 트렌드가 속도의 경주를 펼치는 오늘날의 디자인 씬을 돌이켜 볼 때, 토마시 가브즈딜은 한 걸음 뒤로 물러나 ‘느림’을 강조하는 선택을 했다. 그렇다고 인간의 ‘손’을 강조하는 전통적 공예 단계로 회귀한 것도 아니다. 사실 제품의 조형을 값비싼 3차원 프린터가 담당하건, 4만 마리의 벌이 담당하건 간에 조형의 수고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서로 동일하다. 다만 토마시 가브즈딜은 ‘슬로우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속도와 매끈함에 대한 강박에서 벗어났을 뿐이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6-14 | 캄파나 형제의 러그 디자인

브라질을 대표하는 형제 디자이너 움베르투 & 페르난두 캄파나의 2010년도 러그가 2011년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을 찾았습니다. 풀밭 위에 누워 있는 듯한 사람들의 모습이 평면이 아닌 입체로, 그러니까 봉제 인형들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왜 하필이면 봉제 인형일까요. 또 그것에 담긴 함의는 무엇일까요.

2009-08-25 | 그 미용실 황량하다

철거 중인지 완성된 것인지 아리송한 실내의 상점들이 부쩍 늘어나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매끈함의 정반대에 선 반폐허의 미감이 사람들의 발길을 이끌었지만, 미감을 논하기 이전에 위생을 걱정해야 할 곳들도 적지 않았지요. 2009년의 어느 ‘황량한’ 미용실 인테리어 소식을 보며, 오늘 여기의 어떤 상점들을 생각해 봅니다.

고속도로 옆, 작은 집 마을

레흐럴 건축사무소(Lehrer architects)에서 진행중인 ‘작은집 마을(Tiny House Villages)’ 프로젝트 중 ‘휘트세트 웨스트 스몰 홈타운(Whitsett...

2011-04-08 | 다음 10년, 20인의 디자이너

정확히 10년 전 오늘, 디자인 비평가 앨리스 로스손과 MoMA의 디자인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가 다음 10년의 디자인을 조형할 20인의 디자이너를 꼽았습니다. 정말로 10년이 지난 지금 그 명단을 되돌아봅니다. 참고로 앨리스 로스손과 파올라 안토넬리 두 사람은 ‘디자인 이머전시’라는 이름으로 더 나은 미래를 지어나갈 디자인을 인스타그램에서 함께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