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23 | 탑승권 리디자인 릴레이

Editor’s Comment

코로나19를 지나며 가장 먼저 여행이 ‘멈춤’에 돌입했고, 어느 머나먼 곳으로 떠나는 항공권을 들던 때가 그리울 정도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의 뉴스로 ‘항공권’ 이야기를 골라보았습니다. 어째서 항공권을 손에 들고서도 우왕좌왕하게 될까. 표를 언제 왜 들여다보게 되는가를 중심으로, 탑승권의 정보에 순서와 강조점을 부여한 어느 개인의 리디자인 제안과 그에 이어지는 릴레이입니다.

스퀘어스페이스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타일러 톰슨(Tyler Thomson). 그가 ‘안구 정화를 외치게 만드는 비행기 탑승권 디자인’을 이야기한다. 발단은 델타 항공의 탑승권 한 장에서 시작되었다. 뉴욕으로 돌아가기 위해 비행기를 기다리던 차, 무료함을 달래려 무엇인가 읽을 거리를 찾다 손에 쥔 것이 탑승권이었던 것. 문제는 비행기 표의 디자인이 그에게 모욕에 가까운 감정을 불러 일으켰다는 데 있다. 결국 타일러 톰슨은 몰스킨 수첩을 꺼내들고 ‘내맘대로’ 탑승권 디자인에 나섰다.

“탑승권을 살펴보는 것은 언제이며 무슨 이유 때문인가.” 그는 자신의 경험들을 되돌아보기로 했다. 내가 탈 항공편이 무엇인지, 어느 게이트로 입장해야 하는지, 좌석은 어디인지, 출발 / 도착 시각은 몇 시인가. 이 모든 정보가 기존의 항공권에도 모두 적혀 있지만, 어째서 매번 사람들은 손에 표를 들고서도 우왕좌왕하는 것일까. 이러한 과정을 거쳐 탄생한 것이, 아래의 비행기표들이다. 물론 모두 ‘타일러 톰슨 버전’으로, 델타 항공의 정식 항공권은 아니다.

한편 타일러 톰슨의 글 아래로, 다른 디자이너들의 리디자인 도전기가 릴레이처럼 이어진다. 아예 문장으로 정보를 표기한 항공권처럼 흥미로운 제안들이 눈에 띈다. 아래 패스페일 패이지에서, 여러 리디자인 버전들을 비교해 보시길. 

passfail.squarespace.com

via core77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자외선 오브젝트: UV

모두가 자외선(UV)을 차단하려고 노력하는 이때, 샌프란시스코의 유리 공예가 존 호건은 오히려 자외선을 작품으로 끌어왔다.지난...

2011-08-30 | MIT 미디어 랩 아이덴티티

2010년대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변화’라는 테마가 더해진 시기였습니다. 여기 MIT 미디어 랩의 시각 아이덴티티의 경우도 그렇습니다. 그린 에일과 강이룬은 시스템으로서의 아이덴티티라는 개념으로, 일정한 요소가 무한히 변주되는 디자인을 선보였습니다. 그렇기에 매번 달라지면서도 하나의 기반을 공유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탄생했죠. 

천연가스 배관의 변신, 독일 노르드 스트림 3

독일 건축 스튜디오 오포지트 오피스(Opposite Office)가 설계한 ‘노르드 스트림 3(Nord Stream 3)’가 공개되었다. ‘노르드...

2011-06-14 | 캄파나 형제의 러그 디자인

브라질을 대표하는 형제 디자이너 움베르투 & 페르난두 캄파나의 2010년도 러그가 2011년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을 찾았습니다. 풀밭 위에 누워 있는 듯한 사람들의 모습이 평면이 아닌 입체로, 그러니까 봉제 인형들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왜 하필이면 봉제 인형일까요. 또 그것에 담긴 함의는 무엇일까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