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23 | 탑승권 리디자인 릴레이

Editor’s Comment

코로나19를 지나며 가장 먼저 여행이 ‘멈춤’에 돌입했고, 어느 머나먼 곳으로 떠나는 항공권을 들던 때가 그리울 정도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의 뉴스로 ‘항공권’ 이야기를 골라보았습니다. 어째서 항공권을 손에 들고서도 우왕좌왕하게 될까. 표를 언제 왜 들여다보게 되는가를 중심으로, 탑승권의 정보에 순서와 강조점을 부여한 어느 개인의 리디자인 제안과 그에 이어지는 릴레이입니다.

스퀘어스페이스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타일러 톰슨(Tyler Thomson). 그가 ‘안구 정화를 외치게 만드는 비행기 탑승권 디자인’을 이야기한다. 발단은 델타 항공의 탑승권 한 장에서 시작되었다. 뉴욕으로 돌아가기 위해 비행기를 기다리던 차, 무료함을 달래려 무엇인가 읽을 거리를 찾다 손에 쥔 것이 탑승권이었던 것. 문제는 비행기 표의 디자인이 그에게 모욕에 가까운 감정을 불러 일으켰다는 데 있다. 결국 타일러 톰슨은 몰스킨 수첩을 꺼내들고 ‘내맘대로’ 탑승권 디자인에 나섰다.

“탑승권을 살펴보는 것은 언제이며 무슨 이유 때문인가.” 그는 자신의 경험들을 되돌아보기로 했다. 내가 탈 항공편이 무엇인지, 어느 게이트로 입장해야 하는지, 좌석은 어디인지, 출발 / 도착 시각은 몇 시인가. 이 모든 정보가 기존의 항공권에도 모두 적혀 있지만, 어째서 매번 사람들은 손에 표를 들고서도 우왕좌왕하는 것일까. 이러한 과정을 거쳐 탄생한 것이, 아래의 비행기표들이다. 물론 모두 ‘타일러 톰슨 버전’으로, 델타 항공의 정식 항공권은 아니다.

한편 타일러 톰슨의 글 아래로, 다른 디자이너들의 리디자인 도전기가 릴레이처럼 이어진다. 아예 문장으로 정보를 표기한 항공권처럼 흥미로운 제안들이 눈에 띈다. 아래 패스페일 패이지에서, 여러 리디자인 버전들을 비교해 보시길. 

passfail.squarespace.com

via core77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6-11 | AMD 오픈 아키텍처 챌린지 수상작

인도적 위기에 대한 건축의 응답.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활동은 그렇게 요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1999년 설립 이래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2000년대는 여러 모로 분주했습니다. 전쟁, 재해, 질병 등 건축적 개입이 절실한 지역 공동체와 사회적 디자인을 고민하는 디자이너, 건축가를 연계하는 플랫폼으로서, 세계 곳곳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오픈소스 건축 네트워크를 여는가 하면 국제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하였지요. 인덱스 어워드, TED 프라이즈 등 수상도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어디로도 연결되지 않는 오늘 뉴스의 하이퍼링크들이 암시하듯,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는 2015년 파산을 신청하며 15년 활동의 막을 내렸습니다.

식사의 즐거움을 담은 비둘기 테이블

디자이너 듀오 뮬러 반 세베렌(Muller Van Severen)과 아티스트 겸 쉐프인 라일라 고하르(Laila Gohar)이 협업을...

달로 보내진 제프 쿤스의 작품 ‘월상(月相)’

예술가 제프 쿤스(Jeff Koons)의 새 프로젝트 ‘제프 쿤스: 월상(Jeff Koons: Moon Phase)’이 탑재된 스페이스X의...

2007-01-24 | 일회용 정원, ‘B-백’

작년 농촌진흥청이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10명 중 5명이 “반려식물”에 관심이 더 커졌다고 답했습니다. 집에 머물러야 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집 안에 자연을 들이는 홈 가드닝에 대한 관심도 자연스럽게 늘어났지요. 2007년에 전해드렸던 독특한 모양의 그로우 백 소식이 새삼 다시 눈에 띈 이유일지도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