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 만에 완성된 ‘단 한 장’의 의자

1934년 헤리트 리트벨트는 단 하나의 나무 조각으로 의자를 만들겠다는 상상력에서 출발하여 선구적인 실험 작업 ‘지그재그 의자’를 선보였다. 그 후 한 세대가 지난 1967년에 베르너 팬톤은 플라스틱을 소재로 일체형 의자를 만들었고, 2021년, 올해 드디어 재스퍼 모리슨은 ‘원-피스(one-piece)’ 목재에 대한 열망을 다시 되살려, 90년 전 리트벨트가 열망했던 ‘단 한 장’의 꿈을 구현해냈다.

이소 라운지, 2021. © Jasper morrison

재스퍼 모리슨의 새 의자 디자인 ‘이소 라운지(Iso-lounge)’는 이번 2021 런던 디자인 페스티벌에서 공개되었다. 영국의 가구 업체 이소콘 플러스(Isokon Plus)에서는 가구 제작 기술력을 총 동원하여, 무늬목 합판 ‘단 한 장’ 만으로 캔틸레버 형태(외팔보 형식)를 구현함으로써 오랜 가구 디자인의 꿈을 현실화했다. 공중에 떠 있는 듯한 캔틸레버 의자는 불안해 보이는 외양과 달리, 실제 구조는 안정되게 설계되고 튼튼하게 만들어져 앉은 이를 편안하게 지지해준다. 실용성과 심미성을 겸비한 이 의자는 재스퍼 모리슨과 이소콘 플러스 팀이 런던에 위치한 기업의 워크숍에서 18개월 이상 개발에 몰두한 끝에 완성된 결과물이다. 얼핏 보기에는 단순한 형태이지만, 이것은 현재 가능한 최고의 기술을 적용하여 합판 소재의 성능을 한계까지 끌어올린 결과물이다.

(좌) 의자에 사용되는 무늬목 합판, (우) 합판 성형 과정, 2021. © Isokon Plus

“의자를 디자인할 때, 이소콘 플러스의 로고, 제럴드 서머스의 라운지 의자, 헤리트 리트펠트의 지그재그 의자에서 보이는 흐르는 듯한 일체형의 합판을 떠올리면서 진행했다. 또 2007년에 디자인한 코르크 의자에 적용했던 좌판, 등받이의 높이와 각도가 이 의자에도 담겨 있다. 이 의자에서는 구조와 라인, 비율, 편안함이 무엇보다 큰 도전 과제였지만 이소콘 플러스의 얇은 합판 성형 기술이 있었기에 완성할 수 있었다”며 모리슨은 전반적인 디자인 과정과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isokonplus.com
jaspermorrison.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0-22 | 긴축, 긴축, 긴축

쾅고(quango)는 정부가 상급 인사를 임명하고 재정지원도 하지만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반관반민 기관들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다만 여기에는 다소 경멸적인 어감이 깔려 있지요. 가령 국내 일간지의 칼럼에서 이 단어는 이렇게 등장합니다. “우리나라 같은 공공기관을 쾅고라고 조롱기 섞어 부르는 영국에선 같은 날 192개의 쾅고를 없앴다고 발표했다. 쾅고는 유사자치 비정부기구라는 뜻이다.” (...)

Sad by Design: On Platform Nihilism

“뉴노멀에 온 걸 환영한다.” 시작부터 이런 달갑지 않은 문장이 등장한다. 지겹게 들어온 뉴노멀 타령인가...

2009-03-10 | ‘잃어버린 도시로부터’

반듯함과는 거리가 먼, 자가성장이 만들어낸 비정형의 파벨라 풍경을 가구에 옮겼습니다. 가구의 뼈대를 채운 것은 제각각 소재의 서랍과 상자들입니다. 2009년 당시 갓 학교를 졸업한 신진 디자이너였던 크리스티안 비방코는 이제 여러 디자인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입니다. 더불어 멕시코의 라탄 가구 브랜드인 발사의 크리에이티브 디렉션도 맡고 있지요.

2006-08-29 | 몰스킨의 “브랜드 고고학”

이 수첩은 본래 프랑스에서 태어났지만, 세계적으로 알려진 이름이 된 것은 이탈리아의 한 회사가 이 브랜드를 인수한 이후입니다. 바로 ‘몰스킨’의 이야기입니다. 2006년 이탈리아에서 다시 프랑스 브랜드로 되돌아간 몰스킨 소식을 계기로, 그해 오늘은 몰스킨의 부활의 밑거름이 된 배경을 살펴보았습니다. 모도 앤드 모도는 100년 동안 예술가들의 친구였던 이 수첩의 역사와 유산을 되살렸고, 애호가들은 기꺼이 몰스킨의 자발적 마케터가 되었습니다. 누군가는 이 놀라운 성공을 두고 “브랜드 고고학”이라 불렀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