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년 긴 잠에서 깨어난 수도원

성-프랑수아 수도원 전경, 2021. © Thibaut Dini

프랑스 건축가 아멜리아 타벨라(Amelia Tavella)가 프랑스의 산타 루시아 디 탈라노에 위치한 ‘성-프랑수아 수도원(the Convent Saint-François)’의 재건축을 완료했다.

이 수도원은 1480년에 지어진 이후, 부분적으로 훼손된 채 오랜 시간 방치되었다. 타벨라는 파괴된 건물의 잔해를 유지하면서, 그 구멍을 구리 무샤라비에(Moucharabieh: 아라비아 건축의 격자무늬)로 채웠다. 과거에 파괴된 건물에 현대적 감각으로 구리를 사용함으로써, 오래된 것과 새것이 서로를 지우지 않는다. 그리고 수도원을 둘러싼 산의 풍경과 수도원 건물의 균형미를 고려하여 재건축된 건물의 어떤 요소도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였다.

건물 잔해와 이어진 구리 외벽, 2021. © Thibaut Dini

마치 스테인드글라스 유리창을 통해 빛이 고딕 성당의 실내로 들어오는 것처럼, 이 건물의 외벽을 이루는 구리 무샤라비에는 빛을 사로잡는다.

또한 구리로 만들어진 외벽은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데, 화강암이 가진 부드러움과 달리, 구리에는 하늘에서 내려오는 빛을 잡아 두고 반사하려는 성향이 있다. 이러한 소재의 성질은 하늘을 향해 기도하는 수도승의 모습, 또는 하늘에 가까워지고자 높은 곳까지 찾아온 신실한 종교인들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더 높은 곳에서 내려오는 보이지 않는 힘을 믿는다. 성-프랑수아 수도원이 높은 절벽에 지어지고, 기도의 장소로 수도승에게 선택된 것도 그 믿음의 결과이다”고 건축가는, 높고 외진 곳에 수도원이 자리하게 된 이유를 신앙심과 연관 지어 설명한다.

수도원 안으로 들어오는 빛, 2021 © Thibaut Dini

archdaily.com

현재 사이트 점검 중 ameliatavella.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4-29 | 학생들이 수여합니다

‘쾰른 클로퍼’는 쾰른국제디자인학교(KISD)의 학생들이 수여하는 디자인상입니다. 1996년부터 KISD 재학생들은 매년 투표를 통해 뛰어난 수상자를 선정해왔는데요. 2010년의 수상자는 다름 아닌 디터 람스였습니다. 참고로 2021년 KISD 학생들의 선택은 독일의 독립출판 레이블인 슬랜티드(Slanted)였고, 시상식은 최초로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로 열렸다고 합니다.

2010-05-20 | 바바라 크루거의 런던 지하철 노선도

2010년 5월 21일 이후 런던의 지하철역에서 포켓형 노선도를 집어들었다면, 표지에서 어딘가 이상한 점이 눈에 띄었을 것입니다. 노선도의 모습은 그대로인데, 역의 이름이 다릅니다. 가령 피카딜리 서커스 역은 ‘역설’, 웨스트민스터 역은 ‘이성’, 러셀 스퀘어 역은 ‘의심’, 템플 역은 ‘웃음’이 되었습니다. 바바라 크루거는 런던 도심의 지하철역에 어떤 상태, 개념, 감정의 단어를 붙였고, 그렇게 바뀐 노선도는 마음의 여정을 그린 마인드맵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

2011-10-12 | 월스트리트 점령 운동에 로고를

“월가를 점령하라”. 2011년 가을 뉴욕 월스트리트를 메운 외침에 상징을 부여하려는 디자이너들이 있었습니다. 디자이너 시모어 콰스트는 <뉴욕 타임스>에 “모든 운동에는 로고가 필요하다”는 글을 기고하며, 자신을 포함해 체르마예프 & 게이스마, 지 리 등 여러 디자이너들이 제안한 로고들을 소개했습니다. 

2008-04-29 | 평범한 일상에 근거하라

변화와 혁신을 말하는 목소리야말로 유일하게 변하지 않는 무엇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한 변화와 혁신은 평범하고 지루하기까지한 일상의 행동에서 비롯된다고 웬디 마치는 말합니다. 2008년 미국산업디자인협회의 컨퍼런스에서 그가 이야기했던 “평범한 미래”를 다시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