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1-15 | 디터 람스의 ‘620 체어 프로그램’ 재탄생

Editor’s Comment

언제부터인가 디터 람스의 디자인을 수집하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으니, 오래된 시계, 전축 시스템, 의자, 선반이 어느 집, 어느 카페 사진 속에서 발견되곤 합니다. 디터 람스의 이름과 떼놓을 수 없는 브랜드도 있습니다. 그가 40년을 몸담았던 브라운과 더불어, 비초에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1960년대, 그러니까 비초에가 비초에+차프였던 시절에 디터 람스가 디자인한 선반, 의자, 테이블은 비초에라는 브랜드의 존재 이유와도 같은 무엇이 되었지요.   

디터 람스가 디자인 한 모던 클래식 ‘620 체어 프로그램(620 Chair Programme)’의 리메이크 버전이 출시되었다. 오리지널을 만들었던 비초에(Vitsœ)에서 되살린 것이니, 리메이크라기보다는 리바이벌이라고 하는 편이 더 적합하겠다.

620 체어 프로그램’은 1962년 비초에를 위해 처음 디자인된 것으로, 1966년 로젠탈 스튜디오 프라이즈와 1969년 비엔나에서 열린 국제 가구박람회에서 금상을 수상하고, 그 후로도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뮤지엄, 화이트채플 갤러리 등, 여러 세계적인 미술관/갤러리에서 전시되면서 모던 클래식의 명품으로 자리잡았다. 

말끔한 선과 균형 잡힌 디자인, 다양한 변형 가능성, 꼼꼼한 제작 과정으로 대표되는 ‘620 프로그램’. 이 의자는 끊임없이 변화를 꾀하는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담아냄으로써 단순한 의자 이상의 무엇이 되었다. 의자를 붙이면 소파가 되고, 낮은 등받이는 높은 등받이로 바꿀 수가 있으며, 의자 아래의 회전판은 바퀴나 일반 다리로 교체할 수도 있으니, 과연 편의를 위한 헌신적 의자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풋스툴의 활용도가 무한한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으며, 천이나 가죽 커버도 쉽게 교체가 가능하다. 

이번 리메이크 버전을 위해 비초에 측은 디터 람스와 함께 긴밀히 의견을 교환하며, 오리지널 툴을 그대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다시 태어난 ‘620 체어 프로그램’의 런칭과 때를 맞춰, 지난 11월 1일 ‘아트 오브 리즌(Art of Reason)’ 이라는 제목의 전시가 뉴욕 모스 갤러리에서 열려, ‘620 체어 프로그램’과 또 하나의 대표작 ‘606 유니버설 선반 시스템’을 대비하며, 디터 람스의 명료하고 이성적인 디자인 세계를 조명했다. 

https://www.vitsoe.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8-23 | 레고를 든 건축가들

〈아이콘〉 매거진 098호는 ‘장난감’ 특집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기획이 진행되었습니다. 편집부는 런던의 유명 건축사무소 여러 곳에 ‘레고 아키텍처’ 세트를 안겨, 그것으로 새로운 건축 모형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과연 그 결과는 어땠을까요. 2011년 오늘의 소식에서 확인해보시죠.

2011-01-21 | ‘풍선 강아지’ 소동

제프 쿤스가 풍선 강아지 모양의 북엔드를 만든 제조사와 판매처에 소송을 걸었습니다. 그의 대표작 ‘풍선 강아지’의 저작권을 침해했다는 주장이었지요. 법조계의 예상도 세간의 시선도 그의 편은 아니었고, 결국 얼마 지나지 않아 제프 쿤스 측은 소송을 포기하고 판매처와 제조사에 대해 어떤 소송도 제기하지 않겠노라 합의하며 소동은 마무리되었습니다.

방호복을 입은 가구와 도자기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디자인 스튜디오 유이(YUUE)가 중국의 과도한 코로나 바이러스 억제 정책으로 불필요한 인도적...

2010-07-08 | 2010 서펀타인 갤러리 파빌리온

2010년은 런던의 서펀타인 갤러리에 의미 있는 해였습니다. 개관 40주년에 매년 여름 선보인 파빌리온 프로젝트 10주년을 맞이한 해였지요. 여러 모로 기념할 만 했던 그 해, 서펀타인 갤러리가 선택한 파빌리온 건축의 주인공은 장 누벨이었습니다. 켄싱턴 가든의 녹음과 대비되는 강렬한 적색의 캔틸레버 구조물이 기하학적 형상을 이루며 존재감을 강변합니다. (...)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