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1-11 | 벌레에게 배우다

Editor’s Comment

공기에서 물을 얻다. 에드워드 리너커의 ‘에어드롭 관개법’이 2011년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를 수상했습니다. 그는 가뭄을 이겨낼 방법을 나미브 사막에 사는 딱정벌레에게 찾았는데요. 벌레가 안개로 물을 만들어 마시듯, ‘에어드롭 관개법’도 공기에서 물을 만들어냅니다. 자연을 선생으로 삼는 ‘생체모방’ 디자인의 사례라 하겠습니다.

에드워드 리너커의 ‘에어드롭 관개법’
Photograph by Arsineh Houspian

지난 몇 년 동안 호주는 극심한 가뭄에 시달렸고, 당연히 농작물도 피해를 보았다. 에드워드 리너커(Edward Linacre)는 땅에 물을 댈 수원을 공기에서 찾았다. 공기 중의 수증기를 모아 마른 땅에 물을 주는 것이다. 이름하여 ‘에어드롭 관개법(Airdrop Irrigation)’ 콘셉트로 리너커가 2011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를 수상하였다.

‘에어드롭’을 위해 리너커는 작은 벌레에 눈을 돌렸다. 아프리카 나미브 사막의 딱정벌레는, 지구 상에서 가장 메마른 땅에서도 물을 얻는 방법을 알고 있다. 새벽마다 바다쪽에서 밀려오는 안개를 향해 제 몸통을 들어 올려, 등껍질에 맺힌 이슬을 먹는 것이다. 

‘에어드롭’ 역시 같은 원리를 빌렸다. 아무리 메마른 공기라 해도 물 분자가 함유되어 있다. 그래서 물 분자가 응결하는 지점까지 공기를 냉각하면, 물이 생긴다. ‘에어드롭’은 계속해서 공기를 냉각시켜 물을 만들고, 이를 지하 파이프들을 통해 농작물의 뿌리에 직접 공급한다. 에드워드 리너커는 연구를 통해 사막의 1입방미터의 공기에서, 11.5밀리미터의 물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제임스 다이슨은 ‘에어드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생체모방(biomimicry)’는 엔지니어에게 강력한 무기가 된다. ‘에어드롭’은 디자인과 공학을 통해, 물의 응결처럼 간단한 자연 원리들이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에드워드처럼 젊은 디자이너와 공학자들은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미래 기술을 개발할 것이다. 세계 최악의 문제들과 씨름하는 과정 속에서 그들은 세상을 개선하게 될 것이다.”

이번 수상으로 에드워드 리너커는 1만 파운드의 상금을 받았다. 더불어 그가 재학 중인 스윈번 기술대학에도 같은 금액이 전달되어, 젊은 엔지니어들의 지원에 쓰일 예정이다.

www.jamesdysonaward.or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11-09 | MIT, 프랭크 게리 고소

프랭크 게리가 설계한 MIT의 ‘레이 & 마리아 스테이터 센터’는 놀라운 형태와 구성으로 화제를 모았습니다. 하지만 개관 직후부터 건물은 이런저런 하자에 시달렸습니다. 아고라를 구현하였다는 원형 극장 석조부에 금이 가고 하수가 역류하는가 하면, 이곳저곳에서 누수로 곰팡이가 피었다고요. 장관을 이룬 다각의 벽들은 겨울이면 얼음과 눈이 흘러내리는 슬로프가 되었습니다. 결국 MIT는 설계를 맡은 프랭크 게리 & 어소시에이츠와 건설을 맡은 비컨 스칸스카 등에 소송을 걸었습니다.(...)

2011-10-24 | 아키진스

세계 각국의 건축 관련 잡지들을 모은 온라인 아카이브 ‘아키진스’의 오프라인 전시가 2011년 AA 건축학교에서 열렸습니다. 동명의 전시회 ‘아키진스’에서는 20여 개 국가에서 나온 건축 관련 잡지, 팬진, 저널 등 총 60여 종을 소개했습니다. 가내수공업 스타일의 무료 잡지에서 이름난 건축 전문지까지, 각각의 출판물과 이를 만드는 사람들의 인터뷰가 나란히 함께 하였죠.

2007-02-21 | 머리카락으로 그린 일상

빅토리아 시대 기억을 위한 장신구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되살려, 일상의 사소한 순간들을 기념합니다. 그것도 머리카락으로요. 미국의 공예 작가 멜라니 빌렌커는 다갈색 머리카락 한올 한올로 조용하고 평범한 장면들을 기억할 만한 순간으로 바꿔냅니다. 

2010-07-29 | 프랭크 게리 셀렉트

캘리포니아의 프랭크 로이드 갤러리는 도자 작품만을 전문적으로 선보여온 화랑입니다. 2010년 이곳에서는 프랭크 게리의 전시회가 열렸는데요. 정확히 말하면 프랭크 게리가 선별한 도자 작품들의 전시입니다. 도자기와 프랭크 게리. 의외의 조합 같지만, 약간의 과장을 보탠다면 도자 공예는 그가 건축가의 길을 걷게 된 전환점이었다고 할까요.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는 2010년 오늘자 소식인 ‘프랭크 게리 셀렉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