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1-11 | 벌레에게 배우다

Editor’s Comment

공기에서 물을 얻다. 에드워드 리너커의 ‘에어드롭 관개법’이 2011년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를 수상했습니다. 그는 가뭄을 이겨낼 방법을 나미브 사막에 사는 딱정벌레에게 찾았는데요. 벌레가 안개로 물을 만들어 마시듯, ‘에어드롭 관개법’도 공기에서 물을 만들어냅니다. 자연을 선생으로 삼는 ‘생체모방’ 디자인의 사례라 하겠습니다.

에드워드 리너커의 ‘에어드롭 관개법’
Photograph by Arsineh Houspian

지난 몇 년 동안 호주는 극심한 가뭄에 시달렸고, 당연히 농작물도 피해를 보았다. 에드워드 리너커(Edward Linacre)는 땅에 물을 댈 수원을 공기에서 찾았다. 공기 중의 수증기를 모아 마른 땅에 물을 주는 것이다. 이름하여 ‘에어드롭 관개법(Airdrop Irrigation)’ 콘셉트로 리너커가 2011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를 수상하였다.

‘에어드롭’을 위해 리너커는 작은 벌레에 눈을 돌렸다. 아프리카 나미브 사막의 딱정벌레는, 지구 상에서 가장 메마른 땅에서도 물을 얻는 방법을 알고 있다. 새벽마다 바다쪽에서 밀려오는 안개를 향해 제 몸통을 들어 올려, 등껍질에 맺힌 이슬을 먹는 것이다. 

‘에어드롭’ 역시 같은 원리를 빌렸다. 아무리 메마른 공기라 해도 물 분자가 함유되어 있다. 그래서 물 분자가 응결하는 지점까지 공기를 냉각하면, 물이 생긴다. ‘에어드롭’은 계속해서 공기를 냉각시켜 물을 만들고, 이를 지하 파이프들을 통해 농작물의 뿌리에 직접 공급한다. 에드워드 리너커는 연구를 통해 사막의 1입방미터의 공기에서, 11.5밀리미터의 물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제임스 다이슨은 ‘에어드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생체모방(biomimicry)’는 엔지니어에게 강력한 무기가 된다. ‘에어드롭’은 디자인과 공학을 통해, 물의 응결처럼 간단한 자연 원리들이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에드워드처럼 젊은 디자이너와 공학자들은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미래 기술을 개발할 것이다. 세계 최악의 문제들과 씨름하는 과정 속에서 그들은 세상을 개선하게 될 것이다.”

이번 수상으로 에드워드 리너커는 1만 파운드의 상금을 받았다. 더불어 그가 재학 중인 스윈번 기술대학에도 같은 금액이 전달되어, 젊은 엔지니어들의 지원에 쓰일 예정이다.

www.jamesdysonaward.or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2-23 | 음악을 보다

비발디의 바이올린 협주곡 〈사계〉가 네 장의 포스터로 옮겨졌습니다. 모트스튜디오의 라이아 클로스는 음악이라는 정보를 시각화하는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사계〉의 바이올린 선율과 리듬, 하모니를 도형과 색상으로 옮긴 인포메이션 그래픽을 선보였습니다. 

2011-04-14 | 이야기 꽃병

구슬 공예를 업으로 삼은 여성들의 이야기가 꽃병이 되었습니다. 말 그대로 꽃병은 여인들이 구슬로 적어내린 이야기를 입고 있습니다. 오늘의 뉴스는 남아공의 여성 구슬공예인 집단 시야자마 프로젝트와 스웨덴의 디자인 스튜디오 프론트가 함께 진행한 2011년의 ‘이야기 꽃병’ 프로젝트입니다. 

2010-01-20 | 아이티를 위하여

거대한 자연 재해 앞에서 사람은 작고 무력하게만 느껴집니다. 하지만 재난의 잔해 속에서 다시 일어나는 것은 결국 사람의 몫이죠. 지난 15일 남태평양의 섬나라 통가 인근의 해저 화산 하파이가 폭발했습니다. 통신 두절로 몇일이 지나서야 피해 윤곽이 드러나기 시작한 가운데, 예상보다 인명 피해는 적은 것으로 보이지만 섬들을 뒤덮은 화산재로 인해 식수난이 심각하고, 또 구호를 위한 접근도 지연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부디 더 큰 피해 없이 구호와 복구가 이뤄지길 바라며, 오늘은 10년 전 대지진이 강타했던 아이티의 재건을 위해 복구 계획을 발표했던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이야기를 다시 만나봅니다. 

2009-06-29 | 하비에르 마리스칼, 삶을 그리다

“전위적인 디자인을 시도했는데, IOC에 가장 높은 수익을 안긴 올림픽 마스코트가 되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스코트 ‘코비’의 이야기입니다. 귀엽겠다고 애쓰지 않는데 친근하게 마음을 끌고, 너무 단순한가 싶으면서도 미묘합니다. 정면과 측면이 공존하는 얼굴처럼요. 2009년 오늘의 소식은 코비의 디자이너 하비에르 마리스칼의 회고전입니다.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열린 전시로, 그래픽과 일러스트레이션에서 가구, 인테리어에 이르는 마리스칼의 세계를 조망했습니다. 2013년에는 한국에서도 그의 전시회가 열렸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