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1-11 | 벌레에게 배우다

Editor’s Comment

공기에서 물을 얻다. 에드워드 리너커의 ‘에어드롭 관개법’이 2011년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를 수상했습니다. 그는 가뭄을 이겨낼 방법을 나미브 사막에 사는 딱정벌레에게 찾았는데요. 벌레가 안개로 물을 만들어 마시듯, ‘에어드롭 관개법’도 공기에서 물을 만들어냅니다. 자연을 선생으로 삼는 ‘생체모방’ 디자인의 사례라 하겠습니다.

에드워드 리너커의 ‘에어드롭 관개법’
Photograph by Arsineh Houspian

지난 몇 년 동안 호주는 극심한 가뭄에 시달렸고, 당연히 농작물도 피해를 보았다. 에드워드 리너커(Edward Linacre)는 땅에 물을 댈 수원을 공기에서 찾았다. 공기 중의 수증기를 모아 마른 땅에 물을 주는 것이다. 이름하여 ‘에어드롭 관개법(Airdrop Irrigation)’ 콘셉트로 리너커가 2011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를 수상하였다.

‘에어드롭’을 위해 리너커는 작은 벌레에 눈을 돌렸다. 아프리카 나미브 사막의 딱정벌레는, 지구 상에서 가장 메마른 땅에서도 물을 얻는 방법을 알고 있다. 새벽마다 바다쪽에서 밀려오는 안개를 향해 제 몸통을 들어 올려, 등껍질에 맺힌 이슬을 먹는 것이다. 

‘에어드롭’ 역시 같은 원리를 빌렸다. 아무리 메마른 공기라 해도 물 분자가 함유되어 있다. 그래서 물 분자가 응결하는 지점까지 공기를 냉각하면, 물이 생긴다. ‘에어드롭’은 계속해서 공기를 냉각시켜 물을 만들고, 이를 지하 파이프들을 통해 농작물의 뿌리에 직접 공급한다. 에드워드 리너커는 연구를 통해 사막의 1입방미터의 공기에서, 11.5밀리미터의 물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제임스 다이슨은 ‘에어드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생체모방(biomimicry)’는 엔지니어에게 강력한 무기가 된다. ‘에어드롭’은 디자인과 공학을 통해, 물의 응결처럼 간단한 자연 원리들이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에드워드처럼 젊은 디자이너와 공학자들은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미래 기술을 개발할 것이다. 세계 최악의 문제들과 씨름하는 과정 속에서 그들은 세상을 개선하게 될 것이다.”

이번 수상으로 에드워드 리너커는 1만 파운드의 상금을 받았다. 더불어 그가 재학 중인 스윈번 기술대학에도 같은 금액이 전달되어, 젊은 엔지니어들의 지원에 쓰일 예정이다.

www.jamesdysonaward.or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5-12 | OCAD U 시각 아이덴티티

2011년 새단장한 온타리오미술디자인대학의 시각 아이덴티티가 공개되었습니다. 흑백의 창들로 이뤄진 가변형의 로고 디자인이 핵심입니다. 고정형에서 가변형으로 또 더 나아가 반응형에 이르기까지, 2010년을 전후로 운신의 폭을 넓힌 아이덴티티 디자인들이 속속 등장하며 하나의 추세를 이루었습니다. 2009년의 멜버른 시 아이덴티티, 2011년의 BMW 구겐하임 랩 아이덴티티, 2013년의 휘트니 미술관 그래픽 아이덴티티 같은 사례처럼요. 변화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시기적으로 궤를 같이 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동적’ 변화입니다.

2010-10-14 | 잉크, 드레스 속에 흐르다

아나욱 비프레흐트는 인터페이스로서의 패션을, 패션으로서의 기술을 디자인합니다. 그가 2010년 선보인 ‘쉬도모프’는 그의 행보가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였지요. 잉크, 밸브, 전자회로가 더해진 두터운 펠트 드레스는, 기계가 작동하는 순간 드레스 안으로 잉크가 스며들며 번져나가 무늬를 만들어냅니다. 이후로도 그는 계속해서 “패션테크”의 영역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2011-10-07 | 아이시포스터

아이시포스터는 전 세계의 오리지널 빈티지 포스터를 판매하는 곳입니다. 하지만 주력은 60~70년대 폴란드의 영화 포스터입니다. 폴란드의 시각 문화에 있어 포스터가 차지하는 자리는 독특합니다. 영화 포스터도 정말로 색다르죠. 영화의 주요 장면나 주역들의 얼굴이 주를 이루는 전형적인 포스터는 오히려 찾아보기가 힘듭니다. 아이시포스터에서 폴란드 포스터 특유의 매력을 다시금 확인해보시죠. 

2009-10-20 | 2012 런던 올림픽 픽토그램

1948년 처음으로 올림픽에 픽토그램을 적용했던 런던에서 다시 열리는 2012년 올림픽의 픽토그램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논란을 불러 일으킨 뉴 레이브 스타일의 과감한 올림픽 로고와 한 가족을 이루어야 하는 픽토그램 디자인을 선보이며, 디자인에 참여했던 팀원은 이런 소망을 밝혔습니다. “사람들이 로고에는 부정적이었지만, 부디 픽토그램에는 호의적이었으면 좋겠다. 특히 디자인계에서 말이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