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1-11 | 벌레에게 배우다

Editor’s Comment

공기에서 물을 얻다. 에드워드 리너커의 ‘에어드롭 관개법’이 2011년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를 수상했습니다. 그는 가뭄을 이겨낼 방법을 나미브 사막에 사는 딱정벌레에게 찾았는데요. 벌레가 안개로 물을 만들어 마시듯, ‘에어드롭 관개법’도 공기에서 물을 만들어냅니다. 자연을 선생으로 삼는 ‘생체모방’ 디자인의 사례라 하겠습니다.

에드워드 리너커의 ‘에어드롭 관개법’
Photograph by Arsineh Houspian

지난 몇 년 동안 호주는 극심한 가뭄에 시달렸고, 당연히 농작물도 피해를 보았다. 에드워드 리너커(Edward Linacre)는 땅에 물을 댈 수원을 공기에서 찾았다. 공기 중의 수증기를 모아 마른 땅에 물을 주는 것이다. 이름하여 ‘에어드롭 관개법(Airdrop Irrigation)’ 콘셉트로 리너커가 2011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를 수상하였다.

‘에어드롭’을 위해 리너커는 작은 벌레에 눈을 돌렸다. 아프리카 나미브 사막의 딱정벌레는, 지구 상에서 가장 메마른 땅에서도 물을 얻는 방법을 알고 있다. 새벽마다 바다쪽에서 밀려오는 안개를 향해 제 몸통을 들어 올려, 등껍질에 맺힌 이슬을 먹는 것이다. 

‘에어드롭’ 역시 같은 원리를 빌렸다. 아무리 메마른 공기라 해도 물 분자가 함유되어 있다. 그래서 물 분자가 응결하는 지점까지 공기를 냉각하면, 물이 생긴다. ‘에어드롭’은 계속해서 공기를 냉각시켜 물을 만들고, 이를 지하 파이프들을 통해 농작물의 뿌리에 직접 공급한다. 에드워드 리너커는 연구를 통해 사막의 1입방미터의 공기에서, 11.5밀리미터의 물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제임스 다이슨은 ‘에어드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생체모방(biomimicry)’는 엔지니어에게 강력한 무기가 된다. ‘에어드롭’은 디자인과 공학을 통해, 물의 응결처럼 간단한 자연 원리들이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에드워드처럼 젊은 디자이너와 공학자들은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미래 기술을 개발할 것이다. 세계 최악의 문제들과 씨름하는 과정 속에서 그들은 세상을 개선하게 될 것이다.”

이번 수상으로 에드워드 리너커는 1만 파운드의 상금을 받았다. 더불어 그가 재학 중인 스윈번 기술대학에도 같은 금액이 전달되어, 젊은 엔지니어들의 지원에 쓰일 예정이다.

www.jamesdysonaward.or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4-25 | 접힌 잎

스웨덴의 디자인 스튜디오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가 화웨이의 휴대폰을 디자인하며 생각한 이미지는 살짝 접힌 잎사귀였습니다. 오래된 전화기, 초창기 휴대폰의 형태를 가져온 것이죠. 스마트폰이 우세종으로 자리잡던 즈음, 이처럼 반작용 혹은 반동이라 할 계열의 휴대폰 디자인이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의도적인 시대착오라고 할까요.

사물이 말을 한다면 #3 사랑의 시간을 잃고 수난의 시간으로

나는 달린다 나는 매일 달린다. 큰 키에 무성한 이파리로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주는 나무들의 호위아래서, 둥실...

2008-01-04 | 허구의 디자인에 주목하라

제품이 되기 위한 전 단계로서가 아니라, 어떤 이야기를 전면화한 가상 또는 허구의 디자인. 2008년, 코어77의 수석 에디터 앨런 초치노프는 생산가능성과 무관한 상상과 아이디어를 담은 디자인 혹은 사물의 개념에 집중하여 그 자체를 소비의 대상으로 담은 디자인을 모두 아울러 ‘프로토타이핑’이라 부르며, 그러한 허구의 디자인에 담긴 가능성을 이야기하였습니다. 

전시 ‘묘한 감각이 좋다: ASMR의 세계’

영국 런던 디자인뮤지엄(Design museum)에서 2022년 10월 16일까지 ‘묘한 감각이 좋다: ASMR의 세계(WEIRD SENSATION FEELS...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