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1-03 | 쿠퍼휴잇, 디지털 서체 ‘클리어뷰’ 소장

Editor’s Comment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이 소장한 최초의 디지털 서체는 고속도로 표지를 위해 태어난 ‘클리어뷰’입니다. 노년에 접어든 베이비붐 세대 운전자를 위해 태어난 도로표지판용 서체인데요. ‘클리어뷰’라는 이름답게 밤이면 빛 반사로 글자가 번져보이는 등 기존의 서체가 지녔던 문제를 개선하였습니다. 쿠퍼휴잇은 이 서체가 “사회적 참여로서의 디자인 사례”라는 데 주목하여 소장을 결정하였다고요.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의 소장 목록에 최초의 디지털 서체가 더해졌다. 고속도로 표지판용 서체, ‘클리어뷰(Clearview)’가 그 주인공이다. 미커 어소시에이츠(Meeker Associates)의 도널드 미커(Donald Meeker)와 크리스 오하라(Chris O’Hara), 터미널 디자인(Terminal Design)의 제임스 몬탈바노(James Montalbano)가 디자인한 서체로, 노년층에 접어든 베이비붐 세대 운전자들을 위해 개발되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오늘날 미국 운전자 인구의 1/6이 60대 중후반의 베이비붐 세대이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도로표지판의 가독성이 주요한 이슈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1940년대 이래 줄곧 도로표지판을 지켜온 ‘연방도로관리청 서체(FHWA font)’, 일명 “하이웨이 고딕”은 몇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가령 야간 주행시 표지판 표면에 빛이 반사되며 글자가 뿌옇게 번져보이곤 했는데, 대비 인지 능력이 감퇴한 노인 운전자들이 이를 분간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디자이너들과 교통 분야 연구자들은 함께, 도로표지판의 야간 및 원거리 가독성 개선 작업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가 ‘클리어뷰’이다. 대문자만으로 이뤄졌던 기존 표기 방식과 달리, ‘클리어뷰’는 표지판에 대문자와 소문자를 병용한다. 대신 서체의 엑스-하이트(x-height)를 늘리고,  a, e 등 글자 내부의 닫힌 공간들을 좀 더 틔워, 가독성을 확보하였다. 실제로 기존 FHWA 서체와 비교하였을 때, ‘클리어뷰’는 보다 나은 선명도를 보여준다. 

2004년 9월 연방도로관리청은 새 서체 ‘클리어뷰’에 포지티브-콘트라스트, 즉 어두운 색상의 배경에 밝은 색상의 텍스트로 이뤄진 표지 유형으로 임시 사용을 승인, 각 주에 서체 선택권을 허용하였고, 현재 미국 내 20개 주에서 사용되고 있다. 쿠퍼 휴잇은 ‘클리어뷰’가 특히 사회적 참여로서의 디자인 사례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클리어뷰’가 쿠퍼휴잇 최초의 디지털 서체 소장품이 된 까닭이다. 

www.clearviewhwy.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물 재사용

이케아의 디자인 연구소인 스페이스 10(Space 10)과 델프트 공과대학교(TU Delft)가 물을 재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프로젝트를...

2007-11-29 | 당신의 기억보다 나은

2007년 디자인 마이애미/의 ‘디자인 퍼포먼스’ 현장. 그곳에 디자이너 제이슨 밀러는 최면술사와 함께 등장했습니다. 지원자에게 최면을 걸고 인터뷰를 진행하여, 마음 속에 잠든 의미 있는 과거의 오브제를 찾아내, 새 디자인의 바탕으로 삼겠다는 것이었지요. 정말로 “더 나은” 결과물이 나왔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그의 퍼포먼스가 말 그대로 클라이언트의 “마음을 읽는” 디자인을 겨냥했다는 것만은 분명합니다.

주변적 디자인 #3 데뷔 못 하면 죽는 병 걸림

어느날 타임라인에 새로운 아이돌이 나타났다. 내가 팔로우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레드벨벳, 오마이걸, (여자)아이들과 같은 ‘여돌’을 선호한다....

2007-08-17 | 미켈 모라의 ‘평평한 미래’

RCA에서 디자인 인터랙션을 공부하던 미켈 모라는 석사 학위 프로젝트로 ‘평평한 미래’를 생각했습니다. 종이라는 아주 오래된 사물에 미래를 입혔다고 해야 할까요? 디스플레이, 배터리 스피커와 같은 요소들을 종이 위에 프린트하여 종이를 기술의 평면으로 바꾸었습니다. 그렇게 그의 미래에서 종이는 사라질 유물이 아니라 강화된 기술적 사물이 되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