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8-30 | MIT 미디어 랩 아이덴티티

Editor’s Comment

2010년대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변화’라는 테마가 더해진 시기였습니다. 여기 MIT 미디어 랩의 시각 아이덴티티의 경우도 그렇습니다. 그린 에일과 강이룬은 시스템으로서의 아이덴티티라는 개념으로, 일정한 요소가 무한히 변주되는 디자인을 선보였습니다. 그렇기에 매번 달라지면서도 하나의 기반을 공유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탄생했죠. 

가변형 아이덴티티의 또 다른 사례. 올해 초 설립 25주년을 맞아 MIT 미디어 랩이 새로운 시각 아이덴티티를 공개하였다. 새 아이덴티티는 고정된 하나의 로고가 아닌, 로고들을 계속해서 생산하는 하나의 알고리듬이라 할 수 있다. “갖가지 배경을 지닌 창의적인 사람들이 함께 모여 서로에게 영감을 주고 함께 미래의 비전을 만들어가는 곳. 새 시각 아이덴티티는 MIT 미디어 랩이 이루는 커뮤니티에서 착안되었다.” 그린 에일(The Green Eyl)과 강이룬(E Roon Kang)은 시스템으로서의 아이덴티티라는 해법을 통해, 동일성과 특유성이 공존하는 시각 아이덴티티를 제시하였다.

로고 속에는 조명 박스와 유사한 세 개의 형태들이 등장한다. 랩 구성원 개인을 상징하는 이들 형상이, 배치와 색상을 달리하며 하나의 로고를 이루는 것. 변화의 양태는 거의 무한대여서, MIT미디어 랩 구성원들이 각자의 로고를 가질 수 있을 정도이다. 함께 개발된 맞춤형 웹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자신의 로고를 선택, 이를 개인 명함, 웹사이트, 레터헤드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영상 콘텐츠에 활용할 애니메이션형 로고를 위해 맞춤형 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도 함께 공개되었다. 변화무쌍 로고 시스템과 맞춤형 도구들. MIT 미디어 랩의 시각 아이덴티티는 이 모두를 의미하는 셈이다. 

media.mit.edu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8-05 | 프로젝터까지 품었습니다

아주 오래 전 일은 아니었습니다. 필름이 없어도 되는 카메라가 사람들의 손에 손에 들려 있던 시절이요. 휴대폰에 카메라가 있기는 했어도, 카메라에 비할 수준은 되지 않았고, 그렇게 카메라는 단독으로 존재하는 기기였습니다. 하지만 모두 알다시피, 작고 가볍고 부담 없어 인기를 누렸던 유형의 디지털카메라들은 이후 스마트폰에 흡수되었습니다. 오늘의 옛 소식은 스마트폰 초창기, 다른 기기를 흡수하며 생존을 모색하던 디지털 카메라의 이야기입니다.

2010-06-28 | 2010 IDEA 수상자 발표

미국산업디자인협회(ISDA)가 주최하는 국제우수디자인상(IDEA)은 올해로 42주년을 맞는 오랜 시상 행사입니다. 본래 전통적인 산업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시작하였으나, 점차 디자인 전략, 디지털 인터랙션, 사회적 영향력 같은 영역도 아우르게 되었지요. 2010년 IDEA의 ‘베스트 인 쇼’ 부문 수상작 구성도 그러한 확장을 잘 보여줍니다.

2007-05-25 | 디자인 마이애미/, 프론트를 선택하다

2007년 디자인 마이애미/가 선정한 ‘미래의 디자이너’는 바로 스웨덴의 프론트입니다. 2003년 소피아 라게르크비스트, 샤를로트 폰데 란켄, 안나 린드그렌, 카티야 세브스트룀이 설립한 이 디자인 스튜디오는 때로는 동물의 힘을 때로는 컴퓨터의 힘을 빌어 환상과도 같은 디자인을 선보이며 놀라움을 선사했습니다. 돌이켜보아도 2007년 ‘미래의 디자이너’에 다른 선택지가 있었을까 싶을 정도입니다. (...)

텍스트 인식 이미지 생성 AI ‘DALL-E 2’

인공지능 연구소 오픈AI(OpenAI)에서 텍스트를 인식하여 사실적인 이미지와 그림을 ‘창작’할 수 있는 AI 시스템, ‘달-이...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