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8-30 | MIT 미디어 랩 아이덴티티

Editor’s Comment

2010년대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변화’라는 테마가 더해진 시기였습니다. 여기 MIT 미디어 랩의 시각 아이덴티티의 경우도 그렇습니다. 그린 에일과 강이룬은 시스템으로서의 아이덴티티라는 개념으로, 일정한 요소가 무한히 변주되는 디자인을 선보였습니다. 그렇기에 매번 달라지면서도 하나의 기반을 공유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탄생했죠. 

가변형 아이덴티티의 또 다른 사례. 올해 초 설립 25주년을 맞아 MIT 미디어 랩이 새로운 시각 아이덴티티를 공개하였다. 새 아이덴티티는 고정된 하나의 로고가 아닌, 로고들을 계속해서 생산하는 하나의 알고리듬이라 할 수 있다. “갖가지 배경을 지닌 창의적인 사람들이 함께 모여 서로에게 영감을 주고 함께 미래의 비전을 만들어가는 곳. 새 시각 아이덴티티는 MIT 미디어 랩이 이루는 커뮤니티에서 착안되었다.” 그린 에일(The Green Eyl)과 강이룬(E Roon Kang)은 시스템으로서의 아이덴티티라는 해법을 통해, 동일성과 특유성이 공존하는 시각 아이덴티티를 제시하였다.

로고 속에는 조명 박스와 유사한 세 개의 형태들이 등장한다. 랩 구성원 개인을 상징하는 이들 형상이, 배치와 색상을 달리하며 하나의 로고를 이루는 것. 변화의 양태는 거의 무한대여서, MIT미디어 랩 구성원들이 각자의 로고를 가질 수 있을 정도이다. 함께 개발된 맞춤형 웹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자신의 로고를 선택, 이를 개인 명함, 웹사이트, 레터헤드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영상 콘텐츠에 활용할 애니메이션형 로고를 위해 맞춤형 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도 함께 공개되었다. 변화무쌍 로고 시스템과 맞춤형 도구들. MIT 미디어 랩의 시각 아이덴티티는 이 모두를 의미하는 셈이다. 

media.mit.edu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6-10 | 아파트먼트 50

르 코르뷔지에의 집합주택에 부룰렉 형제의 가구가 안착했습니다. 2010년 위니테 다비타시옹에서 열린 ‘아파트먼트 50’ 전시입니다. 실제 사람이 살고 있는 주거 공간이면서 동시에 현대 집합주택의 시초인 위니테 다비타시옹에 부합할 만한 디자인들이 선별되어, 현실의 생활 공간이자 역사적 공간인 아파트에서 오는 이를 맞이하였습니다.

2011-05-27 | 앰네스티 x 마르턴 바스

2010년도 노벨평화상 시상식장에 막상 수상자 류 사오보는 수감되어 참석할 수 없었습니다. 시상식장에 주인 없이 남아 있어야 했던 의자를 상징 삼아, 앰네스티는 ‘빈 의자’라는 이름의 캠페인을 펼쳤습니다. 디자이너 마르턴 바스는 비어 있으되 하늘 높이 솟은 사다리와도 같은 의자로 현실과 희망을 동시에 보여주었습니다.

2011-07-28 | 과일들

디자이너 히사카즈 시미즈는 캐논의 디지털 카메라 ‘익서스’ 시리즈의 수석 디자이너이면서 동시에 사보 스튜디오를 설립해 개인 작업을 병행해왔습니다. 2011년 비비드 갤러리에서 열린 ‘과일들’은 후자의 디자이너로서 연 개인전이었죠. 한편 이 전시의 큐레이팅은 에이조 오카다가 맡았습니다. 디자인 디렉터로서, 또 디자인 블로그 dezain.net의 운영자로서 활동해온 그는 ‘과일들’ 이전에도 몇 차례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한 적이 있었다고 하죠. 그리고 이듬해, 두 사람은 S&O 디자인이라는 산업디자인 스튜디오를 함께 설립하여 지금까지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2009-05-06 | 2009 내셔널 디자인 어워드

매년 찾아오는 연례 디자인 시상 행사 소식 중에는 미국 쿠퍼 휴잇 스미소니언 디자인 뮤지엄(2014년부터 이름이 이렇게 바뀌었습니다)의 ‘내셔널 디자인 어워드’가 있었습니다. 특히 2009년에는 시상 부문이 신설되었는데요. 바로 인터랙션 디자인입니다. 그에 발맞추듯 평생공로상도 빌 모그리지에게 돌아갔습니다. 참고로 빌 모그리지는 이듬해부터 2012년까지 3년간, 이곳 디자인 뮤지엄의 관장을 맡았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