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8-25 | 베이루트 전시 센터 아이덴티티 디자인

Editor’s Comment

지금은 문을 닫은 베이루트 전시 센터는 레바논을 비롯해 중동 지역의 현대 미술을 소개하는 비영리 기관이었습니다. 센터의 아이덴티티는 두 개의 언어로 이뤄져 있었으니, 아랍어와 영어입니다.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맡은 메리 슈에이터는 두 가지 언어 각각의 타이포그래피 규칙을 모두 다듬어, 어느 한 언어의 문자가 다른 한 쪽에 억지로 순응하지 않도록 하였다고 설명합니다. 또 이 아이덴티티의 간판 버전은 센터의 건축 디자인과도 연결되는 세심함을 보여주었죠. 

레바논 베이루트 전시 센터(Beirut Exhibition Center)는 베이루트를 비롯하여 중동 지역의 현대 미술을 소개하는 비영리 기관이다. 성격에 걸맞게, 센터의 시각 아이덴티티는 두 개의 언어로 이뤄져 있다. 아랍어와 라틴어의 시각적 형식들을 고려한 맞춤형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이 필요했던 까닭이다. 

디자이너 메리 슈에이터(Mary Choueiter)는 이러한 접근 방식을 기초로,  L.E.F.T. 아키텍츠와 함께 센터의 시각 아이덴티티/간판을 디자인했다. 타이포그래피의 측면에서, 베이루트 전시 센터의 시각 아이덴티티는 두 개 언어의 시각적 형식을 서로 비추며,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에 일방적으로 순응하지 않는 태도를 보여준다. 

또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시각 아이덴티티의 간판 버전이 센터의 건축 디자인과도 조응한다는 점이다. 시각 아이덴티티 자체의 디자인은 물론 실제 간판의 소재나 마감이 골이 진 채로 주변 환경을 반영하는 거울 마감의 파사드와 매끄럽게 연결된다. 메리 슈에이터의 표현대로 “건물의 시각적 진술을 구현하는” 디자인이다. 

메리 슈에이터의 베이루트 전시 센터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코어77 디자인 어워즈 그래픽/브랜딩/아이덴티티 부문 차점작으로 선정되었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5-06 | THINK – I = THNK

THNK 암스테르담 크리에이티브 리더십 스쿨은 경영, 디자인, 과학 기술을 아우르는 간학제적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입니다. 간학제라는 말에서 짐작할 수 있듯 협업과 협력이 중요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이름도 THINK에서 I를 뺀 THNK가 되었고요. 이름에서 사라진 i자는 대신 학교의 시각 아이덴티티에서 활약합니다.

2010-04-12 |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 x 마티아치

다른 가구 회사들의 하청 작업을 해온 가구제작소가 자신의 이름을 걸고 제품 컬렉션을 선보이기 시작합니다. 2009년 스튜디오 닛잔 코헨과의 협업으로 태어난 첫 번째 컬렉션에 이어, 2010년 두 번째 마티아치 컬렉션의 디자인은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가 맡았습니다. 그렇게 마티아치 컬렉션은 해를 이어, 올해로 벌써 22번째 의자를 맞이했습니다.

2007-07-13 | 콘스탄틴 그리치치+플라스틱 신소재

새로운 소재가 출발점이 된 의자. ‘미토’는 바스프가 개발한 새로운 공업용 플라스틱 신소재로 태어난 첫 번째 제품입니다. 바스프는 신소재 울트라 시리즈를 개발하며, 4인의 디자이너를 초빙해 워크숍을 열어 소재들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했는데요. 그 중 한 사람이었던 콘스탄틴 그리치치와 함께 사출성형에 특히 적합한 ‘울트라듀어® 하이 스피드’의 제품화를 시험합니다. 여기에 이탈리아의 가구 회사 플란크가 합류하며, 그렇게 모노블록 의자 ‘미토’가 탄생하였습니다.

2007-01-17 | MoMA, KDDI의 휴대폰 4종 소장하기로

일본 KDDI사의 휴대폰들이 뉴욕 현대미술관에 소장되었습니다. ‘AU 디자인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선보여온 여러 휴대폰 중에서, 나오토 후카사와, 마크 뉴슨, 토쿠진 요시오카가 디자인한 총 4종의 휴대폰이 그 주인공입니다. 휴대폰의 폼팩터가 한 면 온전히 평면 스크린으로 덮인 작은 상자가 되기 이전의 휴대폰 디자인을 다시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