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8-25 | 베이루트 전시 센터 아이덴티티 디자인

Editor’s Comment

지금은 문을 닫은 베이루트 전시 센터는 레바논을 비롯해 중동 지역의 현대 미술을 소개하는 비영리 기관이었습니다. 센터의 아이덴티티는 두 개의 언어로 이뤄져 있었으니, 아랍어와 영어입니다.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맡은 메리 슈에이터는 두 가지 언어 각각의 타이포그래피 규칙을 모두 다듬어, 어느 한 언어의 문자가 다른 한 쪽에 억지로 순응하지 않도록 하였다고 설명합니다. 또 이 아이덴티티의 간판 버전은 센터의 건축 디자인과도 연결되는 세심함을 보여주었죠. 

레바논 베이루트 전시 센터(Beirut Exhibition Center)는 베이루트를 비롯하여 중동 지역의 현대 미술을 소개하는 비영리 기관이다. 성격에 걸맞게, 센터의 시각 아이덴티티는 두 개의 언어로 이뤄져 있다. 아랍어와 라틴어의 시각적 형식들을 고려한 맞춤형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이 필요했던 까닭이다. 

디자이너 메리 슈에이터(Mary Choueiter)는 이러한 접근 방식을 기초로,  L.E.F.T. 아키텍츠와 함께 센터의 시각 아이덴티티/간판을 디자인했다. 타이포그래피의 측면에서, 베이루트 전시 센터의 시각 아이덴티티는 두 개 언어의 시각적 형식을 서로 비추며,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에 일방적으로 순응하지 않는 태도를 보여준다. 

또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시각 아이덴티티의 간판 버전이 센터의 건축 디자인과도 조응한다는 점이다. 시각 아이덴티티 자체의 디자인은 물론 실제 간판의 소재나 마감이 골이 진 채로 주변 환경을 반영하는 거울 마감의 파사드와 매끄럽게 연결된다. 메리 슈에이터의 표현대로 “건물의 시각적 진술을 구현하는” 디자인이다. 

메리 슈에이터의 베이루트 전시 센터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코어77 디자인 어워즈 그래픽/브랜딩/아이덴티티 부문 차점작으로 선정되었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주변적 디자인 #3 데뷔 못 하면 죽는 병 걸림

어느날 타임라인에 새로운 아이돌이 나타났다. 내가 팔로우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레드벨벳, 오마이걸, (여자)아이들과 같은 ‘여돌’을 선호한다....

일본 여자 프로 축구 리그(WE LEAGUE)의 유리 트로피

2022년 2월 27일, 일본 최초 여성 프로 축구 리그 ‘위 리그(WE LEAGUE)’ 결승전에서 ‘우먼...

2006-09-28 | 영국 그래픽의 신화, 앨런 플레처 타계

전후 영국 그래픽 디자인 세대를 대표하는 한 사람이었던 앨런 플레처가 2006년 9월 21일 타계했습니다. “디자인이란 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가는 방식”이라고 말했던 그는, 시인 칼 샌드버그가 했던 말이자 1995년 그가 포스터에 담았던 말을 입은 채 세상을 떠났다고 합니다. “내가 어디로 가는지는 모르지만, 내 길을 가고 있다.” 

디자인 노트 : 큐레이터의 역사 연구

“배넘(Reyner Banham)은 내 연구에 두 가지 영향을 미쳤다. 한 가지는 역사 연구의 다양성에 대한...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