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8-09 | 세계 ‘최대’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Editor’s Comment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으로 유명한 아드만 스튜디오에는 ‘최대’의 기록과 ‘최소’의 기록이 있었습니다. 2011년작 <걸프>는 기네스북에 “세계 최대의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세트”에서 제작된 작품으로, 2010년작 <도트>는 “세계 최소의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주인공인 작품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지금은 <걸프>만이 타이틀을 지키고 있습니다. 2018년, 9mm 캐릭터를 제치고 0.3mm 캐릭터가 등장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에는 광활 그 자체인 300여 평의 야외 공간에서 촬영된 <걸프>를 능가하는 작품은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알다시피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은 상당한 수고의 산물이다. 운동을 프레임 단위로 쪼개 촬영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인내가 필요하다. ‘수동’으로 제어가능한 규모의 공간 속에서, 대상들은 매 프레임 별로 조심스레 움직인다. 

아드만(Aardman)의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걸프 Gulp>는  그런 의미에서 상당히 도전적이다. 스튜디오의 통제가능한 환경을 벗어나, 아드만의 스모 사이언스(Sumo Science)는 사우스 웨일즈의 어느 바닷가, 모래 사장으로 나섰다. 카메라 대신 노키아의 휴대폰 N8을 들고 말이다. 1,200만 화소 카메라에 칼 차이스 렌즈를 갖춘 이 휴대폰 세 대가 <걸프>의 유일한 촬영 장비이다. 

작은 카메라 앞에 펼쳐진 공간은 반대로 광활했다. <걸프>에 담긴 공간의 면적은 약 1,022 제곱미터. 평수로 환산하면 약 309평 정도가 된다.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에는 너무도 광활한 공간이었다. 그러나 스모 사이언스는 이 도전적인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작품을 완성하였다. 그리하여 <걸프>는 기네스북 공식 ‘세계 최대의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이 되었다. 

이는 작년의 또 다른 기네스북 기록 작품 <도트 Dot>와는 정반대의 기록이다.  <도트> 역시 노키아 캠페인의 일환으로 제작된 작품으로, N8에 현미경 장비를 부착하여 촬영한 ‘극소’의 애니메이션이다. 

www.sumoscience.com
www.aardman.com
www.nokia.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6-02 | 스뇌헤타: SFMOMA 증축 설계안

지난 세기의 끝자락을 지나 이번 세기에 들어서도, 세계 곳곳에서 미술관의 신축 혹은 증축 소식이 연이어 전해졌습니다. 미술, 문화, 도시, 경제의 요구가 미술관을 교차하는 가운데, 특히 이 시기 후자의 관점에서 특정 미술관의 이름이 성공 신화로서 자주 불리우기도 했지요. 오늘의 뉴스는 2011년 발표된 SFMOMA의 증축 설계안입니다. 기존 마리오 보타가 설계한 적색 벽돌 건물 너머로 증축될 건물의 설계는 노르웨이의 스뇌헤타가 맡았고, 예정대로 2016년 5월 확장 공사를 마치고 재개관하였습니다.

2010-10-14 | 잉크, 드레스 속에 흐르다

아나욱 비프레흐트는 인터페이스로서의 패션을, 패션으로서의 기술을 디자인합니다. 그가 2010년 선보인 ‘쉬도모프’는 그의 행보가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였지요. 잉크, 밸브, 전자회로가 더해진 두터운 펠트 드레스는, 기계가 작동하는 순간 드레스 안으로 잉크가 스며들며 번져나가 무늬를 만들어냅니다. 이후로도 그는 계속해서 “패션테크”의 영역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2011-06-08 |  음반, 당신 뜻대로

2011년 6월 3일, 영국의 록 밴드 카이저 칩스의 새 음반이 그들의 홈페이지를 통해 발매되었습니다. 다만 음반에 어떤 노래가 수록될지 음반 표지는 어떤 모습일지 결정하는 주체는 카이저 칩스가 아니었습니다. 음반을 사러 온 이의 몫이었죠. 표지 디자인에서 선곡 그리고 수익의 배분까지, 정말로 ‘당신 뜻대로’의 앨범이었습니다. 

재활용 플라스틱 벽돌 ‘바이블록’

“플라스틱은 무죄입니다. 문제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제대로 처리할 계획이 없다는 점이죠.” 2017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문을 연 바이퓨전(ByFusion...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