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8-02 | ‘311 스케일’

Editor’s Comment

2011년 3월 11일의 일을 시각 형식으로 전합니다. 일본디자인센터가 연 웹사이트 ‘311 스케일’은 대지진으로 시작해 쓰나미, 원전 사고로 이어지는 재난의 정보를 그래프로 재현하여 보여줍니다. 그래프는 숫자의 중립적인 재현 방식이라 여겨지지만, 그렇다고 해석의 편향에서 자유로운 것은 아닙니다. ‘311 스케일’은 이 점을 인정하되, 정보를 극화하거나 의견을 덧붙이는 일을 피하며 최대한 정확하게 정보를 차분히 전달합니다. 반갑게도 ‘311 스케일’은 아직도 운영 중입니다. 오랜만에 방문해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3월 11일 일본 대지진을 시각 언어로 번역하다. 일본 디자인 센터(Nippon Design Center)가 웹사이트 ‘311 스케일(311 Scale)’을 열었다. 사이트는 그 날의 사건과 현재의 상황을 보여준다. 지진의 강도, 쓰나미의 파고, 대기중 방사능 농도, 전력의 사용량 및 최대 가능 생산량 등의 데이터가 그래프의 형식으로 재현되었다. 그래프들은 상황을 극화하지도, 의견을 제시하려고도 하지 않는다. 가능한 한 정보를 정확히 오롯이 전달하는 것이 311 스케일의 목표이다. “숫자들을 전적으로 중립적인 방식으로 시각화하여 재현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래프는 숫자를 다루기에 효율적인 시각 형식이다. 그러나 그래프 역시 다른 시각 형식들과 마찬가지로, 제 스스로의 형식이 빚어내는 편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311 스케일’은 그 점을 인정한 채로, 불필요한 것들을 덧붙이지 않는 방식으로 최대한 객관적인 관점을 제공하려 노력한다. “바라건대 감정에 휩쓸리지 않고 열린 관점에서 이 정보에 접근하면 좋겠다.” 311 스케일’의 바람이다. 

www.311scale.jp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정부의 지난 행보를 상기하는 달력 ‘Everyday Blues’

영국의 크리에이티브 그룹 케셀크레이머(KesselsKramer)가 달력 프로젝트의 결과물 ‘에브리데이 블루스(Everyday Blues)’를 선보였다. 오리얼 웰스(Oriel Wells)가 기획하고 12명의 시각 분야...

2009-04-06 | 위기를 팝니다

4월이면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라는 대형 행사를 중심으로, 때맞춰 열리는 전시 등의 소식도 따라오기 마련입니다. 2009년 4월에는RCA 제품디자인과 대학원생들이 ‘위기 상점’이라는 이름으로 밀라노에서 전시를 열었습니다. 사소한 생활의 위기에서 위기의 일 선언에 이르기까지, 14인의 젊은 디자이너들의 디자인을 다시 만나봅니다.

디자인붐, 아키토닉 아크데일리에 인수

지난 1월 13일, 디자인 웹진 <디자인붐>이 아키토닉 아크데일리 그룹(Architonic ArchDaily)에 인수되었다. 아키토닉 아크데일리 그룹은...

2011-08-25 | 베이루트 전시 센터 아이덴티티 디자인

지금은 문을 닫은 베이루트 전시 센터는 레바논을 비롯해 중동 지역의 현대 미술을 소개하는 비영리 기관이었습니다. 센터의 아이덴티티는 두 개의 언어로 이뤄져 있었으니, 아랍어와 영어입니다.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맡은 메리 슈에이터는 두 가지 언어 각각의 타이포그래피 규칙을 모두 다듬어, 어느 한 언어의 문자가 다른 한 쪽에 억지로 순응하지 않도록 하였다고 설명합니다. 또 이 아이덴티티의 간판 버전은 센터의 건축 디자인과도 연결되는 세심함을 보여주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