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8-02 | ‘311 스케일’

Editor’s Comment

2011년 3월 11일의 일을 시각 형식으로 전합니다. 일본디자인센터가 연 웹사이트 ‘311 스케일’은 대지진으로 시작해 쓰나미, 원전 사고로 이어지는 재난의 정보를 그래프로 재현하여 보여줍니다. 그래프는 숫자의 중립적인 재현 방식이라 여겨지지만, 그렇다고 해석의 편향에서 자유로운 것은 아닙니다. ‘311 스케일’은 이 점을 인정하되, 정보를 극화하거나 의견을 덧붙이는 일을 피하며 최대한 정확하게 정보를 차분히 전달합니다. 반갑게도 ‘311 스케일’은 아직도 운영 중입니다. 오랜만에 방문해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3월 11일 일본 대지진을 시각 언어로 번역하다. 일본 디자인 센터(Nippon Design Center)가 웹사이트 ‘311 스케일(311 Scale)’을 열었다. 사이트는 그 날의 사건과 현재의 상황을 보여준다. 지진의 강도, 쓰나미의 파고, 대기중 방사능 농도, 전력의 사용량 및 최대 가능 생산량 등의 데이터가 그래프의 형식으로 재현되었다. 그래프들은 상황을 극화하지도, 의견을 제시하려고도 하지 않는다. 가능한 한 정보를 정확히 오롯이 전달하는 것이 311 스케일의 목표이다. “숫자들을 전적으로 중립적인 방식으로 시각화하여 재현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래프는 숫자를 다루기에 효율적인 시각 형식이다. 그러나 그래프 역시 다른 시각 형식들과 마찬가지로, 제 스스로의 형식이 빚어내는 편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311 스케일’은 그 점을 인정한 채로, 불필요한 것들을 덧붙이지 않는 방식으로 최대한 객관적인 관점을 제공하려 노력한다. “바라건대 감정에 휩쓸리지 않고 열린 관점에서 이 정보에 접근하면 좋겠다.” 311 스케일’의 바람이다. 

www.311scale.jp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4-19 | 브랜드로서 케이트 모스

2007년 패스트패션 브랜드 톱숍이 ‘케이트 모스’ 컬렉션을 발표합니다. 이를 위해 ‘브랜드 이름으로서의’ 케이트 모스를 위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필요해졌지요. 디자이너 피터 사빌과 타이포그래퍼 폴 반즈가 찾은 답은 반세기도 전에 태어난 오래된 서체, ‘알-브로’였습니다.

2010-03-15 | 언해피 힙스터

잡지에 소개될 만한 근사한 생활 공간을 삐딱하게 바라봅니다. 이름하여 ‘언해피 힙스터’라는 텀블러 블로그입니다. 벽을 대신한 창의 존재에서 창문 청소의 고단함을 예상한다거나, 이색적인 설계의 주택에서 건축주의 불만족을 상상하는 식이죠. 애석하게도 ‘언해피 힙스터’는 2015년 5월 18일 이후로 업데이트가 멈추었지만, 그래도 아예 사라지지는 않았습니다.

2006-10-13 | 부룰렉 형제의 부유하는 집

공교롭게도 디자인플럭스의 오늘자 뉴스들을 훑어보면 부룰렉 형제의 이름이 두 번 등장합니다. 오늘은 둘 중 2006년의 ‘부유하는 집’을 골랐습니다. 부룰렉 형제가 디자인한 작은 선상 가옥 겸 스튜디오가 과거 르누아르의 그림에 영감을 주었던 세느강변 풍경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2008-05-26 | 베이징 제로에너지 미디어월

베이징 지쿠이 엔터테인먼트 센터의 파사드는 2,292개의 LED로 채워진 초대형 미디어월입니다. 그것은 건물을 위한 영리한 스킨인 동시에, 미디어 작품이 상영되는 거대한 스크린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 스크린은 태양광을 동력으로 삼지요. ‘제로에너지’를 표방한 미디어월, ‘그린픽스’를 다시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