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8-02 | ‘311 스케일’

Editor’s Comment

2011년 3월 11일의 일을 시각 형식으로 전합니다. 일본디자인센터가 연 웹사이트 ‘311 스케일’은 대지진으로 시작해 쓰나미, 원전 사고로 이어지는 재난의 정보를 그래프로 재현하여 보여줍니다. 그래프는 숫자의 중립적인 재현 방식이라 여겨지지만, 그렇다고 해석의 편향에서 자유로운 것은 아닙니다. ‘311 스케일’은 이 점을 인정하되, 정보를 극화하거나 의견을 덧붙이는 일을 피하며 최대한 정확하게 정보를 차분히 전달합니다. 반갑게도 ‘311 스케일’은 아직도 운영 중입니다. 오랜만에 방문해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3월 11일 일본 대지진을 시각 언어로 번역하다. 일본 디자인 센터(Nippon Design Center)가 웹사이트 ‘311 스케일(311 Scale)’을 열었다. 사이트는 그 날의 사건과 현재의 상황을 보여준다. 지진의 강도, 쓰나미의 파고, 대기중 방사능 농도, 전력의 사용량 및 최대 가능 생산량 등의 데이터가 그래프의 형식으로 재현되었다. 그래프들은 상황을 극화하지도, 의견을 제시하려고도 하지 않는다. 가능한 한 정보를 정확히 오롯이 전달하는 것이 311 스케일의 목표이다. “숫자들을 전적으로 중립적인 방식으로 시각화하여 재현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래프는 숫자를 다루기에 효율적인 시각 형식이다. 그러나 그래프 역시 다른 시각 형식들과 마찬가지로, 제 스스로의 형식이 빚어내는 편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311 스케일’은 그 점을 인정한 채로, 불필요한 것들을 덧붙이지 않는 방식으로 최대한 객관적인 관점을 제공하려 노력한다. “바라건대 감정에 휩쓸리지 않고 열린 관점에서 이 정보에 접근하면 좋겠다.” 311 스케일’의 바람이다. 

www.311scale.jp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90년 만에 완성된 ‘단 한 장’의 의자

1934년 헤리트 리트벨트는 단 하나의 나무 조각으로 의자를 만들겠다는 상상력에서 출발하여 선구적인 실험 작업...

2007-03-31 | 리처드 로저스, 프리츠커상 수상

속을 뒤집어 내보인 듯한 모습으로 충격을 안겼던 파리 퐁피두 센터가 완공된 지 30년이 되던 그해, 그 건물의 건축가 리처드 로저스가 프리츠커상을 수상했습니다. 오래된 소식을 다시 전하며, 지난 12월 18일 전해진 그의 부고에도 늦게나마 애도를 표합니다. 참고로 2022년 프리츠커상은 부르키나파소 출신의 건축가 디에베도 프랑시스 케레에게 돌아갔습니다. 

사물이 말을 한다면 #2 꽃과 함께 피어나 꽃과 함께 지게 된 내 첫 번째 생

운명의 트럭 못~쓰는 냉장~고, 티브~이, 컴퓨~터, 에어~컨 삽니다. 공-일-공-팔-오-삼-팔-오-이…. 아침마다 들었던 이 소리에 나의 운명이 결정될지 몰랐다....

주변적 디자인 #2 아이돌 팬덤 비공식 굿즈

바야흐로 K-pop의 시대다. 이번 세기 들어 그렇지 않은 적이 없지만, 최근 몇 년간은 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