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7-25 |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

Editor’s Comment

1941년 독일이 불가침 조약을 깨뜨리며 소비에트를 침공하면서, 장장 4년의 독일소련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그 길고 참혹한 전쟁은 전선에서만 이뤄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선 뒤에서도 치열한 이미지 전쟁이 펼쳐졌지요. 2011년 시카고미술관에서 열린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는 포스터라는 매체를 통해 소비에트의 “대조국전쟁”의 또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1941년, 독일은 소비에트 연방을 제2차 세계대전의 한가운데로 끌어들였다. 이후 장장 4년간의 길고 참혹한 전쟁이 시작되었다. 전시회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Windows on the War: Soviet TASS Posters at Home and Abroad, 1941-1945)’는 소비에트 연방이 치루었던 전쟁의 또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제2차 세계대전 기간 동안, 소비에트의 뉴스 통신사 타스(TASS)는 포스터로 전쟁에 참여했다. 예술가와 작가들이 모스크바에 모여, 거의 매일같이 하나의 포스터를 만들어냈다. 이렇게 제작된 포스터들은 전선의 전쟁을 상점의 진열창 뒤로 옮겼다. 

쿠크리닉시(Kukryniksy), ‘독일군의 탈바꿈(The Metamorphosis of the “Fritzes”)’, 1943년 1월 15일

타스의 포스터들은 연합국, 중립국의 여러 문화기관들로 발송되었는데, 시카고미술관(Art Institute of Chicago)도 그중 한 곳이었다. 전시회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를 통해 시카고미술관은 약 250여 점의 타스 포스터들을 선보인다. 전시와 발맞춰, 전시 텀블러 페이지도 벌써 문을 열었다. 전시될 포스터들의 모습을 미리 만나보시길. 

tass-posters.tumblr.com
https://archive.artic.edu/tass/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팬톤, ‘홍콩 트램 그린’

지난 7월 팬톤과 홍콩 트램웨이즈(HK TRAMWAYS)가 협력하여, 홍콩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트램의 초록색...

2007-03-02 | 좋은 공공공간 디자인을 위하여

지난 2010년 10월 22일자 아카이브 뉴스를 통해, 영국의 건축·건축환경자문위원회(CABE)가 폐지라는 우울한 운명을 맞이하게 되었다는 소식을 전한 바 있습니다. 오늘의 아카이브 뉴스는 그보다 앞서 2007년 CABE가 내놓은 공공공간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북과 도구 이야기입니다.(...)

2010-06-16 | 2010 DMY 어워즈 수상자

DMY 베를린 국제디자인페스티벌의 시상 프로그램인 ‘DMY 어워즈’의 2010년 수상작을 돌아봅니다. 투명 테이프를 거미줄 삼아 지은 ‘건축물’을 선보인 포 유즈/누멘과 증강현실의 가능성을 보여준 전시를 선보인 로잔공과대학과 로잔예술디자인대학의 공동 연구소 EPFL+ECAL랩, 그리고 자신을 비추는 테이블 조명 시리즈를 선보인 다프나 이삭스와 라우렌스 만더르스가 그 주인공이었습니다.

2007-04-12 | 독일, 복제품 전시관 오픈

표절, 도용, 복제라는 오랜 문제에 대해 아예 그런 제품을 시상하고 전시하는 방식으로 불명예를 안기는 단체가 있습니다. 2007년 오늘자 뉴스는 독일의 ‘표절 방지를 위한 행동’이 연 표절 제품 전시관 소식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