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7-15 | 도자 종이컵

Editor’s Comment

어떤 물건은 소재가 너무 중요해 그것이 이름이 되기도 합니다. 종이컵도 그런 것들 중 하나죠. 종이컵은 또 일회용 문화를 대표하는 물건이기도 합니다. 스코틀랜드의 도예 디자이너 레베카 윌슨은 이 종이컵에 웨지우드 재스퍼웨어와 델프트 자기의 외양을 입혔습니다. 다만 하나는 오로지 수제 종이로 된 시트로, 다른 하나는 포슬린과 펄프 혼합 용액으로 만든 시트로요. 윌슨은 두 가지 방식으로 ‘최상급’ 종이컵이라는 역설을 보여줍니다. 

플라스틱 의자, 종이컵처럼 소재로 대표되는 물건들이 있다. 소재가 이름의 일부가 될 만큼의 물건이라면, 이를 ‘다른’ 소재로 바꿔치기 하는 시도가 뒤따르기 마련이다. 마르텐 바스의 ‘나무 플라스틱 의자(Plastic Chair in Wood)’나 여기 레베카 윌슨(Rebecca Wilson)의 ‘최상급 지기’처럼 말이다. 

종이컵은 소위 버리기 문화(throwaway culture)의 대표적인 상징이다. 레베카 윌슨은 종이컵의 소재를 바꾸고 또 전통 도자 스타일을 더하는 역설로, 낭비로서의 소비에 대해 질문한다. ‘고급 지기’는 종이와 자기의 두 가지 소재에, 웨지우드(Wedgewood)의 ‘재스퍼웨어(Jasperware)’와 네덜란드 ‘델프트 블루(Delft Blue)’의 두 가지 양식을 취하였다. 하얀 돋을새김 장식에서 푸른색 데칼까지, 모두 섬세히 손수 재현되었다. 

레베카 윌슨의 ‘최상의 지기’는 런던 플로우 갤러리(Flow Gallery)에서 열린 ‘블루(Blue)’ 전시회에서 선보이고 있다. 

www.rebeccawilsonceramics.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4-29 | 평범한 일상에 근거하라

변화와 혁신을 말하는 목소리야말로 유일하게 변하지 않는 무엇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한 변화와 혁신은 평범하고 지루하기까지한 일상의 행동에서 비롯된다고 웬디 마치는 말합니다. 2008년 미국산업디자인협회의 컨퍼런스에서 그가 이야기했던 “평범한 미래”를 다시 만나봅니다.

허먼 밀러+놀=밀러놀

찰스 앤 레이 임스, 미스 반 데 로에 등 유명 디자이너들의 가구를 제조, 판매하고...

오리와 농부의 공생 관계: 노르딕 하우스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의 노르딕 하우스(The Nordic House)에서 전시 ‘실험: 오리와 농부(Experiment–Eider&Farmer)’가 7월 31일까지 개최된다. 이번...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칼에는?: 2021 영국 다이슨 어워드

응급 처치용 의료기기 ‘리액트(REACT)’를 디자인한 조셉 벤틀리(Joseph Bentley)가 ‘2021 영국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의 내셔널...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