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7-06 | 영수증 다시 보기

Editor’s Comment

2011년 〈아이콘〉 매거진 97호에서 ‘다시 생각해 본’ 대상은 영수증입니다. 보통은 들여다 볼 일 없는 이 작은 종이 조각을, 런던의 디자인 컨설턴시 버그는 정보 매체로 보았습니다. 버그가 디자인한 가상의 식당 영수증에는 응당 담겨야 하는 정보 외에도, 꼭 필요하지 않아도 읽어볼 만한 거리들이 담겨 있습니다. 가령 당신이 먹은 음식이 하루 중 언제 가장 잘 나가는지, 영양성분은 어떤지, 또 식당 주변의 가볼 만한 전시 정보라던지요. 

그러고 보니, 버그의 영수증은 이듬 해 나온 그들의 대표작인 ‘리틀 프린터’를 연상시킵니다. 정말로 영수증용 감열지 위에 문자 메시지부터 할 일 목록, 뉴스, 십자말 풀이, 만화 등등을 내 마음대로 구성하여 출력할 수 있었던 작고 귀여운 커넥티드 프린터였지요. 참고로 버그는 2014년 문을 닫았고, ‘리틀 프린터’는 졸지에 디스커넥티드 기기가 되고 말았지만, 애용자들의 노력을 바탕으로 2019년 노드 프로젝트를 통해 부활하였습니다. 

생활 속 익숙한 디자인을 다시 생각해 보다. <아이콘 ICON>매거진의 ‘재고(Rethink)’ 는 매번 다른 디자이너의 ‘다른’ 디자인 제안을 소개하는 자리다. 이 코너를 통해 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 빌드(Build)의 말보로 담뱃갑, 비블리오테크(Bibliothèque)의 영국 여권 등 여러 가상의 디자인들이 등장하였다. <아이콘> 97호의 ‘재고’ 대상은 영수증이다. 디자인 컨설팅 회사 버그(Berg)가 영수증 다시 보기에 나섰다. 

영수증의 필요성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실제로 영수증을 들여다 보는 경우란 특별한 ‘문제’가 생겼을 때 정도이다. 버그는 일 없이도 재미있게 살펴볼 만한 영수증을 생각하였다. 버그는 ‘재고’ 코너를 통해 가상의 식당 영수증을 선보였다.

영수증의 상단에는 영수증 철을 위한 여백과 영수증의 핵심정보가 적혀 있다. 사용 일자, 사용 카드, 사용 금액 등의 기본 정보들이다. 덕분에 영수증을 정리한 뒤 영수증의 핵심 정보들을 빠르게 훑어 볼 수 있다. 그 아래로는 ‘부가적인’ 정보들이 이어진다. 반쯤은 재미있고 반쯤은 유용한 정보들로, 주문한 메뉴가 언제 가장 많이 팔리는지 또 주문한 음식의 칼로리와 하루 권장섭취량 대비 비율과 같은 내용들이다. “여전히 이 근처에 계실 건가요?” 라는 항목에서 알려주는 식당 근처의 전시회 정보도 흥미롭다.

영수증의 하단의 체크박스를 이용하면, 향후 영수증의 정보 구성을 맞춤화할 수 있다. 이벤트와 뉴스 정보는 물론 심지어 구글 캘린더 일정까지도 영수증을 통해 받아볼 수 있다. “영수증에서 종이 앱(paper app)으로.” 버그는  종이 영수증이라는 기존의 형태를 그대로 수용하면서, 동시에 유용한 정보 매체로서의 영수증을 제안하였다.

www.berglondon.com
www.iconeye.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팬톤, 사상 최초의 ‘스킨톤 가이드’ 공개

팬톤은 새해를 맞이하여 최근 개발 중인 컬러 ‘팬톤 스킨톤 밸리데이티드(Pantone SkinTone Validated)’를 공개했다. 팬톤은...

2006-11-16 | 코로플롯 디자이너 연봉 조사 결과

구직 활동에 있어 급여는 중요한 척도지만, 개인이 접근하기에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코로플롯이 2001년부터 매년 공개해온 디자이너 연봉 조사 결과는 현업인에게도 지망생에게도 유용한 정보였습니다. 이제 디자인 업계의 급여 정보는 각종 잡보드에서도 확인할 수 있고, 코로플롯도 더이상 연 단위 보고서를 내놓지 않지만, 코로플롯에서 급여는 여전히 주요 메뉴 중 하나입니다. 오늘의 옛 뉴스는 지금으로부터 15년 전의 디자인 업계의 연봉 설문 결과입니다. 

2011-08-02 | 『폰트북』, 아이패드 속으로

폰트숍 인터내셔널의 “커다란 노란 책”이 아이패드 속으로 들어왔습니다. 마치 폰트 자체가 디지털화되었듯, 『폰트북』도 디지털 앱이 되었죠. 덕분에 110여 서체제작소의 62만여 폰트 정보를 3kg에 달하는 육중한 책을 뒤적이는 대신, 가볍게 또 간편하게 검색하고 비교해 볼 수 있었습니다. 앱 출시 이후 애석하게도 『폰트북』은 출간이 중단되었는데요. 어째서인지 지금은 『폰트북』 앱도 찾아볼 수가 없군요. 

2011-08-30 | MIT 미디어 랩 아이덴티티

2010년대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변화’라는 테마가 더해진 시기였습니다. 여기 MIT 미디어 랩의 시각 아이덴티티의 경우도 그렇습니다. 그린 에일과 강이룬은 시스템으로서의 아이덴티티라는 개념으로, 일정한 요소가 무한히 변주되는 디자인을 선보였습니다. 그렇기에 매번 달라지면서도 하나의 기반을 공유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탄생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