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5-31 | 스킨

Editor’s Comment

“동물은 네모반듯하지 않으며, 그 가죽도 마찬가지다.” 디자이너 페퍼 헤이코프는 가죽 생산 과정에서 버려지는 들쭉날쭉하고 흠집 난 가죽 조각들을 이어붙여 중고 가구에 입혔습니다. 한때 살아 있던 동물의 피부가 주인 잃은 가구의 피부가 된 셈이지요. 새로운 피부가 씌워지며 만들어진 울퉁불퉁한 외곽선과 거친 이음새가 무언가 기묘한 생명체의 인상을 줍니다. 5월의 마지막 날인 오늘의 뉴스는 페퍼 헤이코프의 ‘스킨’입니다. 

어떤 제품이든 생산 과정에서 폐기물들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가죽을 보면 25~30% 정도가 가구 생산 과정에서 자연스레 버려진다. 네덜란드의 디자이너 페퍼 헤이코프(Pepe Heykoop)는 가죽 폐기물을 신작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가구 컬렉션 ‘스킨(Skin)’에서 새 것이라고는 찾아보기 힘들다. 가구의 표면을 감싼 가죽 조각들은 모두 버려졌던 것이며, 가죽 피부 아래 있는 가구 역시 모두 중고품이다. 다른 폐기물 재활용 디자인과 유사하게, ‘스킨’ 역시 패치워크 방식을 택하였다. 심지어 조각들의 접합 부분을 뒷면에 숨기지도 않은 채, 무작위적인 패턴으로 가구를 뒤덮었다. 이러한 패턴은 세포 구조와 생장을 연상시킨다. 페퍼 헤이코프의 신작 ‘스킨’은 2011 베를린 DMY 국제 가구 페스티벌에서 전시되었다.

www.pepeheykoop.nl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칼에는?: 2021 영국 다이슨 어워드

응급 처치용 의료기기 ‘리액트(REACT)’를 디자인한 조셉 벤틀리(Joseph Bentley)가 ‘2021 영국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의 내셔널...

2009-06-29 | 하비에르 마리스칼, 삶을 그리다

“전위적인 디자인을 시도했는데, IOC에 가장 높은 수익을 안긴 올림픽 마스코트가 되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스코트 ‘코비’의 이야기입니다. 귀엽겠다고 애쓰지 않는데 친근하게 마음을 끌고, 너무 단순한가 싶으면서도 미묘합니다. 정면과 측면이 공존하는 얼굴처럼요. 2009년 오늘의 소식은 코비의 디자이너 하비에르 마리스칼의 회고전입니다.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열린 전시로, 그래픽과 일러스트레이션에서 가구, 인테리어에 이르는 마리스칼의 세계를 조망했습니다. 2013년에는 한국에서도 그의 전시회가 열렸지요.

2007-04-12 | 독일, 복제품 전시관 오픈

표절, 도용, 복제라는 오랜 문제에 대해 아예 그런 제품을 시상하고 전시하는 방식으로 불명예를 안기는 단체가 있습니다. 2007년 오늘자 뉴스는 독일의 ‘표절 방지를 위한 행동’이 연 표절 제품 전시관 소식입니다.

중산층의 잇템 #2 토스터 : 취향의 재구성

319,000원. 집에서 빵을 구워 먹는 가전치고는 비싼 금액이었다. 2015년 국내 출시된 발뮤다 토스터는 ‘죽은...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