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5-27 | 앰네스티 x 마르턴 바스

Editor’s Comment

2010년도 노벨평화상 시상식장에 막상 수상자 류 사오보는 수감되어 참석할 수 없었습니다. 시상식장에 주인 없이 남아 있어야 했던 의자를 상징 삼아, 앰네스티는 ‘빈 의자’라는 이름의 캠페인을 펼쳤습니다. 디자이너 마르턴 바스[1]는 비어 있으되 하늘 높이 솟은 사다리와도 같은 의자로 현실과 희망을 동시에 보여주었습니다. 

2010년도 노벨평화상 시상식장. 그러나 수상자 류 샤오보(Liu Xiaobo)의 자리는 비어 있었다. ‘08 헌장(Chapter 08)’ 선언을 주도했다는 이유로, 2009년 중국 법원은 국가권력 전복선동죄로 류 샤오보에게 11년의 징역형을 선고하여 수감했다. 그리하여 평화상 증서는 주인 없는 빈 의자에 놓여져야 했고, 이 부재는 류 샤오보가 처한 현실을 소리 없이 웅변했다. 

photos: Frank Tielemans

국제 인권단체 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가 류 샤오보를 위해 ‘빈 의자(The Empty Chair)’ 캠페인을 전개한다. 이를 위해 디자이너 마르턴 바스(Maarten Baas)가 합류, 하늘에 닿을 듯 키 큰 의자를 만들어냈다. 류 샤오보는 물론 그처럼 자유를 위해 투쟁한 수많은 사람들 그리고 지난 50년 동안 그들의 친구로서 표현의 자유를 수호해 온 앰네스티를 위한 작품이기도 하다. 마르턴 바스의 ‘빈 의자’는 5월 28일, 암스테르담에서 공개된다. 

www.maartenbaas.com

www.amnesty.org

ⓒ designflux.co.kr


[1] 표기 정정: 마르텐 바스 -> 마르턴 바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목재 건조실에서 선보인 전시

코로나19로 대부분의 대규모 오프라인 디자인 박람회들이 연기되거나 취소되었지만, 또 다른 한편에서는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키는...

2009-09-03 | 인타입스, 인테리어의 유형학

1997년 코넬 대학의 잰 제닝스 교수는 인테리어 디자인의 유형 분류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시대, 양식, 문화권에 걸쳐 반복되어 등장하는 인테리어 디자인의 패턴들을 연구하고 분류하여 그것에 일정한 이름을 부여하는 작업이었지요. 가령 라운지 의자들이 서로 마주한 익숙한 배치(때로 커피 테이블이나 러그가 사이에 놓여 있기도 한)에는 ‘대면(Face to Face)’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2013년에는 두 명의 학부생이 만들어낸 ‘언룸(Unroom)’이라는 신조어가 인타입스에 추가되기도 했지요.(...)

2009-04-02 | 헬라 용에리위스 전시회 ‘자연 디자인 선생’

개구리가 테이블이 되고 꽃병만이 아니라 꽃까지도 디자인했던 헬라 용에리위스의 2009년 4월 크레오 갤러리 전시 소식입니다. 올해에는 '직조된 우주'라는 이름의 전시가 베를린 그로피우스 바우에서 개막을 앞두고 있으니, 그의 작업에서 중요한 한 축을 차지하는 직조의 힘과 가능성을 시험합니다. 참고로 2021년의 전시에서도 2009년의 '개구리 테이블'이 한 자리를 차지합니다.

2007-05-30 | 하이메 아욘의 ‘쇼타임!’

2007년 하이메 아욘의 ‘쇼타임!’ 그 두 번째 막이 올랐습니다. BD에서 선보인 가구 컬렉션에 새로운 아이템이 더해졌는데요. 공존이 가능할까 싶은 소재와 스타일을 뒤섞는 이른바 대조적 믹스를 통해, 여러 모로 즐거운 결과물을 보여주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