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5-20 | 실패에 대한 두려움

Editor’s Comment

2011년 스웨덴의 베리스 커뮤니케이션 스쿨이 졸업전시회를 선보이며 내건 표제는 다름아닌 ‘실패’였습니다. “실패 좀 하면 어때. 누구나 다 실패를 겪어. 핵심은 이거지. 실패가 무섭지 않다면 무얼 해보고 싶어?” 그리고 각계 분야에서 이미 수많은 실패를 겪었고 또 두려움을 이겨냈을 12인의 인사들의 입을 통해 그러한 메시지를 전했죠.

스웨덴 베리스 커뮤니케이션 스쿨(Berghs School of Communication)의 졸업전시회가 다음 주에 열린다. 151명 졸업생들의 작품 34점이26일부터 29일까지 이 자리를 통해 전시된다. 베리스는 올해 전시 전면에 ‘실패’라는 주제를 내걸었다. “루이스 E. 분(Louis E. Boone)이 언젠가 말했듯 인생의 가장 슬픈 요약은 다음 세 가지 표현들을 포함한다. ~할 수도 있었는데, ~였을 지도 모르는데, ~했어야 했는데(could have, might have, should have).” 실패가 두려워 차마 시도하지 못했던 것들을 후회하기보다, 위험을 감수하지 않고서는 다다를 수 없는 곳에 기꺼이 도전하라. 이와 같은 독려가 전시 홈페이지의 첫머리를 장식하고 있다. 그 사이사이에 각 분야 ‘선배’들의 이야기들도 숨어 있다. 파울로 코엘료, 밀튼 글레이저, 스테판 사그마이스터, 레이 이나모토, 사라 문 등 각계 인사들이 웹캠 앞에서 실패에 대한 두려움에 관해 이야기한다. 아래 2011년 베리스 졸업전시회 홈페이지에서 151명의 용감한 젊은 “모험가”들과, 12인의 인사들의 전하는 실패에 관한 이야기들을 만나보시길. 

berghs.exhibition11.se

via Creative Review blo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8-06 | 빌 재너, “예술가의 손”

강남 하림타워를 파고 흐르는 곡면의 벽을 설계한 곳은 벡 그룹이지만, 그것을 구현한 곳은 재너입니다. 2009년 <와이어드>는 금속 엔지니어링과 제작의 스페셜리스트라 할 재너의 대표 빌 재너를 소개했습니다. 각종 건축물에서 미술 작품에 이르기까지, “예술가의 손”이 되어 그들의 비전을 실현하는 재너의 작업을 만나봅니다. 

2011-04-14 | 이야기 꽃병

구슬 공예를 업으로 삼은 여성들의 이야기가 꽃병이 되었습니다. 말 그대로 꽃병은 여인들이 구슬로 적어내린 이야기를 입고 있습니다. 오늘의 뉴스는 남아공의 여성 구슬공예인 집단 시야자마 프로젝트와 스웨덴의 디자인 스튜디오 프론트가 함께 진행한 2011년의 ‘이야기 꽃병’ 프로젝트입니다. 

2011-07-22 | 까르띠에 타임 아트

까르띠에의 대표적인 시계들이 취리히의 한 뮤지엄에 모였습니다. ‘까르띠에 타임 아트’는 1929년의 ‘토르튀’에서 최근의 ‘산토스 100 스켈레톤’에 이르기까지, 총 100여 점의 까르띠에 시계가 관람객을 맞이했습니다. 전시의 아트 디렉팅은 2009년 도쿄국립박물관에서 있었던 ‘이야기… 까르띠에 작품에 관한 기억들’로 이미 까르띠에와 인연을 맺었던 토쿠진 요시오카가 맡았습니다.

2010-05-03 | 30일의 물빛

30일 동안 매일의 베니스 물빛을 카메라에 담고, 이를 패턴으로 만들어 다시 실크 스카프 위에 옮겼습니다. 매일 조금씩 다른 물의 빛깔과 수면에 비친 풍경의 일렁임을 고스란히 담아낸, ‘30일의 물빛’ 스카프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