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5-16 | 바버오스거비 연구서 출간

Editor’s Comment

런던 왕립예술대학교에서 만난 동갑의 두 학생은 1996년 함께 디자인 스튜디오를 설립했습니다. 바로 에드워드 바버와 제이 오스거비의 바버오스거비입니다. 이후 바버오스거비는 영국 산업디자인의 주요한 이름 가운데 하나가 되었죠. 2011년에는 그들의 작업을 개관하는 첫 번째 연구서가 출간되었습니다. 리졸리에서 나온 『에드워드 바버와 제이 오스거비의 디자인 작업』이 11년 전 오늘의 소식입니다.

영국 출신의 대표적인 산업 디자이너를 꼽자면, 이들의 이름을 빼놓기 어려울 것이다. 에드워드 바버(Edward Barber)와 제이 오스거비(Jay Osgerby). 1996년 바버오스거비를 설립한 이래, 두 사람은 성당 좌석에서 리바이스의 옷걸이, 팬톤 컬러칩을 응용한 의자 디자인까지, 가구와 제품, 건축, 인테리어 등 다방면에서 활약해 왔다. 

지난 4월 19일, 이들의 15년 작업을 개관하는 첫 번째 연구서가 출간되었다. 『에드워드 바버와 제이 오스거비의 디자인 작업The Design Work of Edward Barber & Jay Osgerby』의 저자로서, 바버와 오스거비는 자신들의 프로젝트들을 소재, 프로세스, 영감, 작업 방법론과 같은 주제에 따라 엮었다. 또한 디자인 뮤지엄의 디렉터 데얀 수직(Deyan Sudjic),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의 조 라이언(Zoe Ryan)이 필자로 참여하였다. 

『에드워드 바버와 제이 오스거비의 디자인 작업』은 리졸리 뉴욕(Rizzoli New York)을 통해 출간되었으며, 오는 2011 ICFF를 맞아 뉴욕 비트라 쇼룸에서 출간 기념 행사가 열린다. 

www.barberosgerby.com
www.rizzoliusa.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4-08 | 다음 10년, 20인의 디자이너

정확히 10년 전 오늘, 디자인 비평가 앨리스 로스손과 MoMA의 디자인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가 다음 10년의 디자인을 조형할 20인의 디자이너를 꼽았습니다. 정말로 10년이 지난 지금 그 명단을 되돌아봅니다. 참고로 앨리스 로스손과 파올라 안토넬리 두 사람은 ‘디자인 이머전시’라는 이름으로 더 나은 미래를 지어나갈 디자인을 인스타그램에서 함께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2010-07-14 | 스마트폰 데이터 소비 동향

지금으로부터 10여 년 전, 그러니까 스마트폰이 전체 휴대폰 시장의 1/4 정도를 차지했던 시절,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데이터 소비 동향은 어떠했을까요. 시장조사기관 닐슨이 미국 내 6만여 명을 대상으로 월별 데이터 소비 내용을 수집하여 분석했습니다. 데이터 소비량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세 배 이상 훌쩍 뛰었습니다. 90MB에서 298MB로 말이지요. 세월이 느껴지는 단위이기는 해도, 헤비 유저가 데이터 트래픽의 상당량을 차지하는 현상은 그때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군요.

2007-08-23 | 북유럽의 새 바람, 무토

2006년 무토는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기치로, 북유럽 디자이너들에 의해 일신하는 북유럽 디자인을 선보이겠다는 포부와 함께 등장했습니다. 이제 무토라는 이름은 여기 한국의 소비자에게도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세계적인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2017년, 놀이 3억 달러를 들여 사들일 만큼요. 그런데 올해 놀이 허먼 밀러에 합병되었으니, 이제 무토도 ‘밀러놀’ 산하의 브랜드가 된 셈이군요.

2010-05-03 | 30일의 물빛

30일 동안 매일의 베니스 물빛을 카메라에 담고, 이를 패턴으로 만들어 다시 실크 스카프 위에 옮겼습니다. 매일 조금씩 다른 물의 빛깔과 수면에 비친 풍경의 일렁임을 고스란히 담아낸, ‘30일의 물빛’ 스카프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