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25 | 접힌 잎

Editor’s Comment

스웨덴의 디자인 스튜디오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가 화웨이의 휴대폰을 디자인하며 생각한 이미지는 살짝 접힌 잎사귀였습니다. 오래된 전화기, 초창기 휴대폰의 형태를 가져온 것이죠. 스마트폰이 우세종으로 자리잡던 즈음, 이처럼 반작용 혹은 반동이라 할 계열의 휴대폰 디자인이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의도적인 시대착오라고 할까요.

휴대폰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지만,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했고 휴대폰은 많은 이들에게 없어서는 안될 무엇이 되었다. 그리고 최근 몇 년 사이 휴대폰 시장의 중심은 스마트폰이다. 어느 새 전화로서의 기능이 ‘멍청하다(dumb)’고 불릴 정도이다. 기본에 충실하겠다는 휴대폰들이 이례적으로 여겨지는 까닭이기도 하다.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Claesson Koivisto Rune)의 휴대폰 디자인, ‘접힌 잎(Folded Leaf)’도 그 중 하나일 것이다. 2009년 화웨이(Huawei)는 새로운 휴대폰의 디자이너로, 스웨덴의 디자인 트리오를 선택했다. 

화웨이가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에 제시한 디자인 개요란, 전화기를 전화기의 핵심으로 되돌린다는 것이었다. 전화를 걸고 받고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는 것이 기능의 전부다. 이것은 전화로 이것도 할 수 있고 저것도 할 수 있다는 기능 과잉에 대한 반작용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능을 축소한다는 것은 곧 ‘제품 디자인’에 주력한다는 뜻이기도 할 것이다. “화웨이가 애초 우리 스튜디오에 끌린 이유는 우리가 건축, 가구 디자인의 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리라는 인상을 받았다. 우리의 다분야적인 접근법은 전문 휴대폰 디자이너와는 다른 방식으로 프로젝트에 접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름이 암시하듯 ‘접힌 잎’의 가장 큰 특징은 각도이다. 상단의 디스플레이와 하단의 키패드 부분의 경계를 기점으로, 몸체가 살짝 구부러졌다. 여기에서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는 지극히 익숙한 두 가지 전화 디자인의 곡률을 참조했다. 1930년대의 고전적 수화기와1990년대 후반의 덮개 달린(clam shell) 휴대폰 혹은 플립 휴대폰이 그것이다. 휴대폰의 ‘접힌’ 몸체는 귀에서 볼까지 연결되는 얼굴선의 각도를 고려한 것으로, 손 안에서도 안정감 있게 붙는다. 곡률 덕분에 휴대폰을 탁자 위에 두면 디스플레이가 약간 들린 상태로 사용자 쪽을 향하게 된다. 반대로 휴대폰을 엎어두는 경우, 전면이 바닥에 직접 닿지 않아 화면에 날 수 있는 자잘한 흠집을 예방한다.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의 ‘접힌 잎’은 전통적인 제품 디자인의 영역으로 복귀한다. 스크린을 위한 케이싱이 아닌 그야말로 몸체의 부활이다. ‘접힌 잎’의 소개에 ‘단순화’, ‘디자인주도적’과 같은 수사가 반복해서 등장하는 것도 당연한 일이다. 제품 디자인의 강조는 기본 기능으로의 축소와 발맞춰 이뤄진다. 에시르(Æsir)가 이브 베하를 찾았듯, 화웨이가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를 찾은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접힌 잎’은 지난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에서 공개되었다. 수퍼스튜디오 피우(Superstudio Píu)에서 열린 전시에서 화웨이는 휴대폰과 함께 서적 <접힌 잎 /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도 함께 선보였다. 

www.claessonkoivistorune.se
www.huawei.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10-20 | 2012 런던 올림픽 픽토그램

1948년 처음으로 올림픽에 픽토그램을 적용했던 런던에서 다시 열리는 2012년 올림픽의 픽토그램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논란을 불러 일으킨 뉴 레이브 스타일의 과감한 올림픽 로고와 한 가족을 이루어야 하는 픽토그램 디자인을 선보이며, 디자인에 참여했던 팀원은 이런 소망을 밝혔습니다. “사람들이 로고에는 부정적이었지만, 부디 픽토그램에는 호의적이었으면 좋겠다. 특히 디자인계에서 말이다.”

2008-08-11 | 올시티의 영화 포스터 디자인

올시티의 활동 무대는 영화입니다. 2000년부터 이 런던의 크리에이티브 에이전시는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파트너로서 인상적인 홍보물 작업을 선보여왔습니다. 2008년 오늘 디자인플럭스에서는 영화 포스터를 중심으로 그들의 작업을 살펴보았는데요. 13년이 지난 지금, 올시티의 포트폴리오에는 영화 외에도 넷플릭스, HBO 등 스트리밍 플랫폼 상영작을 위한 작업이 눈에 띕니다. 또 전통적인 인쇄 홍보물에서 모션, 온라인 등 홍보물 자체의 매체 변화도 흥미롭고요. 영화, 드라마, TV 쇼를 둘러싼 환경의 변화도 새삼 실감하게 됩니다.

2009-04-13 | 열 가지 그래픽 디자인 패러독스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저술가인 에이드리언 쇼네시가 일상적인 ‘그래픽 디자인의 역설’ 열 가지를 이야기합니다. 가령 이런 식입니다. ‘전문가인 내가 제일 잘 안다’ 같은 말을 하는 디자이너야말로 전문가답지 못한 디자이너이고, 문외한인 클라이언트에게 디자인을 가르치고 싶다면, 먼저 나부터 클라이언트에 관해 배워야 한다는 것이죠. 10번까지 이어지는 역설의 목록 끝에는 하나의 보너스 역설이 더해져 있습니다. “클라이언트가 ‘완전한 창작의 자유를 주겠다’고 한다면, 절대 그런 뜻이 아니다.”

2010-10-22 | 긴축, 긴축, 긴축

쾅고(quango)는 정부가 상급 인사를 임명하고 재정지원도 하지만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반관반민 기관들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다만 여기에는 다소 경멸적인 어감이 깔려 있지요. 가령 국내 일간지의 칼럼에서 이 단어는 이렇게 등장합니다. “우리나라 같은 공공기관을 쾅고라고 조롱기 섞어 부르는 영국에선 같은 날 192개의 쾅고를 없앴다고 발표했다. 쾅고는 유사자치 비정부기구라는 뜻이다.” (...)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