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25 | 접힌 잎

Editor’s Comment

스웨덴의 디자인 스튜디오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가 화웨이의 휴대폰을 디자인하며 생각한 이미지는 살짝 접힌 잎사귀였습니다. 오래된 전화기, 초창기 휴대폰의 형태를 가져온 것이죠. 스마트폰이 우세종으로 자리잡던 즈음, 이처럼 반작용 혹은 반동이라 할 계열의 휴대폰 디자인이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의도적인 시대착오라고 할까요.

휴대폰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지만,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했고 휴대폰은 많은 이들에게 없어서는 안될 무엇이 되었다. 그리고 최근 몇 년 사이 휴대폰 시장의 중심은 스마트폰이다. 어느 새 전화로서의 기능이 ‘멍청하다(dumb)’고 불릴 정도이다. 기본에 충실하겠다는 휴대폰들이 이례적으로 여겨지는 까닭이기도 하다.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Claesson Koivisto Rune)의 휴대폰 디자인, ‘접힌 잎(Folded Leaf)’도 그 중 하나일 것이다. 2009년 화웨이(Huawei)는 새로운 휴대폰의 디자이너로, 스웨덴의 디자인 트리오를 선택했다. 

화웨이가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에 제시한 디자인 개요란, 전화기를 전화기의 핵심으로 되돌린다는 것이었다. 전화를 걸고 받고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는 것이 기능의 전부다. 이것은 전화로 이것도 할 수 있고 저것도 할 수 있다는 기능 과잉에 대한 반작용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능을 축소한다는 것은 곧 ‘제품 디자인’에 주력한다는 뜻이기도 할 것이다. “화웨이가 애초 우리 스튜디오에 끌린 이유는 우리가 건축, 가구 디자인의 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리라는 인상을 받았다. 우리의 다분야적인 접근법은 전문 휴대폰 디자이너와는 다른 방식으로 프로젝트에 접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름이 암시하듯 ‘접힌 잎’의 가장 큰 특징은 각도이다. 상단의 디스플레이와 하단의 키패드 부분의 경계를 기점으로, 몸체가 살짝 구부러졌다. 여기에서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는 지극히 익숙한 두 가지 전화 디자인의 곡률을 참조했다. 1930년대의 고전적 수화기와1990년대 후반의 덮개 달린(clam shell) 휴대폰 혹은 플립 휴대폰이 그것이다. 휴대폰의 ‘접힌’ 몸체는 귀에서 볼까지 연결되는 얼굴선의 각도를 고려한 것으로, 손 안에서도 안정감 있게 붙는다. 곡률 덕분에 휴대폰을 탁자 위에 두면 디스플레이가 약간 들린 상태로 사용자 쪽을 향하게 된다. 반대로 휴대폰을 엎어두는 경우, 전면이 바닥에 직접 닿지 않아 화면에 날 수 있는 자잘한 흠집을 예방한다.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의 ‘접힌 잎’은 전통적인 제품 디자인의 영역으로 복귀한다. 스크린을 위한 케이싱이 아닌 그야말로 몸체의 부활이다. ‘접힌 잎’의 소개에 ‘단순화’, ‘디자인주도적’과 같은 수사가 반복해서 등장하는 것도 당연한 일이다. 제품 디자인의 강조는 기본 기능으로의 축소와 발맞춰 이뤄진다. 에시르(Æsir)가 이브 베하를 찾았듯, 화웨이가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를 찾은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접힌 잎’은 지난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에서 공개되었다. 수퍼스튜디오 피우(Superstudio Píu)에서 열린 전시에서 화웨이는 휴대폰과 함께 서적 <접힌 잎 /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도 함께 선보였다. 

www.claessonkoivistorune.se
www.huawei.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4-08 | 다음 10년, 20인의 디자이너

정확히 10년 전 오늘, 디자인 비평가 앨리스 로스손과 MoMA의 디자인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가 다음 10년의 디자인을 조형할 20인의 디자이너를 꼽았습니다. 정말로 10년이 지난 지금 그 명단을 되돌아봅니다. 참고로 앨리스 로스손과 파올라 안토넬리 두 사람은 ‘디자인 이머전시’라는 이름으로 더 나은 미래를 지어나갈 디자인을 인스타그램에서 함께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2010-07-22 | 지금 멕시코만은

멕시코만 최악의 원유 유출 사건이 일어나고 3개월 후, 과연 수면 아래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었을까요. 2010년 7월, 천연자원보호협회가 심각한 바닷 속 상황을 담아 인터랙티브 인포그래픽을 공개했습니다. 디자인을 맡은 제이슨 비숍은 “수면에서 해저까지 잠수하듯 스크롤하여 내려가는 구성으로, 정보에 몰입할 수 있도록 했다”고 이야기합니다. 아쉽게도 2010년의 이 인포그래픽은 더 이상 볼 수 없지만, 대신 그로부터 10년 뒤의 현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09-01-12 | 프로파간다 스타일로

『공산당 선언』의 마지막 구절이자 소비에트 공화국의 표어였던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를 21세기 미국의 백화점이 노골적으로 차용합니다. “만국의 소비자여 단결하라!” 그것도 소비에트의 시각적 선전 양식을 빌려서요. 프로파간다 스타일로 유명세를 얻은 셰퍼드 페어리가 디자인한 삭스 피프스 애비뉴의 뻔뻔한 광고를 다시 돌아봅니다.

2008-07-11 | “빌바오 효과란 허튼 소리다.”

2008년 서펀타인 갤러리 파빌리온의 건축가는 프랭크 게리였습니다. 의외로 이 임시 건축물이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완성된 프랭크 게리의 건물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파빌리온 공개를 맞아 열린 기자회견에서 다시 한 번 ‘빌바오 효과’에 언급되었죠. “빌바오 효과란 허튼 소립니다.” 그렇게 이야기한 주인공은 다름 아닌 프랭크 게리였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