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25 | 접힌 잎

Editor’s Comment

스웨덴의 디자인 스튜디오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가 화웨이의 휴대폰을 디자인하며 생각한 이미지는 살짝 접힌 잎사귀였습니다. 오래된 전화기, 초창기 휴대폰의 형태를 가져온 것이죠. 스마트폰이 우세종으로 자리잡던 즈음, 이처럼 반작용 혹은 반동이라 할 계열의 휴대폰 디자인이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의도적인 시대착오라고 할까요.

휴대폰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지만,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했고 휴대폰은 많은 이들에게 없어서는 안될 무엇이 되었다. 그리고 최근 몇 년 사이 휴대폰 시장의 중심은 스마트폰이다. 어느 새 전화로서의 기능이 ‘멍청하다(dumb)’고 불릴 정도이다. 기본에 충실하겠다는 휴대폰들이 이례적으로 여겨지는 까닭이기도 하다.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Claesson Koivisto Rune)의 휴대폰 디자인, ‘접힌 잎(Folded Leaf)’도 그 중 하나일 것이다. 2009년 화웨이(Huawei)는 새로운 휴대폰의 디자이너로, 스웨덴의 디자인 트리오를 선택했다. 

화웨이가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에 제시한 디자인 개요란, 전화기를 전화기의 핵심으로 되돌린다는 것이었다. 전화를 걸고 받고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는 것이 기능의 전부다. 이것은 전화로 이것도 할 수 있고 저것도 할 수 있다는 기능 과잉에 대한 반작용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능을 축소한다는 것은 곧 ‘제품 디자인’에 주력한다는 뜻이기도 할 것이다. “화웨이가 애초 우리 스튜디오에 끌린 이유는 우리가 건축, 가구 디자인의 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리라는 인상을 받았다. 우리의 다분야적인 접근법은 전문 휴대폰 디자이너와는 다른 방식으로 프로젝트에 접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름이 암시하듯 ‘접힌 잎’의 가장 큰 특징은 각도이다. 상단의 디스플레이와 하단의 키패드 부분의 경계를 기점으로, 몸체가 살짝 구부러졌다. 여기에서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는 지극히 익숙한 두 가지 전화 디자인의 곡률을 참조했다. 1930년대의 고전적 수화기와1990년대 후반의 덮개 달린(clam shell) 휴대폰 혹은 플립 휴대폰이 그것이다. 휴대폰의 ‘접힌’ 몸체는 귀에서 볼까지 연결되는 얼굴선의 각도를 고려한 것으로, 손 안에서도 안정감 있게 붙는다. 곡률 덕분에 휴대폰을 탁자 위에 두면 디스플레이가 약간 들린 상태로 사용자 쪽을 향하게 된다. 반대로 휴대폰을 엎어두는 경우, 전면이 바닥에 직접 닿지 않아 화면에 날 수 있는 자잘한 흠집을 예방한다.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의 ‘접힌 잎’은 전통적인 제품 디자인의 영역으로 복귀한다. 스크린을 위한 케이싱이 아닌 그야말로 몸체의 부활이다. ‘접힌 잎’의 소개에 ‘단순화’, ‘디자인주도적’과 같은 수사가 반복해서 등장하는 것도 당연한 일이다. 제품 디자인의 강조는 기본 기능으로의 축소와 발맞춰 이뤄진다. 에시르(Æsir)가 이브 베하를 찾았듯, 화웨이가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를 찾은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접힌 잎’은 지난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에서 공개되었다. 수퍼스튜디오 피우(Superstudio Píu)에서 열린 전시에서 화웨이는 휴대폰과 함께 서적 <접힌 잎 /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도 함께 선보였다. 

www.claessonkoivistorune.se
www.huawei.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11-04 | 야생 순록 관찰소

노르웨이 도브레 국립 공원에 야트막한 단층 건물 하나가 세워졌습니다. 고원을 내려다보며 지역의 야생 순록을 살펴보는 관찰소입니다. 건물은 단순한 직선의 상자 실루엣을 지녔지만, 벽만은 그렇지 않습니다. 물결치듯 일렁이는 나무 벽은 옛 선박 건조 기술과 최신의 기술을 동시에 활용하여 구현한 것이라고요. 스뇌헤타의 작지만 인상적인 건축을 만나봅니다.

2010-07-08 | 2010 서펀타인 갤러리 파빌리온

2010년은 런던의 서펀타인 갤러리에 의미 있는 해였습니다. 개관 40주년에 매년 여름 선보인 파빌리온 프로젝트 10주년을 맞이한 해였지요. 여러 모로 기념할 만 했던 그 해, 서펀타인 갤러리가 선택한 파빌리온 건축의 주인공은 장 누벨이었습니다. 켄싱턴 가든의 녹음과 대비되는 강렬한 적색의 캔틸레버 구조물이 기하학적 형상을 이루며 존재감을 강변합니다. (...)

2008-09-30 | 시카고 국제 포스터 비엔날레 공모전 수상작

“포스터는 어디에서나 그래픽 디자이너들의 사랑을 받아왔지만, 포스터에 미국은 그리 마음 편한 곳이 아니었다. 툴루즈-로트렉에서 뮐러-브로크먼, 마티스, 트록슬러에 이르는 유럽의 포스터 전통은 그래픽 디자이너라는 직종을 정의하는 대표적인 작품들을 선사해왔다. 반면 미국에서 포스터는 당당하게 혹은 도처에서 거리의 존재감을 누려본 적이 없다.” (...)

2008-06-20 | 오바마, 디자인, 브랜드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디자인’의 관점에서도 유독 화제가 되었습니다. 이미 민주당의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부터 그러한 조짐이 드러났죠. 디자이너 셰퍼드 페어리의 포스터가 오바마 캠프의 시각적 상징이 되었고, 그러면서《뉴욕타임스》에는 ‘오바마는 맥, 힐러리는 PC인가?’라는 기사가, 《패스트 컴퍼니》에는 ‘오바마라는 이름의 브랜드’라는 분석 기사까지 실렸습니다. 어떤 ‘현상’이 된 선거에 관한 이야기를 14년 전 오늘의 뉴스에서 다시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