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21 | 바이오쿠튀르

Editor’s Comment

배양액 속 박테리아가 섬유를 자아내고 그것들이 엉겨 막을 이룹니다. 그리고 이 미세 섬유질의 막이 모여 천이 되죠. 모두가 실험실에서 단 몇일 만에 이뤄지는 과정입니다. 수잔 리의 ‘바이오쿠튀르’는 막대한 인력과 자원과 환경 부담으로부터 자유로운 의류의 한 가지 미래를 앞당겨 보여준 프로젝트였습니다. 현재 그는 바이오패브리케이트(Biofabricate)의 대표로, 바이오원료 기술과 패션은 물론 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디자인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 미술대학의 선임 연구원 수잔 리(Suzanne Lee)는 ‘바이오쿠튀르(BioCouture)’라는 이름의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그녀의 목표는 천을 ‘배양’하는 데 있다. 미생물을 활용한 바이오 텍스타일을 패션의 질료로 삼으려는 것이다. 

‘용액 용기에서 출현하는 옷.’ 바이오쿠튀르라는 개념은 수잔 리의 책 <미래의 패션을 짓다: 내일의 옷Fashioning the Future: Tomorrow’s Wardrobe>에서 시작되었다. 특정 박테리아는 발효과정에서 미세섬유를 만들어낸다. 설탕을 섞은 녹차 용액에 박테리아 셀룰로스가 섞인 배양지를 넣고 여기에 이스트와 기타 미생물들을 첨가한다. 그러면 박테리아가 설탕을 먹이 삼아 활동하며, 가느다란 순수 셀룰로스 실을 잣게 된다. 실들이 서로 달라 붙어 용액 위에 막을 이루는데, 약 2~3주의 시간이 지나면 두께가 약 1.5cm 정도가 된다. 바로 이 막이 바이오쿠튀르의 텍스타일이다. 막을 곧바로 입체 틀에 붙여 모양을 잡거나 혹은 건조시켜 평평하게 만들어, 의상의 재료로 사용하게 된다.  

결과물은 일종의 가죽, 그러나 동물성이 아닌 식물성의 가죽이라는 인상을 준다. 얇고 투명한 가죽 또는 껍질의 느낌이 든다. 안전하면서도 가죽을 둘러싼 윤리적 문제, 더 나아가 의류 산업을 둘러싼 환경 문제로부터도 자유롭다. 버릴 때도 안심할 수 있다는 것 역시 바이오쿠튀르의 장점이다. 수잔 리의 바이오쿠튀르는 아직 실험적 프로토타입 단계에 있다. 상업화를 위해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www.biocouture.co.uk
https://www.biofabricate.co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2-11 | AP 통신 vs 셰퍼드 페어리

2008년 미국 대선의 대표적인 이미지라 할 셰퍼드 페어리의 버락 오바마 초상이 이듬해 송사에 휘말렸습니다. 문제는 초상이 AP 통신 소속 사진 기자 매니 가르시아의 사진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이었습니다. 소송은 2011년 합의로 마무리 되었는데요. NPR의 보도를 빌리면 합의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2007-10-25 | 메탈 셔터 하우스

뉴욕 웨스트 첼시의 아트갤러리 지구에 자리한 이 11층짜리 주거용 건물은 차분하고 반듯하지만, 동시에 동적인 면모를 지녔습니다. 건물의 전면에 달린 천공을 낸 금속의 셔터가 닫힘과 열림을 통해 건물에 새로운 인상을 부여합니다. 개별 가구에는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빛을 조절하는 실용적인 요소이면서, 건축적으로는 변화하는 외벽이라는 개념의 구현이기도 했죠.

줌, 가상 아바타 기능 출시

지난 3월, 줌 비디오 커뮤니케이션 (Zoom Video Communications)(이하 '줌')에서 참가자의 실제 모습을 대신해 보여주는...

2010-12-07 | 생일 축하합니다, 고다르!

장-뤽 고다르 감독의 80번째 생일을 맞아, 스튜디오 카르발류 베르나우가 선보인 폰트의 이름은 ‘장-뤽’입니다. 고다르 영화 두 편의 타이틀 시퀀스에 등장하는 레터링을 참조하여 태어난 대문자 그로테스크 서체인데요. ‘장-뤽’ 서체와 함께 카르발류와 베르나우가 말하는 고다르 영화 속 레터링이 지닌 특징, 그 연원과 영향에 관한 생각 그리고 관련 자료들도 흥미롭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