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19 | BMW 미니 신테시

Editor’s Comment

밀라노 디자인 위크를 맞아, BMW 미니도 밀라노를 찾았습니다. 다만 도로를 달리는 익숙한 완성차로서의 형태는 아니었습니다. 푸오리 살로네의 일환으로 열린 〈인테르니〉지의 야외 전시회를 위해, BMW 미니 디자인 팀은 클래식 미니에서 미니 쿠페 콘셉트에 이르기까지, 미니 시리즈들을 ‘종합(sintesi)’하여 서로의 가족 유사성을 드러내는 설치물을 선보였습니다. 

밀라노 디자인 위크를 맞아, 이탈리아의 건축/인테리어 잡지 <인테르니 Interni>가 올해에도 대규모 야외 전시회를 열었다. 푸오리 살로네(Fuori Salone)의 일환으로, ‘돌연변이 건축 & 디자인(Mutant Architecture & Design)’이 밀라노 주립대학을 무대로 열렸다.

BMW의 ‘미니 신테시(MINI Sintesi)’도 이 곳에서 만나볼 수 있는 작품들 가운데 하나다. 안데르스 바르밍(Anders Warming)이 이끄는 미니 디자인 팀은, 입체 조형물을 통해 미니 가족의 진화를 보여준다. 클래식 미니에서 미니 해치, 미니 클럽맨, 미니 컨트리맨, 미니 쿠페 콘셉트까지, 각 모델의 옆모습을 담은 윤곽선들이 여러 개의 축을 따라 길게 확장되어 하나의 입체 조형물을 이루었다. 각기 다르면서도 동시에 미니 가족의 일원으로서 같은 모체와 같은 유전자를 공유하는 미니 브랜드의 모습을 담고 있다.

‘미니 신테시’는 4월 23일까지 밀라노 주립대학 내 명예의 정원(Cortile d’Onore)에서 전시된다. 

www.bmw.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자원봉사 건축가 네트워크, 폴란드에 우크라이나 난민 쉘터 설치

'자원봉사 건축가 네트워크(Voluntary Architects’ Network)'(이하 'VAN')가 우크라이나 난민을 위한 긴급 대피소를 우크라이나와 인접국인 폴란드에...

2011-08-02 | 『폰트북』, 아이패드 속으로

폰트숍 인터내셔널의 “커다란 노란 책”이 아이패드 속으로 들어왔습니다. 마치 폰트 자체가 디지털화되었듯, 『폰트북』도 디지털 앱이 되었죠. 덕분에 110여 서체제작소의 62만여 폰트 정보를 3kg에 달하는 육중한 책을 뒤적이는 대신, 가볍게 또 간편하게 검색하고 비교해 볼 수 있었습니다. 앱 출시 이후 애석하게도 『폰트북』은 출간이 중단되었는데요. 어째서인지 지금은 『폰트북』 앱도 찾아볼 수가 없군요. 

2011-06-02 | 스뇌헤타: SFMOMA 증축 설계안

지난 세기의 끝자락을 지나 이번 세기에 들어서도, 세계 곳곳에서 미술관의 신축 혹은 증축 소식이 연이어 전해졌습니다. 미술, 문화, 도시, 경제의 요구가 미술관을 교차하는 가운데, 특히 이 시기 후자의 관점에서 특정 미술관의 이름이 성공 신화로서 자주 불리우기도 했지요. 오늘의 뉴스는 2011년 발표된 SFMOMA의 증축 설계안입니다. 기존 마리오 보타가 설계한 적색 벽돌 건물 너머로 증축될 건물의 설계는 노르웨이의 스뇌헤타가 맡았고, 예정대로 2016년 5월 확장 공사를 마치고 재개관하였습니다.

2011-03-29 | 보이콧에 대한 구겐하임의 응답

지난주에는 2011년 있었던 구겐하임 아부다비 건설 현장의 이민 노동자 착취 현실에 항의하는 보이콧 운동 소식을 전해드렸는데요. 오늘은 그에 이어지는 소식입니다. 미술인들의 항의 서한에 구겐하임 재단 측이 답변을 내놓았는데요. 항의의 기반이 된 2010년도 9월 인권감시단 보고서에는 구겐하임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이미 개선된 사항들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면서, 이렇게 항변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지만, 그렇다고 당신의 성명이 묘사한 대로 우리가 양심 없는 수동적 존재는 아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