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3-04 | 부어 만들었습니다

Editor’s Comment

콘크리트 액을 부어 탁자의 상판을 만든다면, 아마도 거푸집의 존재가 예상되겠지만, 스튜디오 글리테로의 ‘푸어드 바’의 경우에는 이야기가 다릅니다. 콘크리트 용액을 세 번에 걸쳐 층층이 부어 태어난 테이블의 상판은 그 모양도 질감도 자신이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를 고스란히 보여줍니다.

스튜디오 글리테로(Studio Glithero)가 또 한 번 콘크리트 양동이를 들었다. 신작 ‘푸어드 바(Poured Bar)’는 2009년 ‘롱 드롭’ 과 유사하게 폴리콘크리트 용액으로 탄생한 테이블이다. 6m 길이의 길쭉한 바 카운터. 테이블의 상판은 급속경화 콘크리트 액을 부어 굳혀 만든 것이다. 

스튜디오 글리테로는 매끈한 표면의 작업대 위에 서로 다른 색상의 콘크리트 액을 붓기를 반복하여, 세 가지 서로 다른 색상의 콘크리트 층겹을 만들었다. 콘크리트 용액이 완전히 굳기 전 지지 구조대를 얹어 부착하고, 상판이 적당히 굳었을 즈음 이를 조심스레 뒤집어 테이블의 나머지 구조 부분에 올리면, 마침내 ‘푸어드 바’가 완성된다. 테이블의 상판에 남은 흐르고 뭉치고 흔적들은 붓는 과정의 움직임을 슬며시 드러낸다. 제작의 과정을 고스란히 포착한 디자인. 그 안에 깃든 우연적 요소들이 곧 테이블의 매력이 된다. 

스튜디오 글리테로의 ‘푸어드 바’는 런던 코린시아 호텔(Corinthia Hotel)의 의뢰로 제작된 것으로, 영국아카데미시상식(BAFTA), 런던 패션 위크 등의 행사를 위한 임시 바로 사용될 예정이라고. 

www.studioglithero.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머릿속을 꺼내 보는 방법, MRI를 활용한 3D 프린팅 뇌

뉴저지 맥네어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엘레나 말롯이 MRI 스캔을 활용하여 뇌의 구조 전체를 3D 프린팅...

2007-05-25 | 디자인 마이애미/, 프론트를 선택하다

2007년 디자인 마이애미/가 선정한 ‘미래의 디자이너’는 바로 스웨덴의 프론트입니다. 2003년 소피아 라게르크비스트, 샤를로트 폰데 란켄, 안나 린드그렌, 카티야 세브스트룀이 설립한 이 디자인 스튜디오는 때로는 동물의 힘을 때로는 컴퓨터의 힘을 빌어 환상과도 같은 디자인을 선보이며 놀라움을 선사했습니다. 돌이켜보아도 2007년 ‘미래의 디자이너’에 다른 선택지가 있었을까 싶을 정도입니다. (...)

런던시 튤립 타워 무산

영국 건축사무소 포스터 앤 파트너스(Foster + Partners)에서 디자인한 초고층 건물 ‘튤립 타워(The tulip)’가 끝내...

텅 빈방, 덩그러니 놓인 QR 코드: 2021 베니스건축비엔날레 독일관

제17회 베니스 건축비엔날레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1년 연기되어, 원래 개막일이었던 2020년 5월 22일로부터 정확히...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