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2-18 | MUDAC 사그마이스터 전시회

Editor’s Comment

2011년 스위스 로잔의 현대디자인미술관에서 스테판 사그마이스터의 전시회가 열렸습니다. 전시의 전제는 ‘홍보물 및 판매물’에 디자인에 한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렇게 기업이나 문화 기관, 자신의 친구 그리고 본인을 위한 작업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스테판 사그마이스터, <지금껏 살면서 배운 것들 Things I Have Learned In My Life So Far> 커버, 2008
© Stefan Sagmeister 

스테판 사그마이스터의 작업들 가운데서도 홍보, 판매 관련 프로젝트들만을 한 자리에 모았다다. 3월 9일 스위스 로잔 현대디자인미술관(MUDAC)에서 전시회 ‘사그마이스터: 홍보물 및 판매물에 관한 또 다른 전시(Sagmeister: Another Exhibit about Promotion and Sales Material)’가 개막한다. 

전시작에는 제품 또는 전시 등의 판매나 홍보와 관련이 있어야 한다는 단서가 붙었다. 전시작들은 크게 네 가지로 분류되는데, 문화 부문, 기업 부문 홍보와 사그마이스터의 친구 그리고 사그마이스터 본인 회사인 사그마이스터 Inc. 홍보 관련 작업 등이다. 디자이너와 예술가의 구분이 흐릿해지는 요즘, ‘판매와 홍보’라는 기준이 그래픽 디자이너의 직역을 새삼 강조하는 듯 하다. 

전시 설치 작업은 재기 넘치는 가구 디자인으로 유명한 빅-게임(Big-Game)이, 전시 카탈로그와 그래픽 디자인은 과거 스테판 사그마이스터와 함께 일했던 마틴 우드틀리(Martin Woodtli)가 맡았다. 전시 참석을 위해 스테판 사그마이스터도 로잔을 방문할 예정. 3월 7일 ECAL에서 강연이 개최된다. 한편 ‘스테판 사그마이스터: 홍보, 판매물에 관한 또 다른 전시’는 올 가을 파리 장식미술관에서의 순회 전시도 예정되어 있다. 

www.mudac.ch
www.sagmeister.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10-20 | 2012 런던 올림픽 픽토그램

1948년 처음으로 올림픽에 픽토그램을 적용했던 런던에서 다시 열리는 2012년 올림픽의 픽토그램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논란을 불러 일으킨 뉴 레이브 스타일의 과감한 올림픽 로고와 한 가족을 이루어야 하는 픽토그램 디자인을 선보이며, 디자인에 참여했던 팀원은 이런 소망을 밝혔습니다. “사람들이 로고에는 부정적이었지만, 부디 픽토그램에는 호의적이었으면 좋겠다. 특히 디자인계에서 말이다.”

쓸모없는 몸? : 엘름그린 & 드라그셋 개인전

베를린 아티스트 듀오 엘름그린&드래그셋(Elmgreen&Dragset)의 개인전 ‘쓸모없는 몸? (Useless Bodies?)’이 밀라노 폰다치오네 프라다(Fondazione Prada)에서 열렸다....

템즈 글라스: 바이오 유리 개발

센트럴 세인트 마틴에서 미래 소재를 연구하는 룰루 해리슨(Lulu Harrison)이 건축 스튜디오 뷰로 드 샹제(Bureau...

2007-08-13 | 알루미늄 아이맥

2007년은 아이맥이 처음으로 알루미늄 몸체를 갖게 된 해입니다. 형태 면에서 G5부터 이어져 온 모니터 형태의 일체형 디자인을 이어가되, 재질 면에서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과 완전히 단절하고 알루미늄으로 넘어왔습니다. 올해 애플 자체 프로세서인 애플 실리콘을 탑재한 새 아이맥이 등장하기 전까지, 은색 알루미늄 바디와 검은색 배젤 그리고 전면 하단 로고가 아이맥 하면 떠오르는 모습이었습니다. 아직은 기존의 인텔 아이맥과 색색의 실리콘 아이맥이 공존하고 있지만, 머지 않아 과거의 것이 될 ‘그’ 아이맥의 시작으로 돌아가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