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2-16 | 『게르트 아른츠, 그래픽 디자이너』

Editor’s Comment

복잡다단한 정보를 어떻게 표준화된 시각 언어로 전달할 것인가. 아이소타입이 탄생한 배경입니다. 아이소타입하면 오토 노이라트를 떠올리게 되지만, 그와 함께 이 시각 언어를 디자인한 사람이 바로 게르트 아른츠입니다. 세계를 보다 쉽게 이해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것은 그의 정치적 신념과도 부합하는 작업이었죠. 2011년 출간된 『게르트 아른츠, 그래픽 디자이너』는 아이소타입을 중심으로 그의 생애와 작업 세계를 다룹니다.

image courtesy Gert Arntz Web Archive 

디자이너 게르트 아른츠(Gerd Arntz, 1900-1988)에 관한 새 연구서가 출간되었다. 『게트 아른츠, 그래픽 디자이너』는 아이소타입을 중심으로 게르트 아른츠의 생애와 작업들을 개관한다. 

1920년대 게르트 아른츠는 세계의 모습을 목판화와 리놀륨 판화로 그려내고 있었다. 급진적 사회주의자로서 그는 당대의 정치·사회 현실에 대한 자신의 시각을 그 누구보다 단순하고 직접적인, 그리하여 국적이나 교육수준에 관계없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판화에 담아냈다. 

한편 비엔나의 사회과학자 오토 노이라트(Otto Neurath)는 당시 시각통계학(visual statistics)의 방법론을 개발하던 중이었다. 사회, 경제, 정치의 복잡다단한 정보들을 단순한 그림으로서 소통할 방식을 모색하던 노이라트는 기본적인 사인과 픽토그램을 디자인할 사람을 필요로 했다. 

게르트 아른츠의 신념과 스타일은 오토 노이라트의 목표와 멋지게 맞아 떨어졌다. 1928년 게르트 아른츠는 노이라트의 초청으로 비엔나로 건너가 아이소타입의 디자인에 착수했다. 4천여 개의 픽토그램과 시각 기호는 이렇게 탄생하였다. 

image courtesy Gert Arntz Web Archive 

기호들은 산업, 인구통계학, 정치, 경제 등의 영역의 핵심 데이터를 상징화한 것이다. 오토 노이라트와 게르트 아른츠의 그림 언어 체계는 프롤레타리아트에게 글이 아닌 그림으로 세계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였다. 단어, 원소로서의 기호들이 지도와 다이어그램과 조합되며, 정보는 언어와 리터러시의 장벽을 넘어설 수 있었다. 오토 노이라트와 게르트 아른츠가 함께 구축한 시스템은, 이것은 오늘날 ‘인포그래픽’이라 불리는 작업의 시초가 되었다. 

『게르트 아른츠, 그래픽 디자이너』는 아이소타입과 함께 게르트 아른츠의 정치적 작업과 여러 희귀 시각 자료를 담고 있다. 에드 아닝크와 막스 브라윈스마의 편저로, 플립 볼, 헤르트 뒴바르, 미케 헤리첸, 나이젤 홈스, 막스 키스만, 파울 메이크세나르, 에릭 슈피커만 역시 컨트리뷰터로 참여하여 게르트 아른츠의 생애와 작업에 관해 이야기한다. 『게르트 아른츠, 그래픽 디자이너』는 010 출판사(010 Publisher)를 통해 출간되었다.  

www.gerdarntz.or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M+, 미술관 이상의 미술관 (more than museum)

2021년 11월 12일, 홍콩에서 아시아 최초의 현대 시각 문화(Contemporary Visual Culture) 뮤지엄 M+가 드디어...

2009-07-07 | 아이디어 콘센트 & 플러그 디자인

2009년 RCA 졸업전시회에 등장한 플러그와 콘센트. 각각 다른 사람의 작업이 뜻밖의 한 쌍을 이루었으니, 최민규의 ‘접이식 플러그’와 조지 모어낵의 ‘울트라 리드’입니다. 최민규는 영국의 3핀 플러그를 접이식으로 한층 날렵하게 변모시켰고, 이를 십분 활용한 플러그형 멀티탭도 디자인하였습니다. 조지 모어낵은 각기 다른 형태의 플러그에 대응하는 콘센트를 하나하나 연결하여 연장하는 멀티형 콘센트를 선보였고요. 최민규의 ‘접이식 플러그’ 소식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

2011-08-30 | MIT 미디어 랩 아이덴티티

2010년대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변화’라는 테마가 더해진 시기였습니다. 여기 MIT 미디어 랩의 시각 아이덴티티의 경우도 그렇습니다. 그린 에일과 강이룬은 시스템으로서의 아이덴티티라는 개념으로, 일정한 요소가 무한히 변주되는 디자인을 선보였습니다. 그렇기에 매번 달라지면서도 하나의 기반을 공유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탄생했죠. 

자동차 없는 베를린 법안 제안

자동차 없는 베를린은 어떤 모습일까? 독일 시민단체 ‘베를린 아우토프라이’(Volksentscheid Berlin Autofrei)는 2020년부터 자동차 없는 안전한 도시 만들기 운동을...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