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2-16 | 『게르트 아른츠, 그래픽 디자이너』

Editor’s Comment

복잡다단한 정보를 어떻게 표준화된 시각 언어로 전달할 것인가. 아이소타입이 탄생한 배경입니다. 아이소타입하면 오토 노이라트를 떠올리게 되지만, 그와 함께 이 시각 언어를 디자인한 사람이 바로 게르트 아른츠입니다. 세계를 보다 쉽게 이해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것은 그의 정치적 신념과도 부합하는 작업이었죠. 2011년 출간된 『게르트 아른츠, 그래픽 디자이너』는 아이소타입을 중심으로 그의 생애와 작업 세계를 다룹니다.

image courtesy Gert Arntz Web Archive 

디자이너 게르트 아른츠(Gerd Arntz, 1900-1988)에 관한 새 연구서가 출간되었다. 『게트 아른츠, 그래픽 디자이너』는 아이소타입을 중심으로 게르트 아른츠의 생애와 작업들을 개관한다. 

1920년대 게르트 아른츠는 세계의 모습을 목판화와 리놀륨 판화로 그려내고 있었다. 급진적 사회주의자로서 그는 당대의 정치·사회 현실에 대한 자신의 시각을 그 누구보다 단순하고 직접적인, 그리하여 국적이나 교육수준에 관계없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판화에 담아냈다. 

한편 비엔나의 사회과학자 오토 노이라트(Otto Neurath)는 당시 시각통계학(visual statistics)의 방법론을 개발하던 중이었다. 사회, 경제, 정치의 복잡다단한 정보들을 단순한 그림으로서 소통할 방식을 모색하던 노이라트는 기본적인 사인과 픽토그램을 디자인할 사람을 필요로 했다. 

게르트 아른츠의 신념과 스타일은 오토 노이라트의 목표와 멋지게 맞아 떨어졌다. 1928년 게르트 아른츠는 노이라트의 초청으로 비엔나로 건너가 아이소타입의 디자인에 착수했다. 4천여 개의 픽토그램과 시각 기호는 이렇게 탄생하였다. 

image courtesy Gert Arntz Web Archive 

기호들은 산업, 인구통계학, 정치, 경제 등의 영역의 핵심 데이터를 상징화한 것이다. 오토 노이라트와 게르트 아른츠의 그림 언어 체계는 프롤레타리아트에게 글이 아닌 그림으로 세계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였다. 단어, 원소로서의 기호들이 지도와 다이어그램과 조합되며, 정보는 언어와 리터러시의 장벽을 넘어설 수 있었다. 오토 노이라트와 게르트 아른츠가 함께 구축한 시스템은, 이것은 오늘날 ‘인포그래픽’이라 불리는 작업의 시초가 되었다. 

『게르트 아른츠, 그래픽 디자이너』는 아이소타입과 함께 게르트 아른츠의 정치적 작업과 여러 희귀 시각 자료를 담고 있다. 에드 아닝크와 막스 브라윈스마의 편저로, 플립 볼, 헤르트 뒴바르, 미케 헤리첸, 나이젤 홈스, 막스 키스만, 파울 메이크세나르, 에릭 슈피커만 역시 컨트리뷰터로 참여하여 게르트 아른츠의 생애와 작업에 관해 이야기한다. 『게르트 아른츠, 그래픽 디자이너』는 010 출판사(010 Publisher)를 통해 출간되었다.  

www.gerdarntz.or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1-07 | OMA, 코펜하겐 기후변화회의의 실패를 말하다

1995년 처음 열린 국제연합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COP가 벌써 26차를 지났습니다. 지난 11월 글래스고에서 개최된 COP26은 그러나 기대 이하에 그쳤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석탄발전의 단계적 폐지라는 목표는 감축으로 완화되었고, 결국 탈석탄 성명에는 미국, 인도, 중국, 호주, 일본 등 석탄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의 서명이 빠졌습니다. 문제는 초국가적인데 해결의 단위는 국가라는 점이 문제일까요? 2009년 COP15의 ‘실패’에 관해 OMA의 레이니어르 더 흐라프는 그렇다고 보았습니다. 

2011-07-14 | 도시 별보기

도시의 밤은 너무 밝고, 그 밝음을 이겨낼 별은 많지 않습니다. 프랑스의 디자이너 오스카 레르미트는 그래서 도시의 밤에 인공의 별자리를 선사하기로 했지요. 직경 1mm도 되지 않는 가는 실과 태양광 LED 전구로 디자인한 전에 없던 별자리. 그렇게 레르미트는 ‘도시 별보기’로 런던의 밤에 새로운 별을 수놓았습니다. 

2011-07-28 | 과일들

디자이너 히사카즈 시미즈는 캐논의 디지털 카메라 ‘익서스’ 시리즈의 수석 디자이너이면서 동시에 사보 스튜디오를 설립해 개인 작업을 병행해왔습니다. 2011년 비비드 갤러리에서 열린 ‘과일들’은 후자의 디자이너로서 연 개인전이었죠. 한편 이 전시의 큐레이팅은 에이조 오카다가 맡았습니다. 디자인 디렉터로서, 또 디자인 블로그 dezain.net의 운영자로서 활동해온 그는 ‘과일들’ 이전에도 몇 차례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한 적이 있었다고 하죠. 그리고 이듬해, 두 사람은 S&O 디자인이라는 산업디자인 스튜디오를 함께 설립하여 지금까지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쓸모없는 몸? : 엘름그린 & 드라그셋 개인전

베를린 아티스트 듀오 엘름그린&드래그셋(Elmgreen&Dragset)의 개인전 ‘쓸모없는 몸? (Useless Bodies?)’이 밀라노 폰다치오네 프라다(Fondazione Prada)에서 열렸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