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07 | 생일 축하합니다, 고다르!

Editor’s Comment

장-뤽 고다르 감독의 80번째 생일을 맞아, 스튜디오 카르발류 베르나우가 선보인 폰트의 이름은 ‘장-뤽’입니다. 고다르 영화 두 편의 타이틀 시퀀스에 등장하는 레터링을 참조하여 태어난 대문자 그로테스크 서체인데요. ‘장-뤽’ 서체와 함께 카르발류와 베르나우가 말하는 고다르 영화 속 레터링이 지닌 특징, 그 연원과 영향에 관한 생각 그리고 관련 자료들도 흥미롭습니다.

“생일 축하합니다!” 지난 12월 3일은 영화감독 장-뤽 고다르(Jean-Luc Godard)의 80번째 생일이었다. 이를 맞아 아틀리에 카르발류 베르나우(Atelier Carvalho Bernau)는 지극히 자신들다운 방식으로 고다르를 위한 생일 선물을 디자인했다. 

서체 ‘장-뤽(Jean-Luc)’은 대문자로만 구성된 그로테스크 서체로, 일반 볼드 액센트 및 구두점과 헤어라인 액센트 및 구두점의 두 가지 버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체의 디자인은 그들이 사랑해 마지 않는 두 영화, <메이드 인 유에스에이 Made in U.S.A.>와 <그녀에 대해 알고 있는 두 세 가지 것들 Deux ou Trois Choses Que Je Sais d’Elle>의 레터링 타이틀 시퀀스를 직접적으로 참조한 것이다. 

수잔나 카르발류와 카이 베르나우는 서체를 소개하며, 이들 영화 속 레터링 스타일이 어디에서 연유한 것인지에 관한 생각을 이야기한다. 그들은 예쁘고 고전적이기 보다 길거리에서 온 것 같은 “버내큘러적이며 로우브라우(low-brow)의 특징들을 지닌” 고다르의 레터링이, 플라크 데쿠페 위니베르셀르(Plaque Découpée Universelle)의 영향권 속에 있는 것이 아닌가 추측한다. 1879년대 미국인 조셉 A. 데이비드가 발명한 이 카드는, 스텐실 기법을 이용한 유니버설 레터링 카드로, 1878년 만국박람회에서 선보이며 프랑스에 널리 보급되었다. 

“우리는 이 레터링 스타일이 프랑스 레터링의 공공 버내큘러 영역에 흡수되었다고, 또 <그녀에 대해 알고 있는 두 세 가지 것들>의 타이틀은 그러한 일상적인 레터링 스타일에서 도출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는 버내큘러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고다르의 집착과도 어느 정도 맞아 떨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장-뤽’ 서체(흰색)과 플라크 데쿠페 위니베르셀르(푸른색)과의 비교

스튜디오 카르발류 베르나우는 자신들의 홈페이지에서 ‘장-뤽’ 서체를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 더불어 페이지 말미에는 아마도 그들에게도 좋은 참고가 되었을 자료들의 링크가 있다. 여기에는 플라크 데쿠페 위니베르셀르 관련 아티클과, 이를 재현한 한 디자인과 재학생의 작품 이야기도 포함되어 있으니, 참조하시길 바란다. 

www.carvalho-bernau.com/jl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수분 매개자를 위한 알고리즘 정원: 수분(受粉) 패스메이커

‘수분(受粉) 패스메이커(Pollinator Pathmaker)’는 꽃가루를 옮기는 벌, 나비 등의 수분 매개자(Pollinator)를 위해 인간이 식물을 심고...

2009-10-20 | 2012 런던 올림픽 픽토그램

1948년 처음으로 올림픽에 픽토그램을 적용했던 런던에서 다시 열리는 2012년 올림픽의 픽토그램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논란을 불러 일으킨 뉴 레이브 스타일의 과감한 올림픽 로고와 한 가족을 이루어야 하는 픽토그램 디자인을 선보이며, 디자인에 참여했던 팀원은 이런 소망을 밝혔습니다. “사람들이 로고에는 부정적이었지만, 부디 픽토그램에는 호의적이었으면 좋겠다. 특히 디자인계에서 말이다.”

2011-10-18 | 새들에게 만찬을

새들을 위한 격식 있는 상차림. 디자이너 프레데릭 로이예의 ‘디시 오브 디자이어’는 본차이나와 레드시더우드 소재의 접시들이 층층이 매달린 새 모이통입니다. 몇 가지 ‘코스’의 차림인가, 즉 몇 개의 접시로 이뤄졌는가에 따라 모두 네 가지 종류로 구성되었죠. “깃털 달린 친구들”을 위한 멋진 소품입니다.

2009-04-02 | 헬라 용에리위스 전시회 ‘자연 디자인 선생’

개구리가 테이블이 되고 꽃병만이 아니라 꽃까지도 디자인했던 헬라 용에리위스의 2009년 4월 크레오 갤러리 전시 소식입니다. 올해에는 '직조된 우주'라는 이름의 전시가 베를린 그로피우스 바우에서 개막을 앞두고 있으니, 그의 작업에서 중요한 한 축을 차지하는 직조의 힘과 가능성을 시험합니다. 참고로 2021년의 전시에서도 2009년의 '개구리 테이블'이 한 자리를 차지합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