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07 | 생일 축하합니다, 고다르!

Editor’s Comment

장-뤽 고다르 감독의 80번째 생일을 맞아, 스튜디오 카르발류 베르나우가 선보인 폰트의 이름은 ‘장-뤽’입니다. 고다르 영화 두 편의 타이틀 시퀀스에 등장하는 레터링을 참조하여 태어난 대문자 그로테스크 서체인데요. ‘장-뤽’ 서체와 함께 카르발류와 베르나우가 말하는 고다르 영화 속 레터링이 지닌 특징, 그 연원과 영향에 관한 생각 그리고 관련 자료들도 흥미롭습니다.

“생일 축하합니다!” 지난 12월 3일은 영화감독 장-뤽 고다르(Jean-Luc Godard)의 80번째 생일이었다. 이를 맞아 아틀리에 카르발류 베르나우(Atelier Carvalho Bernau)는 지극히 자신들다운 방식으로 고다르를 위한 생일 선물을 디자인했다. 

서체 ‘장-뤽(Jean-Luc)’은 대문자로만 구성된 그로테스크 서체로, 일반 볼드 액센트 및 구두점과 헤어라인 액센트 및 구두점의 두 가지 버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체의 디자인은 그들이 사랑해 마지 않는 두 영화, <메이드 인 유에스에이 Made in U.S.A.>와 <그녀에 대해 알고 있는 두 세 가지 것들 Deux ou Trois Choses Que Je Sais d’Elle>의 레터링 타이틀 시퀀스를 직접적으로 참조한 것이다. 

수잔나 카르발류와 카이 베르나우는 서체를 소개하며, 이들 영화 속 레터링 스타일이 어디에서 연유한 것인지에 관한 생각을 이야기한다. 그들은 예쁘고 고전적이기 보다 길거리에서 온 것 같은 “버내큘러적이며 로우브라우(low-brow)의 특징들을 지닌” 고다르의 레터링이, 플라크 데쿠페 위니베르셀르(Plaque Découpée Universelle)의 영향권 속에 있는 것이 아닌가 추측한다. 1879년대 미국인 조셉 A. 데이비드가 발명한 이 카드는, 스텐실 기법을 이용한 유니버설 레터링 카드로, 1878년 만국박람회에서 선보이며 프랑스에 널리 보급되었다. 

“우리는 이 레터링 스타일이 프랑스 레터링의 공공 버내큘러 영역에 흡수되었다고, 또 <그녀에 대해 알고 있는 두 세 가지 것들>의 타이틀은 그러한 일상적인 레터링 스타일에서 도출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는 버내큘러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고다르의 집착과도 어느 정도 맞아 떨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장-뤽’ 서체(흰색)과 플라크 데쿠페 위니베르셀르(푸른색)과의 비교

스튜디오 카르발류 베르나우는 자신들의 홈페이지에서 ‘장-뤽’ 서체를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 더불어 페이지 말미에는 아마도 그들에게도 좋은 참고가 되었을 자료들의 링크가 있다. 여기에는 플라크 데쿠페 위니베르셀르 관련 아티클과, 이를 재현한 한 디자인과 재학생의 작품 이야기도 포함되어 있으니, 참조하시길 바란다. 

www.carvalho-bernau.com/jl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Design of Voice #1 낯선 세계에서 발견하는 공통의 감각 – 『서울의 엄마들』 돌봄, 그 행위와 가치에 대하여

‘누군가를 돌보기 위해 일까지 그만둬야 한다고?’  코로나19로 어수선한 어느 날, 한 기사를 보고 적잖게 놀랐다. 바로 ‘돌봄노동’에 관한...

2008-09-30 | 시카고 국제 포스터 비엔날레 공모전 수상작

“포스터는 어디에서나 그래픽 디자이너들의 사랑을 받아왔지만, 포스터에 미국은 그리 마음 편한 곳이 아니었다. 툴루즈-로트렉에서 뮐러-브로크먼, 마티스, 트록슬러에 이르는 유럽의 포스터 전통은 그래픽 디자이너라는 직종을 정의하는 대표적인 작품들을 선사해왔다. 반면 미국에서 포스터는 당당하게 혹은 도처에서 거리의 존재감을 누려본 적이 없다.” (...)

User Friendly : How the Hidden Rules of Design Are Changing the Way We Live, Work, and Play

<유저 프렌들리>라는 400쪽이 넘는 책부터 시작해 보련다. 한때 무슨무슨 프렌들리 식의 말이 유행했던 터라...

2007-04-09 | 휴대폰의 시대, 시계의 운명은?

2007년이라면 아이폰이 발표되어 시장에 등장한 해입니다. 4월 9일의 이 뉴스는 아직 휴대폰이 그렇게까지 ‘스마트’하지 못했던 때에도, 이미 제 기능을 휴대폰에게 내주었던 시계의 운명에 관한 기사입니다. 자기표현의 수단 혹은 휴대용 전자기기화. 두 가지가 양립 불가능한 관계의 선택지는 아닙니다만, 어쨌든 후자의 흐름이 현실이 되어 스마트시계라는 카테고리가 태어났습니다. 문제는 그것이 시계 시장 외부에서, 그것도 다름 아닌 휴대폰 시장으로부터 왔다는 것입니다. 전통적인 시계는 지금 다시 한 번 시계의 모습을 한 기기와 경쟁하는 중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