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8-11 | 미소니, 케네스 앵거와 만나다

Editor’s Comment

〈스콜피오 라이징〉으로 유명한 실험영화 감독 케네스 앵거와 이탈리아의 패션하우스 미소니가 만났습니다. 러닝타임 2분 30초의 짤막한 캠페인 필름 〈미소니 바이 앵거〉의 크레딧이 올라올 때, 온통 미소니로 끝나는 이름들을 마주하게 됩니다. 2010년 그해, 미소니 일가는 봄/여름 위르겐 텔러에 이어 가을/겨울 케네스 앵거의 카메라 앞에 서며, ‘직접’ 브랜드 홍보의 전면에 섰습니다.

이탈리아 패션하우스와 미국 언더그라운드 실험영화 감독의 만남. 미소니(Missoni)가 2010 가을/겨울 시즌 홍보를 위해 선택한 아티스트는 케네스 앵거(Kenneth Anger)이다. 그는 미소니 일가를 주인공으로 2분 30초 분량의 단편영화를 연출했다. ‘미소니 바이 앵거’라는 타이틀로 시작되는 영화는 역시 도발적이고 몽환적이다. 오타비오, 마르게리타, 로시타, 안젤라 등 미소니 가족의 일원들은 어지러운 몽타주의 질료가 되었다. 

올해 미소니는 미소니 일가를 브랜드 홍보의 전면에 내세우기로 한 것처럼 보인다. 이미 지난 봄/여름 시즌 캠페인에서 그들은 사진작가 위르겐 텔러(Jurgen Teller)의 카메라 앞에 섰고, 이번에는 케네스 앵거의 영화에서 다시 한 번 주인공으로 등장하였다.

www.missoni.com

via artnet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6-12-06 | 톰 딕슨과 라코스테의 만남

푸마와 마르셀 반더르스 그리고 라코스테와 톰 딕슨. 패션 브랜드가 패션 바깥의 디자이너에게 협업을 청했던 2006년의 소식들입니다. 라코스테가 매년 패션계 바깥의 디자이너와 함께 클래식 폴로 셔츠의 재해석을 진행하기로 하고 찾은 첫 번째 인물이 바로 톰 딕슨입니다. 그는 소재와 기술 두 가지에 초점을 맞추었고, 그렇게 ‘에코 폴로’와 ‘테크노 폴로’가 탄생했습니다.

2010-02-09 | 안전한 맥주잔 디자인

범죄라는 심상치 않은 문제를 다루는 디자인이 있습니다. 범죄에 맞서는 디자인(design against crime)이라는 표현으로 대표되는 실천들입니다. 어떤 디자인은 범죄의 예방에, 또 어떤 디자인은 범죄의 여파의 축소에 무게를 두기도 합니다. 2010년 오늘의 소식은 후자에 가까운 사례인데요. 음주와 폭력의 불행한 조합 속에서 위험천만한 흉기가 되곤 하는 맥주잔을 더 안전하게 만들기 위한 시도입니다.

〈디자인 이슈〉(Design Issues), Summer 2021, Volume 37, Issue 3

2021년 여름 <디자인 이슈>는 크게 정치적인 것(the political)에 관한 연구 세 편과 현실 정치(및 경제 politics and economy) 관련 글 세 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뉴욕 경찰의 감시 기계

세계 최대 인권 단체 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의 프로젝트 ‘뉴욕 경찰의 감시 기계(Inside the NYPD’s Surveillance...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