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8-06 | 빌 재너, “예술가의 손”

Editor’s Comment

강남 하림타워를 파고 흐르는 곡면의 벽을 설계한 곳은 벡 그룹이지만, 그것을 구현한 곳은 재너입니다. 2009년 <와이어드>는 금속 엔지니어링과 제작의 스페셜리스트라 할 재너의 대표 빌 재너를 소개했습니다. 각종 건축물에서 미술 작품에 이르기까지, “예술가의 손”이 되어 그들의 비전을 실현하는 재너의 작업을 만나봅니다. 

via wired (photo: Jimmy Fishbein)

<와이어드 Wired>가 소개하는 ‘알파 긱(Alpha Geek)’ 시리즈, 그 최근 주인공은 빌 재너(Bill Zahner)이다. 엔지니어링 & 제작 전문기업 재너(Zahner)의 대표인 그는, 예술 및 건축계에서 ‘금속’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릴 인물이다. 만일 당신이 건물에 너울대는 메탈 스킨을 덮을 생각이라면, 재너는 가장 신뢰할 만한 파트너라 할 수 있다. 

재너 사에는 독특한 이름의 부서가 있으니 이름하여 ‘예술가의 손’이다. “그들은 생각을 내놓고, 우리는 이를 성공적으로 구현할 방법을 찾습니다.” 재너는 프랭크 게리, 헤르초크 & 드 뫼롱, 톰 메인과 같은 건축가는 물론 발터 드 마리아, 솔 르윗 등 미술가의 ‘손’으로 활동해 왔다. <와이어드>는 이번 ‘알파 긱’ 코너에서 빌 재너의 이력과 함께, 재너 사의 대표적인 작업들을 소개한다. 

via wired (photo: Zahner)

“건축계의 야금술사” 재너의 작업이 좀 더 궁금하다면, 이곳 ‘예술가의 손’ 홈페이지를 방문해 볼 일이다. 작업의 규모, 소재의 종류 등에 따라 재너의 포트폴리오를 살펴볼 수 있다.


www.azahner.com

via wired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0-01 | 미래의 책을 향한 세 가지 상상

IDEO가 상상한 디지털 시대의 책은 어떠한 모습일까요. 웹과 결합하거나 혹은 소셜 네트워크와 결합하거나 아니면 게임과 뒤섞이거나. 듀웨인 브레이와 로버트 렌이 구상한 세 가지 미래의 책 콘셉트를 만나봅니다.  

2008-06-20 | 오바마, 디자인, 브랜드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디자인’의 관점에서도 유독 화제가 되었습니다. 이미 민주당의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부터 그러한 조짐이 드러났죠. 디자이너 셰퍼드 페어리의 포스터가 오바마 캠프의 시각적 상징이 되었고, 그러면서《뉴욕타임스》에는 ‘오바마는 맥, 힐러리는 PC인가?’라는 기사가, 《패스트 컴퍼니》에는 ‘오바마라는 이름의 브랜드’라는 분석 기사까지 실렸습니다. 어떤 ‘현상’이 된 선거에 관한 이야기를 14년 전 오늘의 뉴스에서 다시 만나봅니다.

공병으로 만든 시상대: 2020 도쿄올림픽

2021년 8월에 열리는 2020 도쿄올림픽에서는 지속가능성을 컨셉으로 트로피, 메달과 같은 다양한 오브제를 보여주고 있다. 그...

2009-06-29 | 하비에르 마리스칼, 삶을 그리다

“전위적인 디자인을 시도했는데, IOC에 가장 높은 수익을 안긴 올림픽 마스코트가 되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스코트 ‘코비’의 이야기입니다. 귀엽겠다고 애쓰지 않는데 친근하게 마음을 끌고, 너무 단순한가 싶으면서도 미묘합니다. 정면과 측면이 공존하는 얼굴처럼요. 2009년 오늘의 소식은 코비의 디자이너 하비에르 마리스칼의 회고전입니다.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열린 전시로, 그래픽과 일러스트레이션에서 가구, 인테리어에 이르는 마리스칼의 세계를 조망했습니다. 2013년에는 한국에서도 그의 전시회가 열렸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