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7-06 | 알록달록 제스처 인터페이스 장갑

Editor’s Comment

제스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근미래의 일상으로 앞당겨 보여주었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개봉한 것이 2002년의 일입니다.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 터치가 우세종이 되었고, 이어 음성이 말 그대로 ‘어시스턴트’로서 일상화된 지금, 허공의 제스처도 그렇게 될까요? AR 장비가 보편화된다면 그럴지도요. 12년 전 오늘의 뉴스는 저렴한 라이크라 장갑으로 제스처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MIT의 두 연구자의 작업입니다. 

제스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이야기할 때마다 거론되는 영화가 있으니, <마이너리티 리포트>다. 지난 달 TED에 영화 속 바로 그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실제 창안자인 존 언더코플러(John Underkoffler)의 발표 영상이 올라왔다. 그는 이 자리에서 ‘G-스피크’를 시연하며, 데이터를 익숙한 ‘공간’의 체계 안에서 탐색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것이 지금 제스처 기반 인터페이스의 최전선이라면, 여기 어느 대학원생의 인터페이스도 그에 못지 않다. 필요한 장비도 그리 거창하지 않다. 컴퓨터 웹캠에 알록달록한 라이크라 장갑이 전부이다. 

MIT 컴퓨터과학 & 인공지능 연구소의 대학원생 로버트 왕(Robert Wang)과 부교수 요반 포포비치(Jovan Popović)가 공동으로 ‘저렴한’ 제스처 기반 인터페이스를 개발했다. 장갑은 열 가지 서로 다른 색상의, 스무 가지 얼룩들로 나뉘어 있다. 웹캠이 이 색상들의 대비를 인식, 손의 움직임과 제스처를 스크린 위 손의 3D 모형에 반영한다. 말하자면 마우스와 포인터가 손과 손의 3D 모델로 대치한 셈이다. 

로버트 왕과 요반 포포비치의 인터페이스는 특히 비디오 게임 분야에 적합해 보인다. 플레이어는 게임 속에서 아이템을 집거나 무기를 쥐고 휘두르는 등의 행동을 보다 실감나게 컨트롤할 수 있을 것이다. 왕과 포포비치는 이 인터페이스가 공학자와 디자이너들에게도, 보다 쉽고 직관적으로 3D 모델을 다루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6-04 | 토비아스 웡, 사망

2010년 5월 30일 디자이너 토비아스 웡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갑작스런 비보는 충격과 안타까움을 남겼습니다. 전유를 방법론 삼아 이른바 ‘기생개념적’ 작업을 전개한 그를 두고 <뉴욕타임스>는 “뒤샹이 되고 싶은 디자이너”라 불렀습니다. 2002년 그는 제니 홀저에게 다가가 오른팔을 내밀며 “내가 원하는 것으로부터 나를 지켜줘”라는 그 유명한 문장을 적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그리고 그대로를 문신으로 새겨 몸에 남겼고요. 결국에는 그가 원한 것에서 그를 지킬 수 없었다는 사실이 안타까웠던, 토비아스 웡의 부고 소식입니다.

2009-08-31 | 풍경을 러그 위에

발리의 계단식 논, 리세의 튤립 농원, 스트래스모어의 전원… 디자이너 리즈 유웨스가 러그 위에 올린 풍경들입니다. 정확히 조감의 시점으로 내려다 본 지상의 모습이 러그에 재현되었습니다. 그의 이 러그 시리즈는 2009년 100% 퓨처 전시에서 소개되었죠. 

2006-09-13 | 브라질의 이색 공중전화 부스

공중전화 부스 앞으로 차례를 기다리며 사람들이 줄지어 서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누군가에게는 먼 기억의 풍경이고 누군가에게는 한 번도 보지 못한 풍경이겠지요. 2006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브라질의 별난 공중전화 부스들을 소개했습니다. 앵무새, 과일을 닮은 원색의 부스부터 현대적인 파이버글래스 소재의 부스까지, 브라질의 사진 제작 회사 로스트 아트가 모은 이색 전화부스들을 만나봅니다.

2010-04-20 | 아키그램 아카이브 프로젝트

1961년부터 1974년까지, 적지 않은 세월 동안 그들이 낸 잡지는 단 9와 1/2호 뿐입니다. 하지만 이 ‘작은 잡지’가 남긴 반향은 세기를 넘어 섰지요. 영국의 실험적 건축 집단 아키그램의 이야기입니다. 2010년 영국 웨스트민스터 대학의 연구센터 EXP는 아키그램의 잡지부터 여러 프로젝트, 전시, 소속 멤버들에 관한 자료들을 망라한 온라인 아카이브를 열었습니다. 반갑게도 아카이브는 여전히 건재하고, 또 분명 방문할 가치가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