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16 | 2010 DMY 어워즈 수상자

Editor’s Comment

DMY 베를린 국제디자인페스티벌의 시상 프로그램인 ‘DMY 어워즈’의 2010년 수상작을 돌아봅니다. 투명 테이프를 거미줄 삼아 지은 ‘건축물’을 선보인 포 유즈/누멘과 증강현실의 가능성을 보여준 전시를 선보인 로잔공과대학과 로잔예술디자인대학의 공동 연구소 EPFL+ECAL랩, 그리고 자신을 비추는 테이블 조명 시리즈를 선보인 다프나 이삭스와 라우렌스 만더르스가 그 주인공이었습니다.

2010 DMY 베를린 국제디자인페스티벌의 시상 프로그램, ‘DMY 어워즈’의 수상자가 발표되었다. DMY는 매년 빼어난 제품디자인 분야의 작업들을 시상해왔다. 올해는 저지 시모어, 헬라 용에리위스, 위르헨 베이, 베르너 아이슬링어, 파트릭 레이몽이 심사를 맡아, 총 10점의 후보작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지난 금요일, 세 팀의 수상자들이 DMY 현장에서 발표되었다. 주인공은 크로아티아계 오스트리안 디자이너 포 유즈/뉴멘(For Use/Numen)과, 네덜란드의 다프나 이삭스 & 라우렌스 만더르스((Daphna Issacs Laurens Manders), 그리고 스위스의 연구기관  EPFL+ECAL랩(EPFL+ECAL Lab)이다.

포 유즈/누멘은 투명 테이프로 지은 ‘건축물’로 관람객들을 사로잡았다. ‘테이프 인스톨레이션(Tape Installation)’은 기존 건물의 실내에 들어선 테이프 건축물로서, 지난 비엔나 디자인 위크에서 첫 선을 보였다. 장소에 따라 형태가 바뀌는 무정형의 설치물로서, 오는 10월 옥토버 페스트에서도 다시 만나볼 수 있을 것이라고.

로잔공과대학(EPFL)와 로잔예술디자인대학(ECAL)의 공동 연구소, EPFL+ECAL랩은 증강현실에 기반한 작품들로 구성된 ‘더 주세요(Give Me More)’ 전시로 DMY 어워드를 수상했다. 바로 어제 소개된 카미유 셰레의 ‘산의 세계’를 비롯해, ‘캐시백(Cashback)’ 등의 작품들이 이번 전시를 통해 소개되었다. 책, 티셔츠와 같은 일상적인 사물과 결합된 증강현실 디자인을 보여준다.

네덜란드의 디자이너 다프나 이삭스와 라우렌스 만더스는, 램프 시리즈, ‘타펠스튀켄(Tafelstukken)’으로 DMY 어워드를 수상했다. 테이블 장식이라는 뜻의 이 컬렉션은, 전통적인 센터피스에 대한 재해석이기도 하다. 서로 다른 소재와 단순한 형태, 그리고 여기에 스스로를 비추는 빛의 조합이 인상적인 램프라는 것이 심사위원들의 평이다.

www.dmy-berlin.com
https://www.facebook.com/dmyberlin/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고속도로 옆, 작은 집 마을

레흐럴 건축사무소(Lehrer architects)에서 진행중인 ‘작은집 마을(Tiny House Villages)’ 프로젝트 중 ‘휘트세트 웨스트 스몰 홈타운(Whitsett...

2006-09-19 | 앨 고어의 기후위기 관련 연설

2006년 전 미국 부통령 앨 고어는 뉴욕대에서 한 연설에서 ‘2030 챌린지’를 언급했습니다. 2030년까지 모든 신축 건물에서 탄소중립을 이룰 것을 목표로 하자는 기획이었죠. 그때만 해도 목표는 2030년이었습니다. 16년이 지나는 동안 기후는 위기 상황에 가까워졌지만, 민관이 말하는 목표의 시한은 오히려 2050년으로 더 미뤄지고 말았습니다. 

2011-01-19 | 적기 혹은 생산의 소역사

0년의 시간선 위에 각기 자리한 네 대의 탁상형 인쇄 기계를 지나 한 권의 책이 태어납니다. 왕립예술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아트 & 디자인을 전공한 자비에 앙탱이 졸업작품으로 선보인 ‘적기 혹은 생산의 소역사’입니다. 

2010-08-03 | V&A 키네틱 간판

디자인플럭스의 옛 로고를 기억하시는 분이 있을까요. 디자인플럭스라는 이름 아래 “디자인 테크놀로지 아트”라는 태그라인이 자리해 있었는데요. 오늘 뉴스의 주인공 트로이카(Troika)야말로 이 문구에 잘 어울릴 법한 그룹입니다. 2010년 런던 사우스켄싱턴 지하철역 안, V&A 뮤지엄으로 연결되는 통로 입구에 빅토리아 시대의 기계장치를 연상시키는 간판 하나가 설치되었습니다. 앨런 플레처의 V&A 모노그램이 세 부분으로 나뉘어 회전하며 번갈아가며 앞뒤로 V&A 로고를 만들어냅니다. 교통의 장소에서 만나는 트로이카. 2008년 히드로 공항 5터미널에 설치되었던 트로이카의 ‘구름’도 그랬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