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10 | 아파트먼트 50

Editor’s Comment

르 코르뷔지에의 집합주택에 부룰렉 형제의 가구가 안착했습니다. 2010년 위니테 다비타시옹에서 열린 ‘아파트먼트 50’ 전시입니다. 실제 사람이 살고 있는 주거 공간이면서 동시에 현대 집합주택의 시초인 위니테 다비타시옹에 부합할 만한 디자인들이 선별되어, 현실의 생활 공간이자 역사적 공간인 아파트에서 오는 이를 맞이하였습니다.

부룰렉 형제의 디자인 제품들이 현대 집합주택의 시초 안에 들어선다. 르 코르뷔지에가 설계한 마르세이유의 집합주택, 위니테 다비타시옹(Unite d’Habitation) 혹은 시테 라디우스(La Cite Radieuse). 이 곳의 한 아파트에 부룰렉 형제의 디자인이 둥지를 튼다. 

“올 초 재스퍼 모리슨이 위니테 다비타시옹의 아파트 소유주 한 사람을 우리에게 소개하면서, 이 모든 일이 시작되었다.” 전시회 ‘아파트먼트 50(Apartment 50)’에서 부룰렉 형제는 실제 주거 공간 속에 자신들의 작업을 제시한다. 그간의 작업들 가운데, 위니테 다비타시옹에 어울릴 또 거주자의 생활양식에 부합할 만한 제품들이 전시된다. 

가구 ‘스틸우드(Steelwood)’ 컬렉션은 샤를로트 페리앙과 장 프루베의 오리지널 가구와 공명을 이룬다. 벽에 설치된 ‘구름(Clouds)’은 태피스트리에 관심이 많았던 르 코르뷔지에를 기억하기 위함이다. 여기에 ‘집(Zip)’ 카펫과 조명 최신작 ‘람파루미나(Lampalumina)’와 ‘등대(Lighthouse)’도 부룰렉 형제의 ‘임시 리모델링’에 선택되었다. 

전시 ‘아파트먼트 50’은 7월 15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 달 동안 개최된다. 

www.bouroullec.com
www.appt50lc.or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4-25 | 접힌 잎

스웨덴의 디자인 스튜디오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가 화웨이의 휴대폰을 디자인하며 생각한 이미지는 살짝 접힌 잎사귀였습니다. 오래된 전화기, 초창기 휴대폰의 형태를 가져온 것이죠. 스마트폰이 우세종으로 자리잡던 즈음, 이처럼 반작용 혹은 반동이라 할 계열의 휴대폰 디자인이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의도적인 시대착오라고 할까요.

2010-10-05 |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 MAXXI로 RIBA 스털링상 수상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가 설계한 로마의 국립21세기미술관(MAXXI)이 2010년 영국왕립건축가협가가 수여하는 스털링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때만 해도 스털링상은 RIBA 소속 회원이 설계했다면, 건축물의 소재 지역은 영국은 물론 유럽 연합까지 포괄하였는데요. 2015년부터는 정확히 영국 지역 내 건축물에 한정되었죠. 참고로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는 이듬해 런던의 에블린 그레이스 아카데미 설계로 2년 연속 스털링상 수상자 명단에 올랐습니다. 

2009-06-29 | 하비에르 마리스칼, 삶을 그리다

“전위적인 디자인을 시도했는데, IOC에 가장 높은 수익을 안긴 올림픽 마스코트가 되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스코트 ‘코비’의 이야기입니다. 귀엽겠다고 애쓰지 않는데 친근하게 마음을 끌고, 너무 단순한가 싶으면서도 미묘합니다. 정면과 측면이 공존하는 얼굴처럼요. 2009년 오늘의 소식은 코비의 디자이너 하비에르 마리스칼의 회고전입니다.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열린 전시로, 그래픽과 일러스트레이션에서 가구, 인테리어에 이르는 마리스칼의 세계를 조망했습니다. 2013년에는 한국에서도 그의 전시회가 열렸지요.

2009-03-10 | ‘잃어버린 도시로부터’

반듯함과는 거리가 먼, 자가성장이 만들어낸 비정형의 파벨라 풍경을 가구에 옮겼습니다. 가구의 뼈대를 채운 것은 제각각 소재의 서랍과 상자들입니다. 2009년 당시 갓 학교를 졸업한 신진 디자이너였던 크리스티안 비방코는 이제 여러 디자인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입니다. 더불어 멕시코의 라탄 가구 브랜드인 발사의 크리에이티브 디렉션도 맡고 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