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04 | 토비아스 웡, 사망

Editor’s Comment

2010년 5월 30일 디자이너 토비아스 웡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갑작스런 비보는 충격과 안타까움을 남겼습니다. 전유를 방법론 삼아 이른바 ‘기생개념적’ 작업을 전개한 그를 두고 <뉴욕타임스>는 “뒤샹이 되고 싶은 디자이너”라 불렀습니다. 2002년 그는 제니 홀저에게 다가가 오른팔을 내밀며 “내가 원하는 것으로부터 나를 지켜줘”라는 그 유명한 문장을 적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그리고 그대로를 문신으로 새겨 몸에 남겼고요. 결국에는 그가 원한 것에서 그를 지킬 수 없었다는 사실이 안타까웠던, 토비아스 웡의 부고 소식입니다.

‘문신’, 2002, 제니 홀저 씀

지난 일요일[1], 디자이너 토비아스 웡이 세상을 떠났다. 올해 나이 35세. <뉴욕타임스>는 “맨해튼 검시국이 그의 사인을 자살로 판정했다”고 보도했다. 갑작스러운 소식에 그를 떠나 보내는 이들의 슬픔도 깊다. 여러 디자인 매체들이 그의 타계 소식을 전하며 애도를 표했다.  

토비아스 웡은 캐나다 밴쿠버 출신으로, 토론토 대학에 이어 쿠퍼 유니언에서 공부한 후, 뉴욕을 근거지로 삼아 활동해 왔다. 많은 이들이 그의 2001년작 ‘이것은 램프다(This is a Lamp)’를 기억한다. 필립 스탁의 의자를 조명으로 바꿔버린 이 작품을 기점으로, 그는 도발과 역설의 디자인을 계속해서 선보였다. 권총 모양으로 잘라 버린 카림 라시드의 책(<나는 세상을 바꾸고 싶다>), 기존의 아이폰에 노래와 주소록 등을 미리 담아 제 제품으로 삼아 버린 ‘cc폰’, 디자인 제품들로 가득 차 있으나 결코 들어갈 수 없었던 상점, ‘잘못된 가게(The Wrong Store)’…

그의 작업은 디자인에 대한 일반적인 상과는 잘 맞아 떨어지지 않는다. 차라리 우리가 디자인하면 떠올리는 상에 ‘대한’ 디자인을 하였다고 말하는 편이 나을지 모른다. 예술과 디자인의 구분이 그의 활동에 별 무소용이었듯, 디자인 주류와 주변의 경계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 자신의 말처럼 “모형이나 시제품을 만들지 않으며, 문제를 해결하지도 않고, 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물건도 분명 만들지 않는” 사람이 디자인 제도의 굵직한 축인 대형 전시 이벤트[2]의 디렉터가 되기도 했던 것이다.  

<코어77>은 토비아스 웡의 타계 소식을 전하는 기사에, 아릭 첸(Aric Chen)의 글을 인용해 실었다. 그가 동료이자 절친했던 친구였던 ‘토비’에게 보내는 송사이기도 하다. 

“작업을 통해 웡은 이제는 동시대 문화에서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들의 상당 부분이 탄생하는 데 기여했다. 다다 그리고 특히 플럭서스의 영향 아래, 그는 전유를 통해 작가성에 대해 질문을 던졌다. 그는 우리의 욕망과 부조리에 거울을 들이밀었고, 디자인과 예술, 귀중한 것과 시시한 것의 위계를 뒤집었으며, 협업과 큐레이팅을 창조적인 실천으로 재정의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기생개념적(paraconceptual)’[3]이라 부른 틀에서 작업하며, 웡은 우리가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디자인의 모든 것을 재평가하였다. 생산, 심리적 공명, 미학적 기준, 유통의 수단, 출처에 대한 애착, 맥락화, 제시 방식 모두를 말이다. 웡은 예리한 관찰자였고, 독창적인 정신의 소유자였으며, 뛰어난 장난꾸러기였고, 정확한 감각을 지닌 친구였다.”[4]

via core77

ⓒ designflux.co.kr


[1] 2010년 5월 30일

[2] 토비아스 웡은 아릭 첸과 공동으로 2008년과 2009년 100% 디자인 상하이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맡았다.

[3] 번역 수정: 패러콘셉추얼 -> 기생개념적

[4] 인용부 번역 전반 교정, 디자인붐 출처 기사 이미지 제거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베를린 신국립미술관 6년 만에 재개관

8월 22일, 베를린 신국립미술관(The Neue Nationalgalerie)이 2015년 보수 공사를 위해 문을 닫은 지 6년...

2010-10-22 | 긴축, 긴축, 긴축

쾅고(quango)는 정부가 상급 인사를 임명하고 재정지원도 하지만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반관반민 기관들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다만 여기에는 다소 경멸적인 어감이 깔려 있지요. 가령 국내 일간지의 칼럼에서 이 단어는 이렇게 등장합니다. “우리나라 같은 공공기관을 쾅고라고 조롱기 섞어 부르는 영국에선 같은 날 192개의 쾅고를 없앴다고 발표했다. 쾅고는 유사자치 비정부기구라는 뜻이다.” (...)

2006-09-15 | BMW 아트카 월드 투어

1975년 알렉산더 칼더의 페인팅을 BMW 3.0 CSL을 시작으로, BMW의 ‘아트카’는 점점 더 많은 예술가와 모델로 컬렉션을 이루었습니다. 미술을 입은 이 자동차들은 르망 24시 레이스에 출전해 달리기도 하고, 미술관에 멈추어 작품처럼 전시되기도 합니다. 오늘의 소식은 2006년의 BMW 아트카 월드 투어입니다. 그 순회의 여정에는 한국도 포함되어 있었죠. 

2010-07-27 | 안티디자인페스티벌

2010년 런던디자인페스티벌과 정확히 같은 기간에 런던에서 안티디자인페스티벌이 열렸습니다. 그 반(反)의 주역은 네빌 브로디였습니다. 당시 <잇츠 나이스 댓>과의 인터뷰에서,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안티디자인페스티벌은 변화의 필요에서 태어났다. 무언가 새롭고 추하고 무섭고 위험한 것이 필요하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