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04 | 토비아스 웡, 사망

Editor’s Comment

2010년 5월 30일 디자이너 토비아스 웡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갑작스런 비보는 충격과 안타까움을 남겼습니다. 전유를 방법론 삼아 이른바 ‘기생개념적’ 작업을 전개한 그를 두고 <뉴욕타임스>는 “뒤샹이 되고 싶은 디자이너”라 불렀습니다. 2002년 그는 제니 홀저에게 다가가 오른팔을 내밀며 “내가 원하는 것으로부터 나를 지켜줘”라는 그 유명한 문장을 적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그리고 그대로를 문신으로 새겨 몸에 남겼고요. 결국에는 그가 원한 것에서 그를 지킬 수 없었다는 사실이 안타까웠던, 토비아스 웡의 부고 소식입니다.

‘문신’, 2002, 제니 홀저 씀

지난 일요일[1], 디자이너 토비아스 웡이 세상을 떠났다. 올해 나이 35세. <뉴욕타임스>는 “맨해튼 검시국이 그의 사인을 자살로 판정했다”고 보도했다. 갑작스러운 소식에 그를 떠나 보내는 이들의 슬픔도 깊다. 여러 디자인 매체들이 그의 타계 소식을 전하며 애도를 표했다.  

토비아스 웡은 캐나다 밴쿠버 출신으로, 토론토 대학에 이어 쿠퍼 유니언에서 공부한 후, 뉴욕을 근거지로 삼아 활동해 왔다. 많은 이들이 그의 2001년작 ‘이것은 램프다(This is a Lamp)’를 기억한다. 필립 스탁의 의자를 조명으로 바꿔버린 이 작품을 기점으로, 그는 도발과 역설의 디자인을 계속해서 선보였다. 권총 모양으로 잘라 버린 카림 라시드의 책(<나는 세상을 바꾸고 싶다>), 기존의 아이폰에 노래와 주소록 등을 미리 담아 제 제품으로 삼아 버린 ‘cc폰’, 디자인 제품들로 가득 차 있으나 결코 들어갈 수 없었던 상점, ‘잘못된 가게(The Wrong Store)’…

그의 작업은 디자인에 대한 일반적인 상과는 잘 맞아 떨어지지 않는다. 차라리 우리가 디자인하면 떠올리는 상에 ‘대한’ 디자인을 하였다고 말하는 편이 나을지 모른다. 예술과 디자인의 구분이 그의 활동에 별 무소용이었듯, 디자인 주류와 주변의 경계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 자신의 말처럼 “모형이나 시제품을 만들지 않으며, 문제를 해결하지도 않고, 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물건도 분명 만들지 않는” 사람이 디자인 제도의 굵직한 축인 대형 전시 이벤트[2]의 디렉터가 되기도 했던 것이다.  

<코어77>은 토비아스 웡의 타계 소식을 전하는 기사에, 아릭 첸(Aric Chen)의 글을 인용해 실었다. 그가 동료이자 절친했던 친구였던 ‘토비’에게 보내는 송사이기도 하다. 

“작업을 통해 웡은 이제는 동시대 문화에서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들의 상당 부분이 탄생하는 데 기여했다. 다다 그리고 특히 플럭서스의 영향 아래, 그는 전유를 통해 작가성에 대해 질문을 던졌다. 그는 우리의 욕망과 부조리에 거울을 들이밀었고, 디자인과 예술, 귀중한 것과 시시한 것의 위계를 뒤집었으며, 협업과 큐레이팅을 창조적인 실천으로 재정의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기생개념적(paraconceptual)’[3]이라 부른 틀에서 작업하며, 웡은 우리가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디자인의 모든 것을 재평가하였다. 생산, 심리적 공명, 미학적 기준, 유통의 수단, 출처에 대한 애착, 맥락화, 제시 방식 모두를 말이다. 웡은 예리한 관찰자였고, 독창적인 정신의 소유자였으며, 뛰어난 장난꾸러기였고, 정확한 감각을 지닌 친구였다.”[4]

via core77

ⓒ designflux.co.kr


[1] 2010년 5월 30일

[2] 토비아스 웡은 아릭 첸과 공동으로 2008년과 2009년 100% 디자인 상하이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맡았다.

[3] 번역 수정: 패러콘셉추얼 -> 기생개념적

[4] 인용부 번역 전반 교정, 디자인붐 출처 기사 이미지 제거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5-27 | 앰네스티 x 마르턴 바스

2010년도 노벨평화상 시상식장에 막상 수상자 류 사오보는 수감되어 참석할 수 없었습니다. 시상식장에 주인 없이 남아 있어야 했던 의자를 상징 삼아, 앰네스티는 ‘빈 의자’라는 이름의 캠페인을 펼쳤습니다. 디자이너 마르턴 바스는 비어 있으되 하늘 높이 솟은 사다리와도 같은 의자로 현실과 희망을 동시에 보여주었습니다.

2008-09-10 | 보철미학

2008년 디자인 아카데미 에인트호번을 졸업하며 프란체스카 란차베키아는 의료용 보철기구를 재해석한 일련의 기구들을 졸업 작품으로 선보입니다. 이름하여 ‘보철미학’은 그의 설명대로 “오로지 기능적 측면만 강조된, 기계적이고 일반적인 외양의 보조기기들”을 표현의 매체로서 바라봅니다. 졸업 후 란차베키아는 학교에서 만난 훈 와이와 란차베키아+와이를 설립하여 지금까지 함께 활동하고 있습니다. (...)

몽블랑에 머물다 … 떠나간 젊은 산악인을 위한 비박 건축

2021년 12월 알프스 산맥의 최고봉인 몽블랑 루토르 빙하 위에 비박(bivouac, 등산 시 비상사태에 만드는...

2007-04-04 | 디자인 뮤지엄 개관 25주년 기념전

2007년은 런던의 디자인 뮤지엄 개관 25주년이 되는 해였습니다. 이를 기념하여 디자인 뮤지엄은 25인의 디자인계 인사들에게 지난 25년을 대표할 만한 디자인 제품을 꼽아달라고 요청했습니다. ‘25/25: 디자인의 25년을 기념하며’는 그렇게 선정된 25개의 제품들을 통해 디자인 뮤지엄의 25년과 디자인의 25년을 겹쳐 놓았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