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20 | 아키그램 아카이브 프로젝트

Editor’s Comment

1961년부터 1974년까지, 적지 않은 세월 동안 그들이 낸 잡지는 단 9와 1/2호 뿐입니다. 하지만 이 ‘작은 잡지’가 남긴 반향은 세기를 넘어 섰지요. 영국의 실험적 건축 집단 아키그램의 이야기입니다. 2010년 영국 웨스트민스터 대학의 연구센터 EXP는 아키그램의 잡지부터 여러 프로젝트, 전시, 소속 멤버들에 관한 자료들을 망라한 온라인 아카이브를 열었습니다. 반갑게도 아카이브는 여전히 건재하고, 또 분명 방문할 가치가 있습니다. 

건축 집단 아키그램(Archigram)에 바치는 온라인 아카이브. 웨스트민스터 대학의 연구센터 EXP(Experimental Practice)가 ‘아키그램 아카이브 프로젝트’의 문을 열었다. 

1961년. 아키그램은 동명의 대안 잡지 <아키그램> 1호를 발간하며 데뷔했다. 피터 쿡, 워렌 초크, 데니스 크롬튼, 데이비드 그린, 론 헤론, 마이클 웹. 아키그램의 멤버들은 당대 정보와 운동, 지각의 새로운 기술들이 도시와 맺는 관계를 탐구하였다. 비록 아키그램의 활동은 1976년에 중단되었지만, 그들이 보여준 선구적인 작업은 당대는 물론 후대의 건축가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2000년대 들어 아키그램에 대한 재발견, 재평가 작업이 진행되기도 했다. 

이번에 문을 연 아키그램 아카이브 프로젝트는 총 1만 여 점에 달하는 아키그램에 관한 자료들을 망라하였다. 웨스트민스터 대학의EXP 팀은, 현존하는 아키그램 멤버 또는 그들의 후손으로부터 상당한 분량의 자료들을 제공받았다. 여기에는 드로잉, 콜라주, 회화, 사진, 잡지, 아티클, 슬라이드, 멀티미디어 등의 다양한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모두가 디지털로 전환되어, 누구나 자유롭게 온라인 상에서 열람 가능하다. 

archigram.westminster.ac.uk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6-08-29 | 몰스킨의 “브랜드 고고학”

이 수첩은 본래 프랑스에서 태어났지만, 세계적으로 알려진 이름이 된 것은 이탈리아의 한 회사가 이 브랜드를 인수한 이후입니다. 바로 ‘몰스킨’의 이야기입니다. 2006년 이탈리아에서 다시 프랑스 브랜드로 되돌아간 몰스킨 소식을 계기로, 그해 오늘은 몰스킨의 부활의 밑거름이 된 배경을 살펴보았습니다. 모도 앤드 모도는 100년 동안 예술가들의 친구였던 이 수첩의 역사와 유산을 되살렸고, 애호가들은 기꺼이 몰스킨의 자발적 마케터가 되었습니다. 누군가는 이 놀라운 성공을 두고 “브랜드 고고학”이라 불렀죠. 

2008-07-11 | “빌바오 효과란 허튼 소리다.”

2008년 서펀타인 갤러리 파빌리온의 건축가는 프랭크 게리였습니다. 의외로 이 임시 건축물이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완성된 프랭크 게리의 건물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파빌리온 공개를 맞아 열린 기자회견에서 다시 한 번 ‘빌바오 효과’에 언급되었죠. “빌바오 효과란 허튼 소립니다.” 그렇게 이야기한 주인공은 다름 아닌 프랭크 게리였습니다. 

2010-11-25 | 디자이너 로빈 데이 타계

플라스틱이라는 소재의 장점을 유감 없이 발휘한 의자, ‘폴리프롭’의 디자이너 로빈 데이가 2010년 타계했습니다. 동료이자 아내였던 텍스타일 디자이너 루시엔 데이가 세상을 떠난 지 약 9개월 뒤의 일이었습니다. 전후 영국 디자인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한 사람이었던 그의 작업을 ‘폴리프롭’을 중심으로 되돌아봅니다.

2009-03-10 | ‘잃어버린 도시로부터’

반듯함과는 거리가 먼, 자가성장이 만들어낸 비정형의 파벨라 풍경을 가구에 옮겼습니다. 가구의 뼈대를 채운 것은 제각각 소재의 서랍과 상자들입니다. 2009년 당시 갓 학교를 졸업한 신진 디자이너였던 크리스티안 비방코는 이제 여러 디자인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입니다. 더불어 멕시코의 라탄 가구 브랜드인 발사의 크리에이티브 디렉션도 맡고 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