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20 | 아키그램 아카이브 프로젝트

Editor’s Comment

1961년부터 1974년까지, 적지 않은 세월 동안 그들이 낸 잡지는 단 9와 1/2호 뿐입니다. 하지만 이 ‘작은 잡지’가 남긴 반향은 세기를 넘어 섰지요. 영국의 실험적 건축 집단 아키그램의 이야기입니다. 2010년 영국 웨스트민스터 대학의 연구센터 EXP는 아키그램의 잡지부터 여러 프로젝트, 전시, 소속 멤버들에 관한 자료들을 망라한 온라인 아카이브를 열었습니다. 반갑게도 아카이브는 여전히 건재하고, 또 분명 방문할 가치가 있습니다. 

건축 집단 아키그램(Archigram)에 바치는 온라인 아카이브. 웨스트민스터 대학의 연구센터 EXP(Experimental Practice)가 ‘아키그램 아카이브 프로젝트’의 문을 열었다. 

1961년. 아키그램은 동명의 대안 잡지 <아키그램> 1호를 발간하며 데뷔했다. 피터 쿡, 워렌 초크, 데니스 크롬튼, 데이비드 그린, 론 헤론, 마이클 웹. 아키그램의 멤버들은 당대 정보와 운동, 지각의 새로운 기술들이 도시와 맺는 관계를 탐구하였다. 비록 아키그램의 활동은 1976년에 중단되었지만, 그들이 보여준 선구적인 작업은 당대는 물론 후대의 건축가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2000년대 들어 아키그램에 대한 재발견, 재평가 작업이 진행되기도 했다. 

이번에 문을 연 아키그램 아카이브 프로젝트는 총 1만 여 점에 달하는 아키그램에 관한 자료들을 망라하였다. 웨스트민스터 대학의EXP 팀은, 현존하는 아키그램 멤버 또는 그들의 후손으로부터 상당한 분량의 자료들을 제공받았다. 여기에는 드로잉, 콜라주, 회화, 사진, 잡지, 아티클, 슬라이드, 멀티미디어 등의 다양한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모두가 디지털로 전환되어, 누구나 자유롭게 온라인 상에서 열람 가능하다. 

archigram.westminster.ac.uk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8-19 | 그들의 몰스킨 노트 속

2006년 70권의 몰스킨 노트가 예술가, 작가, 디자이너에게 전해졌고, 그렇게 각각의 몰스킨이 경험한 우회의 여정이 다시 한자리에 모여, 전시의 형태로 다시 런던, 뉴욕, 파리, 베를린, 이스탄불, 도쿄, 베니스, 상하이, 밀라노를 여행했습니다. 2008년 오늘의 소식은 전시회 ‘우회’의 이야기입니다. 

뭉크 미술관 가구 디자인

지난 10월 22일, 노르웨이 오슬로에 뭉크 미술관(Munch museum)이 새로운 모습으로 재개관했다. 개관 전부터...

2010-01-07 | OMA, 코펜하겐 기후변화회의의 실패를 말하다

1995년 처음 열린 국제연합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COP가 벌써 26차를 지났습니다. 지난 11월 글래스고에서 개최된 COP26은 그러나 기대 이하에 그쳤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석탄발전의 단계적 폐지라는 목표는 감축으로 완화되었고, 결국 탈석탄 성명에는 미국, 인도, 중국, 호주, 일본 등 석탄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의 서명이 빠졌습니다. 문제는 초국가적인데 해결의 단위는 국가라는 점이 문제일까요? 2009년 COP15의 ‘실패’에 관해 OMA의 레이니어르 더 흐라프는 그렇다고 보았습니다. 

2010-10-11 | 현수교의 원리를 의자에

허먼 밀러의 ‘세일’은 국내 소비자들에게도 익숙한 제품이죠. 2010년 첫선을 보인 ‘세일’은 샌프란시스코의 랜드마크인 금문교에서 착안하여, 현수교의 구조를 의자에 옮긴 제품이었습니다. 2010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퓨즈프로젝트와 허먼 밀러가 2년 반의 준비 끝에 내놓은 ‘세일’의 디자인 과정을 소개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