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3 | 엔초 마리 ‘자급자족 디자인’ 부활

Editor’s Comment

작년 한 해 코로나19가 안긴 수많은 부고 가운데 안타깝게도 엔초 마리와 그의 부인 레아 베르지네의 타계 소식이 있었습니다. 그것도 밀라노 트리엔날레에서 열린 회고전의 개막 직후의 일이었습니다. 오늘의 뉴스는 엔초 마리의 ‘자급자족 디자인’[i]입니다. “디자인은 지식을 전할 때 오로지 디자인이다.” 엔초 마리의 ‘자급자족 디자인’은 완성품으로서의 가구가 아니라 지식으로서의 가구를 전했습니다. 2010년 아르텍은 그 ‘자급자족 디자인’의 첫 번째 가구인 ‘의자 1’을 다시 소개하며 엔초 마리에게 경의를 표했습니다. 기사에 언급된 짤막한 다큐멘터리에서 그의 모습과 그가 믿는 디자인 이야기도 다시 만나봅니다. 

엔초 마리(Enzo Mari)와 그의 ‘의자 1(Sedia 1 – Chair)’ 

엔초 마리(Enzo Mari)의 1974년도 프로젝트 ‘자급자족 디자인(Autoprogettazione)’이 2010년 부활한다. 아르텍(Artek)이 ‘자급자족 디자인’ 프로젝트의 첫 번째 오브제였던 ‘의자 1’의 생산, 판매에 나선다는 소식이다. 

‘자급자족 디자인’은 말하자면 DIY 가구 컬렉션이었다. 당시 갤러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전시에서 엔초 마리는 나무판과 못으로 만든 소박한 가구들을 전시하며, 안내서 <자급자족 디자인>을 무료로 배포했다. 만일 어떤 가구가 마음에 든다면, 전시품을 구입하는 대신 직접 가구를 ‘재현’해보라는 권유인 셈이었다. 30여 년의 시간을 지나, 다시 찾아온 ‘자급자족 디자인’의 ‘의자 1’ 역시 송판과 못, 그리고 설명서 세트의 구성으로 판매된다. 

설명서를 참고하여 의자를 직접 만들게 된다. 
완성된 의자의 모습  
all photos by Jouko Lehtola

한편 아르텍은 ‘의자 1’과 함께, 엔초 마리의 ‘자급자족 디자인’ 프로젝트에 경의를 표하는 의미로, 다큐멘터리 <엔초 마리와 아르텍 Enzo Mari for Artek>을 상영한다. 20분 가량의 상영시간 동안 엔초 마리가 ‘자급자족 디자인’ 프로젝트의 콘셉트와 의미를 설명하는 작품으로, 4월 15일 오후 6시, 트리엔날레 뮤지엄에서 처음으로 공개된다. 

www.artek.fi

ⓒ designflux.co.kr


[i] 번역 수정: 자가디자인 -> 자급자족 디자인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6-11-01 | 퐁피두 ‘메츠’ 분관 착공

유명 뮤지엄들이 분관을 세우며 세계 곳곳으로 확장해 나가던 시기, 프랑스의 퐁피두 센터도 상하이에 이어 메츠에 분관을 건축하기로 합니다. 2003년 설계 공모에서 당선된 시게루 반과 장 드 가스틴이 설계한 퐁피두 메츠 센터는 푸른 초지 위 가벼운 모자의 형상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06년 11월 미술관의 착공 소식이 전해졌는데요. 약 3년 반의 공사 기간을 거쳐, 2010년 5월에 문을 열었습니다. 

2009-03-23 | 합판으로 그리다

공사장 울타리 역할을 하던 낡은 합판들을 거두어 작품의 재료로 삼았습니다. 브라질의 미술가 엔히키 올리베이라는 울타리로 “회화와 건축과 조각이 한데 결합된” 작품 연작을 선보였는데요. 전시회의 이름도 ‘울타리’입니다. 

2010-08-04 | 비행 도시

유서 깊은 도자 기업과 현대미술가가 만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님펜부르크 처음으로 협업을 청한 '미술가'는 카르슈텐 횔러입니다. '비행 도시'는 20세기 초 러시아의 구성주의 건축가이자 미술가인 게오르기 크루티코프가 구상한 동명의 도시 구상 그리고 1894년 찰스 베넘이 발명한 흥미로운 색상 착시 장난감을 원천으로 삼았습니다. 그리고 통상의 제품 형식과 '설치 작품'의 형식 두 가지로 결과물을 선보였지요. 오늘은 도자 기업과 미술가의 흔치 않은 만남을 다시 살펴봅니다.

이케아 서핑 제품 컬렉션

가구 브랜드 이케아에서 세계 프로 서핑 연맹(World Surf League)과 협력하여 서핑 제품 컬렉션 ‘코세베리아(KÅSEBERGA)’를...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