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3 | 엔초 마리 ‘자급자족 디자인’ 부활

Editor’s Comment

작년 한 해 코로나19가 안긴 수많은 부고 가운데 안타깝게도 엔초 마리와 그의 부인 레아 베르지네의 타계 소식이 있었습니다. 그것도 밀라노 트리엔날레에서 열린 회고전의 개막 직후의 일이었습니다. 오늘의 뉴스는 엔초 마리의 ‘자급자족 디자인’[i]입니다. “디자인은 지식을 전할 때 오로지 디자인이다.” 엔초 마리의 ‘자급자족 디자인’은 완성품으로서의 가구가 아니라 지식으로서의 가구를 전했습니다. 2010년 아르텍은 그 ‘자급자족 디자인’의 첫 번째 가구인 ‘의자 1’을 다시 소개하며 엔초 마리에게 경의를 표했습니다. 기사에 언급된 짤막한 다큐멘터리에서 그의 모습과 그가 믿는 디자인 이야기도 다시 만나봅니다. 

엔초 마리(Enzo Mari)와 그의 ‘의자 1(Sedia 1 – Chair)’ 

엔초 마리(Enzo Mari)의 1974년도 프로젝트 ‘자급자족 디자인(Autoprogettazione)’이 2010년 부활한다. 아르텍(Artek)이 ‘자급자족 디자인’ 프로젝트의 첫 번째 오브제였던 ‘의자 1’의 생산, 판매에 나선다는 소식이다. 

‘자급자족 디자인’은 말하자면 DIY 가구 컬렉션이었다. 당시 갤러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전시에서 엔초 마리는 나무판과 못으로 만든 소박한 가구들을 전시하며, 안내서 <자급자족 디자인>을 무료로 배포했다. 만일 어떤 가구가 마음에 든다면, 전시품을 구입하는 대신 직접 가구를 ‘재현’해보라는 권유인 셈이었다. 30여 년의 시간을 지나, 다시 찾아온 ‘자급자족 디자인’의 ‘의자 1’ 역시 송판과 못, 그리고 설명서 세트의 구성으로 판매된다. 

설명서를 참고하여 의자를 직접 만들게 된다. 
완성된 의자의 모습  
all photos by Jouko Lehtola

한편 아르텍은 ‘의자 1’과 함께, 엔초 마리의 ‘자급자족 디자인’ 프로젝트에 경의를 표하는 의미로, 다큐멘터리 <엔초 마리와 아르텍 Enzo Mari for Artek>을 상영한다. 20분 가량의 상영시간 동안 엔초 마리가 ‘자급자족 디자인’ 프로젝트의 콘셉트와 의미를 설명하는 작품으로, 4월 15일 오후 6시, 트리엔날레 뮤지엄에서 처음으로 공개된다. 

www.artek.fi

ⓒ designflux.co.kr


[i] 번역 수정: 자가디자인 -> 자급자족 디자인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6-09-28 | 영국 그래픽의 신화, 앨런 플레처 타계

전후 영국 그래픽 디자인 세대를 대표하는 한 사람이었던 앨런 플레처가 2006년 9월 21일 타계했습니다. “디자인이란 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가는 방식”이라고 말했던 그는, 시인 칼 샌드버그가 했던 말이자 1995년 그가 포스터에 담았던 말을 입은 채 세상을 떠났다고 합니다. “내가 어디로 가는지는 모르지만, 내 길을 가고 있다.” 

2007-06-21 | RCA 졸업전

1851년 런던의 하이드 파크에 거대한 유리 건물이 세워졌습니다. 이름하여 ‘수정궁’ 안에 만국의 산업, 문화, 예술 생산품을 선보였던 그 행사의 이름은 ‘대박람회’였습니다. 만국박람회의 시대를 열었던 이 행사는 영국의 여러 박물관을 비롯해 대학의 설립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영국왕립예술학교도 그 중 하나였지요. 2007년 영국왕립예술학교는 ‘대박람회’ 150주년을 기념하며, 졸업전시회를 그에 헌정했습니다. 

2011-11-02 | 영화 타이틀 스틸 모음

영화가 시작하고 영화의 제목이 스크린에 등장하는 바로 그 순간의 스틸 이미지를 한데 모은 디자이너가 있습니다. 크리스티안 아냐스는 멀리 1920년대부터 가깝게는 2014년까지, 영화의 타이틀 장면을 모아 웹사이트를 열었는데요. 어떤 영화들의 경우, 기본 정보 외에도 오프닝 타이틀 제작사는 어디인지 타이틀 장면에 쓰인 폰트는 무엇인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옛 영화들의 레터링 스타일을 되돌아보는 즐거움도 빼놓을 수 없지요.

2010-11-25 | 디자이너 로빈 데이 타계

플라스틱이라는 소재의 장점을 유감 없이 발휘한 의자, ‘폴리프롭’의 디자이너 로빈 데이가 2010년 타계했습니다. 동료이자 아내였던 텍스타일 디자이너 루시엔 데이가 세상을 떠난 지 약 9개월 뒤의 일이었습니다. 전후 영국 디자인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한 사람이었던 그의 작업을 ‘폴리프롭’을 중심으로 되돌아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