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Comment
탄생은 멀리 6~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오늘날 같은 기능으로 이처럼 널리 쓰이게 된 것은 1970년대 이후의 일입니다. 2010년 MoMA의 건축·디자인부가 부호 ‘@’를 영구 소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누구의 것도 아니며 실물로 존재하지도 않지만, “소장에 요구되는 다른 기준들을 만족”하며, 더불어 기존의 부호를 전유해 새로운 쓰임을 부여했다는 점에서 “디자인 행위”를 보여준다고, 수석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는 설명합니다.

– ITC 아메리칸 타자기 서체 버전. 1970년대 초 ‘모델 33 텔레타입’에 사용된 서체와 가장 유사한 것이다.
이메일 주소마다 반드시 들어 있으며, “골뱅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부호. MoMA의 건축·디자인부가 ‘@’를 영구 소장품 목록에 올렸다. 3월 22일 수석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Paola Anotnelli)가 MoMA 블로그에 이 사실을 알렸다.
하지만 부호를 소장한다니? 혹여 그렇다고 해도 @를 과연 디자인이라 할 수 있을까? 파올라 안토넬리는 이번 소장 결정의 배경을 차근히 설명한다. 설치작품은 물론이고 퍼포먼스까지도 소장의 대상이 되는 만큼, 어떤 오브제의 실제 소유가 소장의 필수조건은 아니라는 것. 덕분에 이제 큐레이터들은 너무나 거대해서, 또 그 누구의 소유도 아니기에 소장할 수 없었던 것들에도 눈을 돌리고 있다. “@는 소장에 요구되는 다른 기준들을 모두 만족한다. 그저 실제의 물건이 아닐 뿐이다.”
그리고는 @의 역사에 대한 설명이 이어진다. 본래 @은 6~7세기부터 사용되었던 부호로, 당시 ‘at, to, toward’ 등 여러 가지의 의미를 축약하였다. 이후 1885년 아메리칸 언더우드 타자기 자판에 등장하였고, 1963년에는 ASCII 코드에도 포함되어, ‘at, at the rate of’ 등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는 그리 잘 사용되지 않는 부호의 하나였을 뿐이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는 전적으로 다른 기능을 부여받게 된다.
파올라 안토넬리는 @의 역사에 있어 결정적인 인물로 레이 톰린슨을 꼽는다. 인터넷의 전신 ‘아르파넷(ARPAnet)’ 개발에 참여했던 그는 특히 메시지 전송과 관련된 작업을 맡고 있었다. 아르파넷을 통해 여러 대의 컴퓨터들이 처음으로 서로 메시지를 주고 받게 된 것이다. 1971년 10월 그는 최초의 이메일에 @ 부호를 사용했다. ‘사용자명@기관/컴퓨터/서버명’ 등으로 구성된 이메일 주소 형식이 탄생한 것이다.
기존의 부호를 전유하여 재이용하는 것. MoMA는 이것이 “디자인 행위”라고 단언한다. 톰린슨은 @에 전적으로 새로운 기능을 선사했다. 인터넷이라는 기술 혁신 과정에서 @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이메일 주소 등에 사용되며 뛰어난 경제성을 자랑했다. 부호 본연의 의미를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기능을 수행하게 된 것이다. MoMA의 @ 소장 결정은, 이 부호에 담긴 ‘디자인 행위’를 겨냥한다. 그래서 @은 앞으로 다양한 서체 버전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파올라 안토넬리는 말한다. “기존 소장품에 소재 정보를 기입하듯, 앞으로 @에 해당 서체의 이름을 명기할 것입니다.”
ⓒ designflux.co.kr